댓글 쓰기 권한이 없습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종료] 철학강독 『천 개의 고원』 · 일요모임
들뢰즈와 가타리가 남긴 ‘노마디즘’의 사유는 오늘날 철학적 사유의 장을 형성하고 있습니다. 들뢰즈의 사유에 호응하거나 혹은 이
사유에 대결하는 것이 오늘날 철학적 사유의 장이기 때문입니다. 들뢰즈의 사유는 문학?영화 등의 예술 분야는 물론 정치와 사회
분야에서도 큰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건축을 비롯한 여러 분야에서도 이 사유를 실천하기 위한 다양한 실험들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들뢰즈는 철학사에 대한 방대하고도 독창적인 독해 과정을 통해서 자신 만의 사유 틀을 만들며 철학의 새로운 길을 만들었을 뿐만
아니라 새로운 활력을 부가했습니다. 혼자서는 읽기 어려운 1,000페이지 분량의『천 개의 고원』(질 들뢰즈·펠릭스 가타리 |
새물결 | 2003년)을 함께 읽으며 들뢰즈와 가타리의 사유 속으로 긴 여행을 시작합니다.
□ 과정 요강
○ 강좌명 : 철학강독 『천 개의 고원』 · 일요모임
○ 강의 기간 : 2015년 1월 18일(일) ~ 2016년 6월 26일(일) · 주 1회
○ 수강 시간 : 매주 일요일 오후 7시 ~ 9시
○ 강독 도서 :『천 개의 고원』(질 들뢰즈·펠릭스 가타리 | 새물결 | 2003년)
○ 강의 장소 : 인문학공동체 에피쿠로스(사직동 사무실, http://www.epicurus.kr/Map )
○ 수강 정원 : 9명
○ 수강료 : 회당 10,000원(회당 현장 결제)
○ 문의 : 02-389-7057(인문학공동체 에피쿠로스)
○ 수강 신청 : <수강 신청> 페이지를 참고하십시오.( <수강신청> 바로가기 )
강독 도서는 개별 구입
□ 과정 목표
○ 철학의 눈으로 세상을 새롭게 보기
○ 들뢰즈 철학의 이해
□ 수강 대상
○ 현대 철학의 개념과 철학사를 깊이 있게 공부하고 싶으신 분
○ 현대 철학 개념과 철학사를 알고 그것을 삶과 현실에 적용해서 실천하고자 하시는 분
□ 수업 방법 : 강의와 강독의 병행
□ 강사 소개
이우 |
인문학서원 <에피쿠로스> 대표로 일하면서 글을 쓰고 있다. 소설 <죽(竹)>으로
복현문학상, 문학평론 <리얼리즘과 모더니즘>으로 복현문화상을 수상하고, 詩 <강변에서>로 제1회 강변시인학교 백일장
장원으로 당선했다. 저서로 <언어는 눈부시다>를 저술했고, 사사 <구미공업단지 15년사>, <구미상공회의소
10년사>를 공동 집필했다. <조선대학교>, <순천대학교>, <동아대학교>, <경북도립대학교> 등의 대학,
<인천북구도서관>, <아람누리도서관>, <가산정보도서관>, <개포도서관> 등의 공공도서관에서 인문학 강의를 하고,
<한겨레교육문화센터>에서 <인문학 산책>, 인문학 기행 <서울을 걸어 인문학을 만나다> 등의 강의를 하고 있다.
|
|
|
리강 | 오랫동안 외디푸스 콤플렉스에 시달림. 문학을 전공했지만 문학과 철학과 역사를 넘나들며 기웃거림. 시도 아니고 우화도 아니고 꽁트도 아니고 아무 것도 아닌 것을 가치 있다고 생각하고, 글을 쓰고 있음. 논술도 아니고 철학도 아니고 문학도 아니고 그렇다고 그 무엇이라고 할 수도 없는 그 무엇을 가치 있다고 생각하여, 가르치고 있음. 20년째 이 짓을 하고 있음. 책을 읽으며 엄청나게 많은 밑줄을 그음. 책에 낙서 많이 함. 잡설도 아니고 세설도 아니고 그렇다고 잡설과 세설이 아닐 필요도 없는 “잡세설”을 하고 있음. 지독한 아나키스트임. 그렇다고 아나키스트라고 단정 당하는 것을 참으로 싫어함. 떠도는 영혼임. 죽으면 자연 떠돌 터이지만 미리 떠도는 것도 괜찮다고 생각함. · 인문학공동체 에피쿠로스 <들뢰즈가 만든 철학사> 강독 · 경북도립대학교 2014 <인문고전 만남> 인문학 강의 |
-
20Feb 202116:26
[완료] 『안티 오이디푸스』 강독 그룹
□ 그룹 개요 ○ 그룹명 : 『안티 오이디푸스』 강독 그룹 ○ 대상 도서 : 『안티 오이디푸스-자본주의와 분열증』(지은이: 질 들뢰즈, 펠릭스과타리 · 옮긴이: 김재인 · 민음사 · 1997년 · 원제 :L'Anti-Oedipe: capitalisme et schizophrenie, 1972년) ○ 기...By이우 Reply0 Views507 -
26Jan 202123:40
[진행] 철학강독 그룹 「마주침」
높은 곳이나 낮은 곳에서, 거칠거나 황량한 곳에서, 여기저기서 우리는 마주칩니다. 너무 높이 올라가 대지를 잊어버리기도 하고, 너무 파고 내려가 굴 속에 갇히기도 합니다. 높은 곳에서 내려오고 깊은 곳에서 올라와, 중간지대 고원에서, 매끈한 초원에...By이우 Reply0 Views710 -
26Apr 202005:26
[완료] 『자본론(Das Kapital)』 강독 그룹
다 읽어낼 수 있을까, 주저했습니다. 둘러서 갈 수 없을까, 고민했습니다. 읽어야 할 책이 너무 많았습니다. 한 번은 디뎌야 할 지면(紙面)을 앞에 두고 미루기만 했습니다. 카를 마르크스가 외딴방에 앉아 자본론 초판의 서문에 썼던, '메두사의 ...By이우 Reply0 Views891 -
12Apr 201905:22
[진행] 철학강독 그룹 「심포지엄(Symposion)」
철학강독 <심포지엄(Symposion)>은 현대철학의 끝단에 있는 들뢰즈 철학과 연결해 고대에서부터 현대까지의 철학고전서를 읽으면서, 솟구치고 휘감아도는 사유의 강물 위에 수표(水標)를 올리고, 그 속도와 무게, 타격, 충돌, 뒤얽힘을 측정합니다. 철...By이우 Reply0 Views1537 -
04Aug 201522:58
[종료] 철학강독 『철학 VS 철학』 · 화요저녁반 · 제2기
2014년 6월 15일(수)부터 시작한 철학강독 『철학 VS 철학』 수요저녁반 제1기 강독을 2015년 8월 19일(수) 모두 마치고, 8월 25일(화)부터 2016년 12월 13일(화)까지 제2기 『철학 VS 철학』 화요저녁반을 엽니다. 이 스터디는 철학에서 다루는 마흔 ...By이우 Reply0 Views3534 -
15Dec 201405:11
[종료] 철학강독 『천 개의 고원』 · 일요모임
들뢰즈와 가타리가 남긴 ‘노마디즘’의 사유는 오늘날 철학적 사유의 장을 형성하고 있습니다. 들뢰즈의 사유에 호응하거나 혹은 이 사유에 대결하는 것이 오늘날 철학적 사유의 장이기 때문입니다. 들뢰즈의 사유는 문학?영화 등의 예술 분야는 ...By이우 Reply0 Views3583 -
17Jan 201516:57
[완료] 철학강독 『철학 VS 철학』· 금요모임·오전반
이 스터디는 철학에서 다루는 마흔 여덟 개의 주제를 쉽고 재미있게 해석하고 현대 우리 사회의 쟁점 사항과 연결할 수 있는 철학 스터디입니다. 코치의 기조 강의와 928페이지에 달하는 강신주의 <철학 대 철학>(그린비)을 함께 읽습니다. 누구나 쉽게 플라...By이우 Reply0 Views3244 -
09Aug 201409:26
[완료] 철학강독 『철학 VS 철학』· 수요저녁반·제1기
이 스터디는 철학에서 다루는 마흔 여덟 개의 주제를 쉽고 재미있게 해석하고 현대 우리 사회의 쟁점 사항과 연결할 수 있는 철학 스터디입니다. 코치의 기조 강의와 928페이지에 달하는 강신주의 <철학 대 철학>(그린비)을 함께 읽습니다. 누구나 쉽게 플라...By이우 Reply0 Views3177 -
02Nov 201422:52
[종료] 현대시 강독 「철학의 창에 비친 현대시」
현대시는 왠지 이해하기 어렵다고 느낍니다. 게다가 현대시를 철학의 눈으로 이해하고 감상하는 것은 더더욱 요령부득이라고 여깁니다. 하지만 현대시야말로 가장 우리들의 직관적인 감성에 닿아 있습니다. 아니, 원초적 감각이나 본능에 닿아 있다고 해야 ...By이우 Reply0 Views3159 -
02Nov 201422:26
[종료] 슬라보예 지젝 강독 『이데올로기의 숭고한 대상』
현대철학에 관심 있는 사람이면 누구나 ‘지젝, 지젝’ 거리며 수다를 떤답니다. 그도 그럴 것이 현대철학과 현대사회를 논하려 하면 슬라보예 지젝은 빼놓을 수 없습니다. 그의 철학은 단지 ‘관념의 성 쌓기’에 머물러 있지 않은 까닭일 것입니다. 지극히 이론...By이우 Reply0 Views3209 -
11Apr 201420:36
[종료] 철학 고전 강독, 『플라톤 국가』
지난 1년 동안 Rhyzome study group <들뢰즈가 만든 철학사> 강독을 했습니다. 이 강독을 통해 느끼고 깨달은 바가 많았으나 미진한 점도 많았습니다. 가장 아쉬웠던 점은 들뢰즈가 해설하거나 비평하고 있는 철학 원전을 우리가 제대로 읽지 않았다는 ...By이우 Reply0 Views4804 -
11Apr 201404:47
[종료] 강독 『들뢰즈가 만든 철학사』
2013년 4월부터 시작한 <들뢰즈가 만든 철학사> 리좀S 강독을 2014년 버전으로 다시 시작하려 합니다. 1년 동안 열심히 공부했지만 여전히 미진함을 느껴 강독을 다시 할 수밖에 없습니다. 문학과 사회와 역사는 철학의 바탕 위에서 일어나는 사건입니...By이우 Reply0 Views4256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