댓글 쓰기 권한이 없습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완료] 철학강독 : 『노자 도덕경』 읽기 · Part B
by 이우 posted Aug 18, 2021 Views 1312 Replies 0

루크레티우스를 읽고, 스피노자를 읽으면서, 또 니체와 들뢰즈를 읽으면서, 우리는 놀랄 수밖에 없었습니다. 이들의 사유 속에서 노자(老子)를 만나기 때문입니다. 언제 노자가 서양에 유입되었는지 확인할 수는 없었지만 17세기 이미 많은 동양의 저작들이 번역되어 서양에 알려졌고, 니체가 노자를 읽었다는 것은 확실해 보입니다. 기원전 6세기 서양의 자연철학인 이오니아 밀레토스학파에서부터 에피쿠로스-스피노자-니체- 들뢰즈의 사유 속에서 노자(老子)를 발견하는 일이 다반사(茶飯事, 차 마시는 일이나 밥 먹는 일처럼 늘 일어나는 대수롭지 않은 일)입니다. 서양 현대철학의 끝자락인 들뢰즈의 사유와 기원전 6세기 동양철학의 출발점인 노자(老子)의 사유가 이렇게나 닮아 있다니 놀라움을 감출 수 없습니다. 노자(老子)가 쓴 『도덕경(道德經)』 을 읽어보기로 했습니다.
□ 강독 개요
○ 강독명 : 철학강독 『노자 도덕경』 읽기 · Part B
○ 기간 : 2021년 11월 12일(금)~ 12월 17일(금) · 주 1회 · 총 6회
○ 시간 :
- 대면, 혹은 대면·비대면 병용시 : 매주 금요일 오전 11시~오후 2시(매회 3시간)
- 비대면 강독시 : 매주 금요일 오전 10시~오후 1시(매회 3시간)
○ 장소 : 인문학공동체 에피쿠로스 사직동 사무실(아래 약도 참조)
○ 방법 : COVID-19 상황에 따라 대면·비대면 혼용 또는 병용
○ 대상 도서 : 『노자-실증적 <노자> 읽기』(리링·글항아리·2019)
○ 수강 대상 : 대학생·성인
○ 수강 인원 : 10명
○ 수강료 : 6만원(회당 1만원)
○ 수강료 결재 : 온라인 입금하시거나 현장에서 신용카드 결재(하나은행 580-910004-86104 · 예금주 : 주식회사 에피쿠로스)
○ 수강 신청 : 하단의 <온라인 참가신청서>를 눌러 신청하시거나, e메일(mudbull@hanmail.net)로 신청하십시오.
○ 문의 : 인문학공동체 에피쿠로스(www.epicurus.kr · mudbull@hanmail.net · 02-389-7057)



□ 강독 방법
○ 노자의 『도덕경』 』을 읽으면서 서양 철학과 동양 철학을 비교합니다.
○ 발제자가 책을 읽고 발췌 · 요약하면서 의견을 내거나 논지를 펼치고,
○ 비발제자가 의견을 내거나 논지를 펼치는, 심포지엄(Symposion) 방식으로 진행합니다.

□ 커리큘럼
구분 |
회차 (일자) |
진 도 | 비 고 |
Part A |
1회 (9월 3일) |
제1장~제5장 | |
2회 (9월 10일) |
제6장~제10장 | ||
3회 (9월 17일) |
제11장~제15장 | ||
4회 (9월 24일) |
제16장~제20장 | ||
5회 (10월 1일) |
제21장~제25장 | ||
6회 (10월 8일) |
제26장~제30장 | ||
7회 (10월 15일) |
제31장~제35장 | ||
8회 (10월 22일) |
제36장~제40장 | ||
9회 (10월 29일) |
제41장~제45장 | ||
10회 (11월 5일) |
제46장~제50장 | ||
Part B |
11회 (11월 12일) |
제51장~제55장 | |
12회 (11월 19일) |
제56장~제60장 | ||
13회 (11월 26일) |
제61장~제65장 | ||
14회 (12월 3일) |
제66장~제70장 | ||
15회 (12월 10일) |
제71장~제75장 | ||
16회 (12월 17일) |
제76장~제81장 |
세책례(洗冊禮) |


□ 대상 도서 소개 : 『노자 - 실증적 <노자> 읽기』(리링·글항아리·2019)

삼고三古(고고, 고문자, 고문헌)의 대가 리링의 노자 읽기
역대의 모든 판본을 비교 분석한 실증의 금자탑
리링 교수가 펴낸 『노자』는 숲과 나무를 동시에 보려고 한 시도다
노자 철학의 역사적·시대적 의미를 거시적으로 짚어본 다음
문장별·구문별·글자별로 분해해서 남김없이 해석하고 있다
『집 잃은 개』, 『전쟁은 속임수다』로 잘 알려진 리링 베이징대 중문과 교수가 『노자』를 출간했다. 고고학, 고문자학, 고문헌학을 종횡하는 ‘삼고(三古)의 대가’라는 명성에 걸맞게 이번에 출간한 『노자』 역시 리링만의 참신한 시각과 철저한 고증이 돋보인다. 이 책에서 리링은 궈뎬(郭店) 초나라 죽간본(楚簡本), 마왕두이(馬王堆) 백서본(帛書本) 등 역대의 모든 판본을 비교 분석했다. 뿐만 아니라 『장자』, 『문자』, 『한비자』 등 다른 고전에서 『노자』가 어떻게 인용되고 비평되는지 살피고, 『논어』, 『묵자』와의 대조를 통해 『노자』가 다른 고전들과 어떤 맥락으로 연결되는지 짚는다.
리링 교수는 『노자』와 『논어』를 비교하여 이렇게 말한다. “『노자』는 솥 밑에서 땔감을 빼내는 방법을 선택하여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려고 한다. 공자의 뒤쪽으로 돌아가 공자 위로 올라갔으며, 보다 더 궁극적인 사고로 무장하여 『논어』를 낮추어보았고, 『논어』를 해체했으며, 『논어』를 포위했고, 『논어』를 농축해서 자기 개념 속에 집어넣어버렸다. 그 양자 간의 선후 관계는 아주 분명하다.” 즉 『노자』가 『논어』보다 뒤에 나온 후대의 텍스트라는 입장을 견지한다. 이것이 리링이 노자를 읽는 가장 기본적인 입장이다. 나아가 『노자』는 성인을 모델로 내세우면서 치국(治國)과 용병술(用兵術)을 큰소리로 이야기했고 전쟁을 언급하면서 죽음에 대해 관심을 가졌다고 보았다. 전쟁은 흉사(凶事)이고, 전쟁은 상례(喪禮)라고 『노자』에서는 말하고 있다. 전쟁의 야만성과 전쟁의 잔혹성은 그의 마음을 두려움에 떨게 했다. 노자가 묘사한 전쟁은 모두 오랜 세월을 허송하는 것이며 엄청난 재난을 동반하는 것으로서 어떻게 보더라도 모두 전국시대의 상황과 비슷하다는 것이 리링의 해석이다.
이러한 선진시기 노자의 학문은 두 학파로 나뉘어, 무위를 강조하는가 하면 유위를 강조하기도 했다. 이는 한대 이후의 인상과는 다르다. 유위를 주장하는 일파는 삼진(三晉)의 형명법술학과 결합하고 또 순자의 예학(禮學)과 결합함으로써 전국시대를 마감하고 제국(帝國)으로 나아가게 하는 데 중대한 공헌을 했다. 저자 리링은 “『노자』를 읽으면서 우리는 그 역시 크게 작위했다는 점을 잊어서는 안 된다”라고 강조한다.
(출판사 책소개)
□ 오시는 길 : 서울시 종로구 사직동 237-1번지(사직로 66-1) 한라빌딩 205호 인문학공동체 에피쿠로스(02-389-7057 · www.epicurus.kr)




-
03Jun 202223:48
[모집] 철학강독 「심포지엄」 : 칼 폴라니의 『거대한 전환』 읽기
□ 강독 개요 ○ 강독명 : 철학강독 「심포지엄」 : 칼 폴라니의 『거대한 전환』 읽기 ○ 기간 : 2022년 6월 24일(금)~ 9월 16일(금) · 주 1회 · 총 12회 · 한가위 연휴인 9월 9일은 휴강 ○ 시간 : 매주 금요일 오전 11시~오후 1시(매회 2시간) ○ 방법 : Zoom...Category철학강좌 By이우 Reply0 Views318 -
28May 202222:20
[모집] 철학강독 「마주침」⑥ : 칸트의 『판단력 비판』
철학강독 <마주침>은 현대철학의 끝단에 있는 들뢰즈 철학과 연결해 고대에서부터 현대까지의 철학고전서를 읽으면서, 솟구치고 휘감아도는 사유의 강물 위에 수표(水標)를 올리고, 그 속도와 무게, 타격, 충돌, 뒤얽힘을 측정합니다. 그 여섯번째 강...Category철학강좌 By이우 Reply0 Views352 -
30Jan 201917:26
[진행중] 철학강독 「마주침」⑤ : 루소의 『인간 불평등 기원론』
철학강독 <심포지엄(Symposion)>은 현대철학의 끝단에 있는 들뢰즈 철학과 연결해 고대에서부터 현대까지의 철학고전서를 읽으면서, 솟구치고 휘감아도는 사유의 강물 위에 수표(水標)를 올리고, 그 속도와 무게, 타격, 충돌, 뒤얽힘을 측정합니다....Category철학강좌 By이우 Reply0 Views2508 -
28Jul 202021:50
[종료] 철학 기본과정 「서구철학사, 스무 개의 마디」 · Part A(수요 저녁반)
철학은 인문학의 몸체입니다. 이 몸체는 빈 대지에서 솟구치는 것이 아니라 철학자가 사유되기 이전의 덩어리 상태인 내재성, 즉 덩어리 상태로 있는 줄들의 총체를 대상으로 직면하고, 화가가 시각과 관련된 감각-줄(색과 선-줄), 음악가가 청각...Category철학강좌 By이우 Reply0 Views2791 -
09Apr 202200:38
[완료] 철학강독 「심포지엄」 : 발터 벤야민의 『기술복제시대의 예술작품』 읽기
한국의 현대 미학과 예술비평, 문화 분석에서 가장 많이 이야기되고 있는 발터 벤야민의 미학 에세이 『기술복제시대의 예술작품』 을 읽어 보겠습니다. 대학교수가 아니었으며 강의도 별로 하지 못했고, 유명한 스승에게서 배우지도, 제자를 키우지도, 어...Category철학강좌 By이우 Reply0 Views528 -
24Dec 202123:25
[완료] 철학강독 : 『한국 철학사』 읽기
□ 강독 개요 ○ 강독명 : 철학강독 『한국 철학사』 읽기 ○ 기간 : 2022년 1월 14일(금)~ 4월 1일(금) · 주 1회 · 총 11회(2월 4일은 휴강) ○ 시간 : 매주 금요일 오전 11시~오후 1시(매회 2시간) ○ 방법 : COVID-19 상황에 따라 대면·비대면 혼용 또는 병용...Category철학강좌 By이우 Reply0 Views925 -
14Oct 202122:50
[완료] 철학강독 「마주침」④ : 흄의 『인간이란 무엇인가-오성·정념·도덕 본성론』
철학강독 <마주침>은 현대철학의 끝단에 있는 들뢰즈 철학과 연결해 고대에서부터 현대까지의 철학고전서를 읽으면서, 솟구치고 휘감아도는 사유의 강물 위에 수표(水標)를 올리고, 그 속도와 무게, 타격, 충돌, 뒤얽힘을 측정합니다. 그 네번째 강독...Category철학강좌 By이우 Reply0 Views1151 -
18Aug 202117:44
[완료] 철학강독 : 『노자 도덕경』 읽기 · Part B
루크레티우스를 읽고, 스피노자를 읽으면서, 또 니체와 들뢰즈를 읽으면서, 우리는 놀랄 수밖에 없었습니다. 이들의 사유 속에서 노자(老子)를 만나기 때문입니다. 언제 노자가 서양에 유입되었는지 확인할 수는 없었지만 17세기 이미 많은 동양의 저작들이...Category철학강좌 By이우 Reply0 Views1312 -
18Aug 202117:44
[완료] 철학강독 : 『노자 도덕경』 읽기 · Part A
루크레티우스를 읽고, 스피노자를 읽으면서, 또 니체와 들뢰즈를 읽으면서, 우리는 놀랄 수밖에 없었습니다. 이들의 사유 속에서 노자(老子)를 만나기 때문입니다. 언제 노자가 서양에 유입되었는지 확인할 수는 없었지만 17세기 이미 많은 동양의 저작들이...Category철학강좌 By이우 Reply0 Views1432 -
08Jul 202112:11
[완료] 철학강독 「마주침」③ : 스피노자의 『에티카』
철학 강독 <마주침>은 현대철학의 끝단에 있는 들뢰즈 철학과 연결해 고대에서부터 현대까지의 철학고전서를 읽으면서, 솟구치고 휘감아도는 사유의 강물 위에 수표(水標)를 올리고, 그 속도와 무게, 타격, 충돌, 뒤얽힘을 측정합니다. 그 세번째 강...Category철학강좌 By이우 Reply0 Views1654 -
20Feb 202116:04
[완료] 철학 강독 『안티 오이디푸스』 · Part A
□ 강독 개요 ○ 강독명 : 철학 강독 『안티 오이디푸스』 · Part A ○ 기간 : 2021년 3월 2일(화)~5월 18일(화) · 주 1회 · 총 12회 ○ 시간 : 매주 화요일 오전 10시~오후 12시 30분(매회 2시간 30분) ○ 장소 : 인문학공동체 에피쿠로스 사직동 사무실(아래 ...Category철학강좌 By이우 Reply0 Views2068 -
20Sep 202001:05
[완료] 철학강독 「심포지엄」⑫ : 들뢰즈 『천 개의 고원』 · Part B
철학강독 「심포지엄」의 마지막 책, 들뢰즈의 『천 개의 고원』을 읽습니다. 철학은 인문학의 몸체입니다. 이 몸체는 빈 대지에서 솟구치는 것이 아니라 철학자가 사유되기 이전의 덩어리 상태인 내재성, 즉 덩어리 상태로 있는 줄들의 총체...Category철학강좌 By이우 Reply0 Views2739 -
26Jan 202123:18
[완료] 철학강독 「마주침」① : 플라톤의 『국가(Politeia)』
철학 강독 「마주침」은 현대철학의 끝단에 있는 들뢰즈 철학과 연결해 고대에서부터 현대까지의 철학고전서를 읽으면서, 솟구치고 휘감아도는 이 사유의 강물 위에 수표(水標)를 올리고, 그 속도와 무게, 타격, 충돌, 뒤얽힘을 측정합니다. 그 첫번째 ...Category철학강좌 By이우 Reply0 Views2062 -
14Oct 202009:42
[완료] 『자본론(Das Kapital)』 강독⑤ : 『자본론3-하』
알튀세르가 이론-실천의 장에서 떠돌면서 '마주침의 우물론'을 발견한 장소, 푸코가 구조-생성의 장 위에서 떠돌며 생성의 법칙, 생성의 도표, 생성의 계열을 발견한 장소인 『자본론』을 읽고 있습니다. 『자본론』은 경제학자들에겐 해결해야 할...Category철학강좌 By이우 Reply0 Views2566 -
28Jul 202021:50
[완료] 철학 기본과정 「서구철학사, 스무 개의 마디」 · Part B
철학은 인문학의 몸체입니다. 이 몸체는 빈 대지에서 솟구치는 것이 아니라 철학자가 사유되기 이전의 덩어리 상태인 내재성, 즉 덩어리 상태로 있는 줄들의 총체를 대상으로 직면하고, 화가가 시각과 관련된 감각-줄(색과 선-줄), 음악가가 청각...Category철학강좌 By이우 Reply0 Views3336 -
14Oct 202009:42
[완료] 『자본론(Das Kapital)』 강독④ : 『자본론3-상』
알튀세르가 이론-실천의 장에서 떠돌면서 '마주침의 우물론'을 발견한 장소, 푸코가 구조-생성의 장 위에서 떠돌며 생성의 법칙, 생성의 도표, 생성의 계열을 발견한 장소인 『자본론』을 읽고 있습니다. 『자본론』은 경제학자들에겐 해결해야 할 ...Category철학강좌 By이우 Reply0 Views2296 -
20Sep 202001:05
[완료] 철학강독 「심포지엄」⑫ : 들뢰즈 『천 개의 고원』 · Part A
철학강독 「심포지엄」의 마지막 책, 들뢰즈의 『천 개의 고원』을 읽습니다. 철학은 인문학의 몸체입니다. 이 몸체는 빈 대지에서 솟구치는 것이 아니라 철학자가 사유되기 이전의 덩어리 상태인 내재성, 즉 덩어리 상태로 있는 줄들의 총체...Category철학강좌 By이우 Reply0 Views2526 -
28Jul 202021:50
[완료] 철학 기본과정 「서구철학사, 스무 개의 마디」 · Part A
철학은 인문학의 몸체입니다. 이 몸체는 빈 대지에서 솟구치는 것이 아니라 철학자가 사유되기 이전의 덩어리 상태인 내재성, 즉 덩어리 상태로 있는 줄들의 총체를 대상으로 직면하고, 화가가 시각과 관련된 감각-줄(색과 선-줄), 음악가가 청각...Category철학강좌 By이우 Reply0 Views3497 -
28Jul 202020:47
[완료] 『자본론(Das Kapital)』 강독③ : 『자본론2』
알튀세르가 이론-실천의 장에서 떠돌면서 '마주침의 우물론'을 발견한 장소, 푸코가 구조-생성의 장 위에서 떠돌며 생성의 법칙, 생성의 도표, 생성의 계열을 발견한 장소인 『자본론』을 읽고 있습니다. 『자본론』은 경제학자들에겐 해결해야 할 ...Category철학강좌 By이우 Reply0 Views2453 -
07Jun 202012:00
[완료] 『자본론(Das Kapital)』 강독② : 『자본론1-하』
알튀세르가 이론-실천의 장에서 떠돌면서 '마주침의 우물론'을 발견한 장소, 푸코가 구조-생성의 장 위에서 떠돌며 생성의 법칙, 생성의 도표, 생성의 계열을 발견한 장소인 『자본론』을 읽고 있습니다. 『자본론』은 경제학자들에겐 해결해야 ...Category철학강좌 By이우 Reply0 Views2855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