댓글 쓰기 권한이 없습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완료] 철학 기본과정 「서구철학사, 스무 개의 마디」 · Part B




PART | 회차 일시 |
철학자 · 학파 |
주요 내용 |
A |
제1강 (8월 22일) |
플라톤 | 이데아(idea)
· 가상(simmulacre) 정의(正義) · 계급국가 · 초월성의 함정 |
제2강 (8월 29일) |
아리스토텔레스 | 이데아(ida) ·
범주 행복 · 민주국가 · 사실과 범주의 문제 |
|
제3강 (9월 12일) |
스토아학파 | 로고스(Logos)
· 파툼(fatum) 사실과 추상의 합, 그 함정 |
|
제4강 (9월 19일) |
에피쿠로스학파 | 클리나멘(Clinamen)
· 루크레티우스의 자연주의 우발의 만남 |
|
제5강 (9월 26일) |
스콜라 | 교부철학 보편자와
개별자 · 실제론과 유명론 단자론 |
|
제6강 (10월 10일) |
데카르트 | 주체의 정립 ·
사유(res)와 연장(extend) 사유와 모랄(Moral) |
|
제7강 (10월 17일) |
스피노자 | 심신평행론 ·
코나투스(conatus) · 능산적 자연 · 소산적 자연 정념과 에틱(Ethic) |
|
제8강 (10월 24일) |
로크와 루소 | 타블라사 · 로크의
딜레마 · 소유에 관한 고찰 · 불평등의 기원 근대국가의 성립 · 사회계약론 |
|
제9강 (10월 31일) |
흄과 버클리 | 경험론과 합리주의
· 주체의 해체 · 연합관념론 근대철학의 위기 |
|
제10강 (11월 7일) |
칸트 | 아프리오리(apriori)
· 정언명령 근대철학의 재건 · 인식과 판단의 문제 |
|
B | 제11강 (11월 14일) |
피히테와 헤겔 | 자아와 정신의 복권 · 변증법 · 절대정신 관념론의 몰락 |
제12강 (11월 21일) |
칼 맑스 | 자본 · 잉여가치 · 실천의 문제 유물론과 주체의 몰락 · 근대와 탈근대 |
|
제13강 (11월 28일) |
실존주의 | 니체와 하이데거, 그리고 사르트르 존재와 실존의 문제 |
|
제14강 (12월 5일) |
구조주의 | 소쉬르와 비트겐슈타인 · 언어 게임과 인식론 언어학과 철학 |
|
제15강 (12월 12일) |
프로이트와 라캉 | 무의식과 정신분석의 언어학 타자의 담론 |
|
제16강 (12월 19일) |
베르그손 | 차이의 탄생 · 내재와 발현 · 기억과 습관 엘랑비탈(elanvital) |
|
제17강 (1월 9일) |
알튀세르 | 이데올로기와 국가장치· 중층결정 이데올로기를 위한 변명과 그 모순 |
|
제18강 (1월 16일) |
미셀 푸코 | 생체권력 · 규율권력 · 파놉티콘 · 자기배려 권력 이론과 생명관리정치의 탄생 |
|
제19강 (1월 23일) |
가타리와 들뢰즈 | 카오스모스 · 욕망과 배치 · 의미 차이의 정립 · 노마디즘의 지평 |
|
제20강 (1월 30일) |
세책례 | 우리에게 남겨진 문제들 |
이 강좌는 철학
기본과정 <서구철학사, 스무 개의 마디 · Part A>에서 이어지는 강좌입니다.
| 1984년 경북대학교 국어국문학과에 입학하여 책읽기와 글쓰기에 대한 꿈을 꾸었다. 시(詩) <강변에서>로 강변시인학교 장원, 문학비평 <리얼리즘에서 모더니즘까지>로 복현문학상, 소설 <죽(竹)>으로 복현문예상을 받았다. 인문학공동체 에피쿠로스 공동대표로 있으면서 사진을 찍고 사진 관련 글을 써왔으며, 문화재청 무형문화재 컨설팅에도 참여했다. <조선대학교>, <순천대학교>, <동아대학교>, <경북도립대학교> 등의 대학, <인천북구도서관>, <아람누리도서관>, <가산정보도서관>, <개포도서관>, <금천구립시흥도서관>, <서울도서관> 등의 공공도서관에서 인문학과 철학 강의를 하고, <한겨레교육문화센터>에서 <인문학 산책>, 인문학 기행 <서울을 걸어 인문학을 만나다> 등의 강의를 했다. 주요 이력 · 경력 · 경북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졸업 · (전)문화재청·한국공예디자인진흥원 무형문화재 전수관 컨설턴트 · (현)인문학서원 <에피쿠로스> 대표 · 조선대 · 동아대학교· 순천대 · 안동과학대 · 경북도립대학교 등 대학에서 인문학 강의 · 조선대 · 순천대 · 안동과학대 ·정의여고 등 독서토론 패널 활동 · 서울문화재단 <공공도서관 사서대상 독서토론 리더 교육> 워크숍 강의 · 조선대학교· 안동과학대· 동아대학교 독서캠프 및 독서토론 · 서울문화재단 <책 읽는 서울> 논제 출제 · 서울시 <한 도서관 한 책 읽기> 공공도서관 순회 독서토론· · 인천 미추홀 도서관 서평쓰기 강의 · 파주시 법원도서관 독서토론리더과정 강의 · 파주책축제 <BOOK소리 2001> 게릴라 독서토론· 의정부과학도서관 <이야기가 있는 인문학I>(10주차) 강의 · 의정부과학도서관 <이야기가 있는 인문학II>(10주차) 강의· 부평구청 <이야기가 있는 인문학> 강의 · 가산정보도서관 <이야기가 있는 인문학I>(12주차) 강의 · 가산정보도서관 <이야기가 있는 인문학II : 철학사>(12주차) 강의 · 가산정보도서관 <이야기가 있는 인문학III : 영화로 보는 인문학>(12주차) 강의 · 경북도립대학교 <2012 인문고전 만남> 강의(11주차) · 서대문도서관 독서토론 리더교육 <Reader가 Leader다> 강의 · 서대문도서관 <동네방네 인문학> 강좌 · 아람누리도서관 <인문학산책> 강의(10주차) · 개포도서관 똘레랑스 축제 <인문학산책> 강의 · 경북도립대학교 <2013 인문고전 만남> 강의(11주차) · 한국도서관협회 <길 위의 인문학> 강의 · 응앙정보도서관 <이야기가 있는 인문학> 강의(8주차) · 양주시 <One City One Book> 공개토론회 논제 출제 위원 및 패널· 양천구청 평생학습센터 · 금천구립 시흥도서관 <이야기가 있는 인문학> 강의 (10강) · 금천구립 시흥도서관 <서양철학사, 스무 개의 마디> 강의(20강) · 2015년 경북도립대학교 인문고전 만남 <청년, 세상을 노마드하다> 강의 · 2015년 「인문독서아카데미」용인수지도서관 강의 · 2015년 강서구 자원봉사대학 인문강좌 「자원봉사, 문화에 빠져들다」 강의 · 2015년 은평시민신문 인문강좌 <공동체 가능한가> 강의 · 은평구평생학습관 은평시민대학 <스무 살 학교 · 청년, 세상 속으로 길 나서다> 강의 · 2015년「길 위의 인문학」용인수지도서관 <책과 여행, 그리고 삶> 강의 · 한겨레교육문화센터 인문학 기행 <서울을 걸어 인문학을 만나다>, <인문학산책> 강의 · 인문학공동체 에피쿠로스 『천 개의 고원』 철학강독
· 서울형 혁신교육지구 서대문구 토론리더 양성과정 강의 · 금천구립시흥도서관 「함께 읽는 서양철학사」강의 · 은평시민대학 꽃보다어른학교 인문여행교실 강의 · 강서도서관 · 구로 하늘도서관 등에서 인문독서토론 강의 · 인문학공동체 에피크로스 「니체, 오! 니체여」, 「밥 딜런의 예술 미학」 등 철학 강의
· 중랑구립정보도서관 인문학 글쓰기 특강 「문체와 리듬, 변주」강의 · 인천 남구평생학습관 「서양철학에서 배우는 삶」 강의 |




- 철학사,
-
20Feb 202116:04
[모집] 철학 강독 『안티 오이디푸스』 · Part A
□ 강독 개요 ○ 강독명 : 철학 강독 『안티 오이디푸스』 · Part A ○ 기간 : 2021년 3월 2일(화)~5월 18일(화) · 주 1회 · 총 12회 ○ 시간 : 매주 화요일 오전 10시~오후 12시 30분(매회 2시간 30분) ○ 장소 : 인문학공동체 에피쿠로스 사직동 사무실(아래 ...Category철학강좌 By이우 Reply0 Views154 -
20Sep 202001:05
[진행중] 철학강독 「심포지엄」⑫ : 들뢰즈 『천 개의 고원』 · Part B
철학강독 「심포지엄」의 마지막 책, 들뢰즈의 『천 개의 고원』을 읽습니다. 철학은 인문학의 몸체입니다. 이 몸체는 빈 대지에서 솟구치는 것이 아니라 철학자가 사유되기 이전의 덩어리 상태인 내재성, 즉 덩어리 상태로 있는 줄들의 총체...Category철학강좌 By이우 Reply0 Views723 -
26Jan 202123:18
[진행중] 철학강독 「마주침」① : 플라톤의 『국가(Politeia)』
철학 강독 「마주침」은 현대철학의 끝단에 있는 들뢰즈 철학과 연결해 고대에서부터 현대까지의 철학고전서를 읽으면서, 솟구치고 휘감아도는 이 사유의 강물 위에 수표(水標)를 올리고, 그 속도와 무게, 타격, 충돌, 뒤얽힘을 측정합니다. 그 첫번째 ...Category철학강좌 By이우 Reply0 Views265 -
14Oct 202009:42
[완료] 『자본론(Das Kapital)』 강독⑤ : 『자본론3-하』
알튀세르가 이론-실천의 장에서 떠돌면서 '마주침의 우물론'을 발견한 장소, 푸코가 구조-생성의 장 위에서 떠돌며 생성의 법칙, 생성의 도표, 생성의 계열을 발견한 장소인 『자본론』을 읽고 있습니다. 『자본론』은 경제학자들에겐 해결해야 할...Category철학강좌 By이우 Reply0 Views455 -
28Jul 202021:50
[완료] 철학 기본과정 「서구철학사, 스무 개의 마디」 · Part B
철학은 인문학의 몸체입니다. 이 몸체는 빈 대지에서 솟구치는 것이 아니라 철학자가 사유되기 이전의 덩어리 상태인 내재성, 즉 덩어리 상태로 있는 줄들의 총체를 대상으로 직면하고, 화가가 시각과 관련된 감각-줄(색과 선-줄), 음악가가 청각...Category철학강좌 By이우 Reply0 Views874 -
14Oct 202009:42
[완료] 『자본론(Das Kapital)』 강독④ : 『자본론3-상』
알튀세르가 이론-실천의 장에서 떠돌면서 '마주침의 우물론'을 발견한 장소, 푸코가 구조-생성의 장 위에서 떠돌며 생성의 법칙, 생성의 도표, 생성의 계열을 발견한 장소인 『자본론』을 읽고 있습니다. 『자본론』은 경제학자들에겐 해결해야 할 ...Category철학강좌 By이우 Reply0 Views484 -
20Sep 202001:05
[완료] 철학강독 「심포지엄」⑫ : 들뢰즈 『천 개의 고원』 · Part A
철학강독 「심포지엄」의 마지막 책, 들뢰즈의 『천 개의 고원』을 읽습니다. 철학은 인문학의 몸체입니다. 이 몸체는 빈 대지에서 솟구치는 것이 아니라 철학자가 사유되기 이전의 덩어리 상태인 내재성, 즉 덩어리 상태로 있는 줄들의 총체...Category철학강좌 By이우 Reply0 Views509 -
28Jul 202021:50
[완료] 철학 기본과정 「서구철학사, 스무 개의 마디」 · Part A
철학은 인문학의 몸체입니다. 이 몸체는 빈 대지에서 솟구치는 것이 아니라 철학자가 사유되기 이전의 덩어리 상태인 내재성, 즉 덩어리 상태로 있는 줄들의 총체를 대상으로 직면하고, 화가가 시각과 관련된 감각-줄(색과 선-줄), 음악가가 청각...Category철학강좌 By이우 Reply0 Views1040 -
28Jul 202020:47
[완료] 『자본론(Das Kapital)』 강독③ : 『자본론2』
알튀세르가 이론-실천의 장에서 떠돌면서 '마주침의 우물론'을 발견한 장소, 푸코가 구조-생성의 장 위에서 떠돌며 생성의 법칙, 생성의 도표, 생성의 계열을 발견한 장소인 『자본론』을 읽고 있습니다. 『자본론』은 경제학자들에겐 해결해야 할 ...Category철학강좌 By이우 Reply0 Views716 -
07Jun 202012:00
[완료] 『자본론(Das Kapital)』 강독② : 『자본론1-하』
알튀세르가 이론-실천의 장에서 떠돌면서 '마주침의 우물론'을 발견한 장소, 푸코가 구조-생성의 장 위에서 떠돌며 생성의 법칙, 생성의 도표, 생성의 계열을 발견한 장소인 『자본론』을 읽고 있습니다. 『자본론』은 경제학자들에겐 해결해야 ...Category철학강좌 By이우 Reply0 Views916 -
01Jun 202014:51
[진행중] 철학강독 「심포지엄」⑪ : 푸코 『말과 사물』
푸코 『말과 사물』을 읽고, 현대철학의 끝단에 있는 들뢰즈 철학과 연결해 고대에서부터 현대까지의 철학고전서를 읽으면서, 솟구치고 휘감아도는 사유의 강물 위에 수표(水標)를 올리고, 그 속도와 무게, 타격, 충돌, 뒤얽힘을 측정합니...Category철학강좌 By이우 Reply0 Views1022 -
26Apr 202004:49
[완료] 『자본론(Das Kapital)』 강독① : 『자본론1-상』
다 읽어낼 수 있을까, 주저했습니다. 둘러서 갈 수 없을까, 고민했습니다. 읽어야 할 책이 너무 많았습니다. 한 번은 디뎌야 할 지면(紙面)을 앞에 두고 미루기만 했습니다. 카를 마르크스가 외딴방에 앉아 자본론 초판의 서문에 썼던 '메두사의 대가리...Category철학강좌 By이우 Reply0 Views1245 -
16Apr 202016:35
[완료] 철학 기초과정 : 「이야기가 있는 철학」(토요반)
철학은 인문학의 몸체입니다. 이 몸체는 빈 대지에서 솟구치는 것이 아니라 철학자가 사유되기 이전의 덩어리 상태인 내재성, 즉 덩어리 상태로 있는 줄들의 총체를 대상으로 직면하고, 화가가 시각과 관련된 감각-줄(색과 선-줄), 음악가가 청각과 관련...Category철학강좌 By이우 Reply0 Views1762 -
23Feb 202001:26
[종료] 철학강독 「심포지엄(Symposion)」⑩ : 알튀세르의 『철학과 맑스주의』
철학강독 <심포지엄(Symposion)>은 현대철학의 끝단에 있는 들뢰즈 철학과 연결해 고대에서부터 현대까지의 철학고전서를 읽으면서, 솟구치고 휘감아도는 사유의 강물 위에 수표(水標)를 올리고, 그 속도와 무게, 타격, 충돌, 뒤얽힘을 측정합...Category철학강좌 By이우 Reply0 Views1347 -
24Oct 201904:55
[완료] 철학강독 「심포지엄(Symposion)」⑨ : 베르그손의 『물질과 기억』
철학강독 <심포지엄(Symposion)>은 현대철학의 끝단에 있는 들뢰즈 철학과 연결해 고대에서부터 현대까지의 철학고전서를 읽으면서, 솟구치고 휘감아도는 사유의 강물 위에 수표(水標)를 올리고, 그 속도와 무게, 타격, 충돌, 뒤얽힘을 측정합니다. 그 아...Category철학강좌 By이우 Reply0 Views1659 -
03Aug 201902:59
[완료] 철학강독 「심포지엄(Symposion)」⑧ : 니체의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
철학강독 <심포지엄(Symposion)>은 현대철학의 끝단에 있는 들뢰즈 철학과 연결해 고대에서부터 현대까지의 철학고전서를 읽으면서, 솟구치고 휘감아도는 사유의 강물 위에 수표(水標)를 올리고, 그 속도와 무게, 타격, 충돌, 뒤얽힘을 측정합니다. 그 ...Category철학강좌 By이우 Reply0 Views1821 -
25May 201905:51
[완료] 철학강독 「심포지엄(Symposion)」⑦ : 니체의 『아침놀』
철학강독 <심포지엄(Symposion)>은 현대철학의 끝단에 있는 들뢰즈 철학과 연결해 고대에서부터 현대까지의 철학고전서를 읽으면서, 솟구치고 휘감아도는 사유의 강물 위에 수표(水標)를 올리고, 그 속도와 무게, 타격, 충돌, 뒤얽힘을 측정합니다. 그 일...Category철학강좌 By이우 Reply0 Views1879 -
09Mar 201901:20
[완료] 철학강독 「심포지엄(Symposion)」⑥ : 칸트의 『판단력 비판』
철학강독 <심포지엄(Symposion)>은 현대철학의 끝단에 있는 들뢰즈 철학과 연결해 고대에서부터 현대까지의 철학고전서를 읽으면서, 솟구치고 휘감아도는 사유의 강물 위에 수표(水標)를 올리고, 그 속도와 무게, 타격, 충돌, 뒤얽힘을 측정합니다. 그 여...Category철학강좌 By이우 Reply0 Views2002 -
07Feb 201922:36
[완료] 철학강독 「심포지엄(Symposion)」⑤ : 루소의 『인간 불평등 기원론』
철학강독 <심포지엄(Symposion)>은 현대철학의 끝단에 있는 들뢰즈 철학과 연결해 고대에서부터 현대까지의 철학고전서를 읽으면서, 솟구치고 휘감아도는 사유의 강물 위에 수표(水標)를 올리고, 그 속도와 무게, 타격, 충돌, 뒤얽힘을 측정합니다. 그 ...Category철학강좌 By이우 Reply0 Views2117 -
15Nov 201810:40
[완료] 철학강독 「심포지엄(Symposion)」④ : 흄의 『인간이란 무엇인가-오성·정념·도덕 본성론』
철학강독 <심포지엄(Symposion)>은 현대철학의 끝단에 있는 들뢰즈 철학과 연결해 고대에서부터 현대까지의 철학고전서를 읽으면서, 솟구치고 휘감아도는 사유의 강물 위에 수표(水標)를 올리고, 그 속도와 무게, 타격, 충돌, 뒤얽힘을 측정합니다. 그 네...Category철학강좌 By이우 Reply0 Views2222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