댓글 쓰기 권한이 없습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완료] 철학 기초과정 : 「이야기가 있는 철학」(토요반)

○ 기간 : 2020년 5월 16일(토)~8월 1일(토)·주 1회·총 12회
○ 시간 : 매주 토요일 오후 3시~오후 6시(회당 3시간)
○ 장소 : 인문학공동체 에피쿠로스 사직동 사무실( 아래 약도 참조)
○ 수강 대상 : 고등학생·대학생·성인
○ 수강 인원 : 10명
○ 수강료 : 24만원(회당 2만원)
○ 강사 : 인문학공동체 에피쿠로스(www.epicurus.kr) 이우
○ 수강료 결재 : 온라인 입금하시거나(하나은행 580-910004-86104 예금주 : 주식회사 에피쿠로스, 현장에서 신용카드 결재)
○ 수강 신청 : 하단의 <온란인 참가신청서>를 눌러 신청하시거나, 아래 담당자에게 구두로 혹은 이메일로 신청하십시오.
○ 문의 : 이우(010-3827-5956 · mudbull@hanmail.net)


□ 과정 특징
○ 일상의 주제를 이야기하듯 풀어나가는 철학 기초 과정
○ 인문학(문학·사학·철학) 중심의 인문 교육을 통한 인문 소양 함양
□ 커리큘럼
회차 (일자) |
주제 및 내용 |
비고 |
1강 (5월 16일) |
철학, 너는 누구냐? -인문학과 철학 · 인(人)에 대하여 · 문(文)에 대하여 -수학과 철학, 그리고 실재 · 문학과 사학, 그리고 철학 -세 가지 사유 형식, 철학 · 과학 · 예술 |
|
2강 (5월 23일) |
나는 누구인가? -춘원 이광수와 육당 최남선 · 예루살렘의 아이히만 -주체(Subject)와 객체(Object) · 데카르트 · 라캉 · 알튀세르 -호명이론 · 근대철학과 현대철학 |
|
3강 (5월 30일) |
사랑, 그 미완의 그리움 -김우진과 윤심덕 · 유치환과 이영도 · 사르트르와 보부아르 -즉자존재 VS 대자존재 VS 대타존재·개별자와 보편자 -플라톤 · 프로이트 · 샤르트르 · 헤겔 · 바디우 · 아감벤 |
|
4강 (6월 6일) |
몸, 통제불능의 아름다움 -천지창조, 탄트라 · 킨제이보고서 -플라톤 Vs 아리스토켈레스 · 데카르트 Vs 스피노자 -관념론 VS 유물론 · 베르그송의 기억 이미지 · 약동(Elanvital) |
|
5강 (6월 13일) |
아름다움, 그 뿌리칠 수 없는 유혹 -4대 미인도 · 미(美) · 문화와 예술 · 순수와 참여 -고대와 중세 미학, 근대와 현대 미학 · 재현과 표현 -플라톤과 발터 벤야민, 들뢰즈 미학 |
|
6강 (6월 20일) |
돈, 지긋지긋한 욕망들 -소유 · 통치론과 인간불평등 기원론 · 국부론 -상징가치와 교환가치, 그리고 기호가치와 상징가치 -근대국가의 탄생 |
|
7강 (6월 27일) |
법, 보편성을 파면하는 이율배반 -디케 Vs 해치 · 사실판단 Vs 가치 판단 · 뉘른베르크법 - 칸트와 헤겔 · 자연법 Vs 실증법 · 합목적적 질서 Vs 자생적 질서 -코데(Code) |
|
8강 (7월 4일) |
과학, 그 생성의 설레임 -스페이스 오디세이 · 오펜하이머 사건 · 메트릭스 Vs 아바타 -근대물리학과 현대물리학 · 환경과 리듬 · 분자적 다윈주의 -세계의 탄생·유기체의 탄생·사회의 탄생·추상 기계 |
|
9강 (7월 11일) |
교육, 이마에 새겨지는 바코드 -조선시대 Vs 일제강점기 Vs 현대 · 실용주의 Vs 아카데미즘 -에밀 Vs 타이거 마더 · 보통교육 · 인성교육 · 존재교육 -루소와 푸코 · 알 튀세르 |
|
10강 (7월 18일) |
불안, 영원한 형벌인가? -지위(status) · 부조리 · 니힐리즘 · 까뮈의 <시지프의 신화> -실존주의 · 하이데거와 샤르트르, 그리고 레비나스 -홈 패인 공간 vs 매끈한 공간 · 성층작용 · 매끈하게 하기 |
|
11강 (7월 25일) |
욕망, 부정하거나 긍정하거나 -욕망이론 -니체의 결핍 · 바타유의 에로티즘 · 프로이트의 억압 -푸코의 욕망관리 · 알튀세르의 ‘장치’ · 들뢰즈의 ‘생산하는 욕망’ |
|
12강 (8월 1일) |
운명, 혹은 우연 -운명 · 우발과 우연 -아낭케(Ananke) VS 파툼(Fatum) VS 클리나멘(Clinamen) -초월성과 외부성, 그리고 내재성 · 현실태와 잠재태 -인칭적 사건 VS 비인칭적 사건·차이의 철학 |


□ 강사 소개 : 이우(泥牛) 곽원효
![]()
|
1984년 경북대학교 국어국문학과에 입학하여 책읽기와 글쓰기에 대한 꿈을 꾸다가 졸업했다.
시(詩) <강변에서>로 강변시인학교 장원, 문학비평 <리얼리즘에서 모더니즘까지>로 복현문학상, 소설 <죽(竹)>으로 복현문예상을
받았다. 인문학공동체 에피쿠로스 공동대표로 있으면서 사진을 찍고 사진 관련 글을 써왔으며, 문화재청 무형문화재 컨설팅에도
참여했다. <조선대학교>, <순천대학교>, <동아대학교>, <경북도립대학교> 등의 대학, <인천북구도서관>, <아람누리도서관>,
<가산정보도서관>, <개포도서관>, <금천구립시흥도서관>, <서울도서관> 등의 공공도서관에서 인문학과 철학 강의를 하고, <한겨레교육문화센터>에서
<인문학 산책>, 인문학 기행 <서울을 걸어 인문학을 만나다> 등의 강의를 했다. |




- 철학,
- 문학,
- 사학,
- 예술,
- 철학 기초괴정,
- 이야기가 있는 인문학,
- 이야기가 있는 철학,
-
20Feb 202116:04
[모집] 철학 강독 『안티 오이디푸스』 · Part A
□ 강독 개요 ○ 강독명 : 철학 강독 『안티 오이디푸스』 · Part A ○ 기간 : 2021년 3월 2일(화)~5월 18일(화) · 주 1회 · 총 12회 ○ 시간 : 매주 화요일 오전 10시~오후 12시 30분(매회 2시간 30분) ○ 장소 : 인문학공동체 에피쿠로스 사직동 사무실(아래 ...Category철학강좌 By이우 Reply0 Views48 -
20Sep 202001:05
[진행중] 철학강독 「심포지엄」⑫ : 들뢰즈 『천 개의 고원』 · Part B
철학강독 「심포지엄」의 마지막 책, 들뢰즈의 『천 개의 고원』을 읽습니다. 철학은 인문학의 몸체입니다. 이 몸체는 빈 대지에서 솟구치는 것이 아니라 철학자가 사유되기 이전의 덩어리 상태인 내재성, 즉 덩어리 상태로 있는 줄들의 총체...Category철학강좌 By이우 Reply0 Views611 -
26Jan 202123:18
[진행중] 철학강독 「마주침」① : 플라톤의 『국가(Politeia)』
철학 강독 「마주침」은 현대철학의 끝단에 있는 들뢰즈 철학과 연결해 고대에서부터 현대까지의 철학고전서를 읽으면서, 솟구치고 휘감아도는 이 사유의 강물 위에 수표(水標)를 올리고, 그 속도와 무게, 타격, 충돌, 뒤얽힘을 측정합니다. 그 첫번째 ...Category철학강좌 By이우 Reply0 Views145 -
14Oct 202009:42
[완료] 『자본론(Das Kapital)』 강독⑤ : 『자본론3-하』
알튀세르가 이론-실천의 장에서 떠돌면서 '마주침의 우물론'을 발견한 장소, 푸코가 구조-생성의 장 위에서 떠돌며 생성의 법칙, 생성의 도표, 생성의 계열을 발견한 장소인 『자본론』을 읽고 있습니다. 『자본론』은 경제학자들에겐 해결해야 할...Category철학강좌 By이우 Reply0 Views345 -
28Jul 202021:50
[완료] 철학 기본과정 「서구철학사, 스무 개의 마디」 · Part B
철학은 인문학의 몸체입니다. 이 몸체는 빈 대지에서 솟구치는 것이 아니라 철학자가 사유되기 이전의 덩어리 상태인 내재성, 즉 덩어리 상태로 있는 줄들의 총체를 대상으로 직면하고, 화가가 시각과 관련된 감각-줄(색과 선-줄), 음악가가 청각...Category철학강좌 By이우 Reply0 Views734 -
14Oct 202009:42
[완료] 『자본론(Das Kapital)』 강독④ : 『자본론3-상』
알튀세르가 이론-실천의 장에서 떠돌면서 '마주침의 우물론'을 발견한 장소, 푸코가 구조-생성의 장 위에서 떠돌며 생성의 법칙, 생성의 도표, 생성의 계열을 발견한 장소인 『자본론』을 읽고 있습니다. 『자본론』은 경제학자들에겐 해결해야 할 ...Category철학강좌 By이우 Reply0 Views378 -
20Sep 202001:05
[완료] 철학강독 「심포지엄」⑫ : 들뢰즈 『천 개의 고원』 · Part A
철학강독 「심포지엄」의 마지막 책, 들뢰즈의 『천 개의 고원』을 읽습니다. 철학은 인문학의 몸체입니다. 이 몸체는 빈 대지에서 솟구치는 것이 아니라 철학자가 사유되기 이전의 덩어리 상태인 내재성, 즉 덩어리 상태로 있는 줄들의 총체...Category철학강좌 By이우 Reply0 Views394 -
28Jul 202021:50
[완료] 철학 기본과정 「서구철학사, 스무 개의 마디」 · Part A
철학은 인문학의 몸체입니다. 이 몸체는 빈 대지에서 솟구치는 것이 아니라 철학자가 사유되기 이전의 덩어리 상태인 내재성, 즉 덩어리 상태로 있는 줄들의 총체를 대상으로 직면하고, 화가가 시각과 관련된 감각-줄(색과 선-줄), 음악가가 청각...Category철학강좌 By이우 Reply0 Views882 -
28Jul 202020:47
[완료] 『자본론(Das Kapital)』 강독③ : 『자본론2』
알튀세르가 이론-실천의 장에서 떠돌면서 '마주침의 우물론'을 발견한 장소, 푸코가 구조-생성의 장 위에서 떠돌며 생성의 법칙, 생성의 도표, 생성의 계열을 발견한 장소인 『자본론』을 읽고 있습니다. 『자본론』은 경제학자들에겐 해결해야 할 ...Category철학강좌 By이우 Reply0 Views590 -
07Jun 202012:00
[완료] 『자본론(Das Kapital)』 강독② : 『자본론1-하』
알튀세르가 이론-실천의 장에서 떠돌면서 '마주침의 우물론'을 발견한 장소, 푸코가 구조-생성의 장 위에서 떠돌며 생성의 법칙, 생성의 도표, 생성의 계열을 발견한 장소인 『자본론』을 읽고 있습니다. 『자본론』은 경제학자들에겐 해결해야 ...Category철학강좌 By이우 Reply0 Views793 -
01Jun 202014:51
[진행중] 철학강독 「심포지엄」⑪ : 푸코 『말과 사물』
푸코 『말과 사물』을 읽고, 현대철학의 끝단에 있는 들뢰즈 철학과 연결해 고대에서부터 현대까지의 철학고전서를 읽으면서, 솟구치고 휘감아도는 사유의 강물 위에 수표(水標)를 올리고, 그 속도와 무게, 타격, 충돌, 뒤얽힘을 측정합니...Category철학강좌 By이우 Reply0 Views881 -
26Apr 202004:49
[완료] 『자본론(Das Kapital)』 강독① : 『자본론1-상』
다 읽어낼 수 있을까, 주저했습니다. 둘러서 갈 수 없을까, 고민했습니다. 읽어야 할 책이 너무 많았습니다. 한 번은 디뎌야 할 지면(紙面)을 앞에 두고 미루기만 했습니다. 카를 마르크스가 외딴방에 앉아 자본론 초판의 서문에 썼던 '메두사의 대가리...Category철학강좌 By이우 Reply0 Views1091 -
16Apr 202016:35
[완료] 철학 기초과정 : 「이야기가 있는 철학」(토요반)
철학은 인문학의 몸체입니다. 이 몸체는 빈 대지에서 솟구치는 것이 아니라 철학자가 사유되기 이전의 덩어리 상태인 내재성, 즉 덩어리 상태로 있는 줄들의 총체를 대상으로 직면하고, 화가가 시각과 관련된 감각-줄(색과 선-줄), 음악가가 청각과 관련...Category철학강좌 By이우 Reply0 Views1544 -
23Feb 202001:26
[종료] 철학강독 「심포지엄(Symposion)」⑩ : 알튀세르의 『철학과 맑스주의』
철학강독 <심포지엄(Symposion)>은 현대철학의 끝단에 있는 들뢰즈 철학과 연결해 고대에서부터 현대까지의 철학고전서를 읽으면서, 솟구치고 휘감아도는 사유의 강물 위에 수표(水標)를 올리고, 그 속도와 무게, 타격, 충돌, 뒤얽힘을 측정합...Category철학강좌 By이우 Reply0 Views1182 -
24Oct 201904:55
[완료] 철학강독 「심포지엄(Symposion)」⑨ : 베르그손의 『물질과 기억』
철학강독 <심포지엄(Symposion)>은 현대철학의 끝단에 있는 들뢰즈 철학과 연결해 고대에서부터 현대까지의 철학고전서를 읽으면서, 솟구치고 휘감아도는 사유의 강물 위에 수표(水標)를 올리고, 그 속도와 무게, 타격, 충돌, 뒤얽힘을 측정합니다. 그 아...Category철학강좌 By이우 Reply0 Views1490 -
03Aug 201902:59
[완료] 철학강독 「심포지엄(Symposion)」⑧ : 니체의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
철학강독 <심포지엄(Symposion)>은 현대철학의 끝단에 있는 들뢰즈 철학과 연결해 고대에서부터 현대까지의 철학고전서를 읽으면서, 솟구치고 휘감아도는 사유의 강물 위에 수표(水標)를 올리고, 그 속도와 무게, 타격, 충돌, 뒤얽힘을 측정합니다. 그 ...Category철학강좌 By이우 Reply0 Views1667 -
25May 201905:51
[완료] 철학강독 「심포지엄(Symposion)」⑦ : 니체의 『아침놀』
철학강독 <심포지엄(Symposion)>은 현대철학의 끝단에 있는 들뢰즈 철학과 연결해 고대에서부터 현대까지의 철학고전서를 읽으면서, 솟구치고 휘감아도는 사유의 강물 위에 수표(水標)를 올리고, 그 속도와 무게, 타격, 충돌, 뒤얽힘을 측정합니다. 그 일...Category철학강좌 By이우 Reply0 Views1693 -
09Mar 201901:20
[완료] 철학강독 「심포지엄(Symposion)」⑥ : 칸트의 『판단력 비판』
철학강독 <심포지엄(Symposion)>은 현대철학의 끝단에 있는 들뢰즈 철학과 연결해 고대에서부터 현대까지의 철학고전서를 읽으면서, 솟구치고 휘감아도는 사유의 강물 위에 수표(水標)를 올리고, 그 속도와 무게, 타격, 충돌, 뒤얽힘을 측정합니다. 그 여...Category철학강좌 By이우 Reply0 Views1849 -
07Feb 201922:36
[완료] 철학강독 「심포지엄(Symposion)」⑤ : 루소의 『인간 불평등 기원론』
철학강독 <심포지엄(Symposion)>은 현대철학의 끝단에 있는 들뢰즈 철학과 연결해 고대에서부터 현대까지의 철학고전서를 읽으면서, 솟구치고 휘감아도는 사유의 강물 위에 수표(水標)를 올리고, 그 속도와 무게, 타격, 충돌, 뒤얽힘을 측정합니다. 그 ...Category철학강좌 By이우 Reply0 Views1943 -
15Nov 201810:40
[완료] 철학강독 「심포지엄(Symposion)」④ : 흄의 『인간이란 무엇인가-오성·정념·도덕 본성론』
철학강독 <심포지엄(Symposion)>은 현대철학의 끝단에 있는 들뢰즈 철학과 연결해 고대에서부터 현대까지의 철학고전서를 읽으면서, 솟구치고 휘감아도는 사유의 강물 위에 수표(水標)를 올리고, 그 속도와 무게, 타격, 충돌, 뒤얽힘을 측정합니다. 그 네...Category철학강좌 By이우 Reply0 Views2035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