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3Jun 202223:48
[모집] 철학강독 「심포지엄」 : 칼 폴라니의 『거대한 전환』 읽기
□ 강독 개요 ○ 강독명 : 철학강독 「심포지엄」 : 칼 폴라니의 『거대한 전환』 읽기 ○ 기간 : 2022년 6월 24일(금)~ 9월 16일(금) · 주 1회 · 총 12회 · 한가위 연휴인 9월 9일은 휴강 ○ 시간 : 매주 금요일 오전 11시~오후 1시(매회 2시간) ○ 방법 : Zoom...Category철학강좌 By이우 Reply0 Views318 -
28May 202222:20
[모집] 철학강독 「마주침」⑥ : 칸트의 『판단력 비판』
철학강독 <마주침>은 현대철학의 끝단에 있는 들뢰즈 철학과 연결해 고대에서부터 현대까지의 철학고전서를 읽으면서, 솟구치고 휘감아도는 사유의 강물 위에 수표(水標)를 올리고, 그 속도와 무게, 타격, 충돌, 뒤얽힘을 측정합니다. 그 여섯번째 강...Category철학강좌 By이우 Reply0 Views352 -
30Jan 201917:26
[진행중] 철학강독 「마주침」⑤ : 루소의 『인간 불평등 기원론』
철학강독 <심포지엄(Symposion)>은 현대철학의 끝단에 있는 들뢰즈 철학과 연결해 고대에서부터 현대까지의 철학고전서를 읽으면서, 솟구치고 휘감아도는 사유의 강물 위에 수표(水標)를 올리고, 그 속도와 무게, 타격, 충돌, 뒤얽힘을 측정합니다....Category철학강좌 By이우 Reply0 Views2508 -
28Jul 202021:50
[종료] 철학 기본과정 「서구철학사, 스무 개의 마디」 · Part A(수요 저녁반)
철학은 인문학의 몸체입니다. 이 몸체는 빈 대지에서 솟구치는 것이 아니라 철학자가 사유되기 이전의 덩어리 상태인 내재성, 즉 덩어리 상태로 있는 줄들의 총체를 대상으로 직면하고, 화가가 시각과 관련된 감각-줄(색과 선-줄), 음악가가 청각...Category철학강좌 By이우 Reply0 Views2791 -
09Apr 202200:38
[완료] 철학강독 「심포지엄」 : 발터 벤야민의 『기술복제시대의 예술작품』 읽기
한국의 현대 미학과 예술비평, 문화 분석에서 가장 많이 이야기되고 있는 발터 벤야민의 미학 에세이 『기술복제시대의 예술작품』 을 읽어 보겠습니다. 대학교수가 아니었으며 강의도 별로 하지 못했고, 유명한 스승에게서 배우지도, 제자를 키우지도, 어...Category철학강좌 By이우 Reply0 Views528 -
24Dec 202123:25
[완료] 철학강독 : 『한국 철학사』 읽기
□ 강독 개요 ○ 강독명 : 철학강독 『한국 철학사』 읽기 ○ 기간 : 2022년 1월 14일(금)~ 4월 1일(금) · 주 1회 · 총 11회(2월 4일은 휴강) ○ 시간 : 매주 금요일 오전 11시~오후 1시(매회 2시간) ○ 방법 : COVID-19 상황에 따라 대면·비대면 혼용 또는 병용...Category철학강좌 By이우 Reply0 Views925 -
14Oct 202122:50
[완료] 철학강독 「마주침」④ : 흄의 『인간이란 무엇인가-오성·정념·도덕 본성론』
철학강독 <마주침>은 현대철학의 끝단에 있는 들뢰즈 철학과 연결해 고대에서부터 현대까지의 철학고전서를 읽으면서, 솟구치고 휘감아도는 사유의 강물 위에 수표(水標)를 올리고, 그 속도와 무게, 타격, 충돌, 뒤얽힘을 측정합니다. 그 네번째 강독...Category철학강좌 By이우 Reply0 Views1151 -
18Aug 202117:44
[완료] 철학강독 : 『노자 도덕경』 읽기 · Part B
루크레티우스를 읽고, 스피노자를 읽으면서, 또 니체와 들뢰즈를 읽으면서, 우리는 놀랄 수밖에 없었습니다. 이들의 사유 속에서 노자(老子)를 만나기 때문입니다. 언제 노자가 서양에 유입되었는지 확인할 수는 없었지만 17세기 이미 많은 동양의 저작들이...Category철학강좌 By이우 Reply0 Views1312 -
18Aug 202117:44
[완료] 철학강독 : 『노자 도덕경』 읽기 · Part A
루크레티우스를 읽고, 스피노자를 읽으면서, 또 니체와 들뢰즈를 읽으면서, 우리는 놀랄 수밖에 없었습니다. 이들의 사유 속에서 노자(老子)를 만나기 때문입니다. 언제 노자가 서양에 유입되었는지 확인할 수는 없었지만 17세기 이미 많은 동양의 저작들이...Category철학강좌 By이우 Reply0 Views1433 -
08Jul 202112:11
[완료] 철학강독 「마주침」③ : 스피노자의 『에티카』
철학 강독 <마주침>은 현대철학의 끝단에 있는 들뢰즈 철학과 연결해 고대에서부터 현대까지의 철학고전서를 읽으면서, 솟구치고 휘감아도는 사유의 강물 위에 수표(水標)를 올리고, 그 속도와 무게, 타격, 충돌, 뒤얽힘을 측정합니다. 그 세번째 강...Category철학강좌 By이우 Reply0 Views1654 -
20Feb 202116:04
[완료] 철학 강독 『안티 오이디푸스』 · Part A
□ 강독 개요 ○ 강독명 : 철학 강독 『안티 오이디푸스』 · Part A ○ 기간 : 2021년 3월 2일(화)~5월 18일(화) · 주 1회 · 총 12회 ○ 시간 : 매주 화요일 오전 10시~오후 12시 30분(매회 2시간 30분) ○ 장소 : 인문학공동체 에피쿠로스 사직동 사무실(아래 ...Category철학강좌 By이우 Reply0 Views2068 -
20Sep 202001:05
[완료] 철학강독 「심포지엄」⑫ : 들뢰즈 『천 개의 고원』 · Part B
철학강독 「심포지엄」의 마지막 책, 들뢰즈의 『천 개의 고원』을 읽습니다. 철학은 인문학의 몸체입니다. 이 몸체는 빈 대지에서 솟구치는 것이 아니라 철학자가 사유되기 이전의 덩어리 상태인 내재성, 즉 덩어리 상태로 있는 줄들의 총체...Category철학강좌 By이우 Reply0 Views2740 -
26Jan 202123:18
[완료] 철학강독 「마주침」① : 플라톤의 『국가(Politeia)』
철학 강독 「마주침」은 현대철학의 끝단에 있는 들뢰즈 철학과 연결해 고대에서부터 현대까지의 철학고전서를 읽으면서, 솟구치고 휘감아도는 이 사유의 강물 위에 수표(水標)를 올리고, 그 속도와 무게, 타격, 충돌, 뒤얽힘을 측정합니다. 그 첫번째 ...Category철학강좌 By이우 Reply0 Views2062 -
14Oct 202009:42
[완료] 『자본론(Das Kapital)』 강독⑤ : 『자본론3-하』
알튀세르가 이론-실천의 장에서 떠돌면서 '마주침의 우물론'을 발견한 장소, 푸코가 구조-생성의 장 위에서 떠돌며 생성의 법칙, 생성의 도표, 생성의 계열을 발견한 장소인 『자본론』을 읽고 있습니다. 『자본론』은 경제학자들에겐 해결해야 할...Category철학강좌 By이우 Reply0 Views2567 -
28Jul 202021:50
[완료] 철학 기본과정 「서구철학사, 스무 개의 마디」 · Part B
철학은 인문학의 몸체입니다. 이 몸체는 빈 대지에서 솟구치는 것이 아니라 철학자가 사유되기 이전의 덩어리 상태인 내재성, 즉 덩어리 상태로 있는 줄들의 총체를 대상으로 직면하고, 화가가 시각과 관련된 감각-줄(색과 선-줄), 음악가가 청각...Category철학강좌 By이우 Reply0 Views3336 -
14Oct 202009:42
[완료] 『자본론(Das Kapital)』 강독④ : 『자본론3-상』
알튀세르가 이론-실천의 장에서 떠돌면서 '마주침의 우물론'을 발견한 장소, 푸코가 구조-생성의 장 위에서 떠돌며 생성의 법칙, 생성의 도표, 생성의 계열을 발견한 장소인 『자본론』을 읽고 있습니다. 『자본론』은 경제학자들에겐 해결해야 할 ...Category철학강좌 By이우 Reply0 Views2296 -
20Sep 202001:05
[완료] 철학강독 「심포지엄」⑫ : 들뢰즈 『천 개의 고원』 · Part A
철학강독 「심포지엄」의 마지막 책, 들뢰즈의 『천 개의 고원』을 읽습니다. 철학은 인문학의 몸체입니다. 이 몸체는 빈 대지에서 솟구치는 것이 아니라 철학자가 사유되기 이전의 덩어리 상태인 내재성, 즉 덩어리 상태로 있는 줄들의 총체...Category철학강좌 By이우 Reply0 Views2526 -
28Jul 202021:50
[완료] 철학 기본과정 「서구철학사, 스무 개의 마디」 · Part A
철학은 인문학의 몸체입니다. 이 몸체는 빈 대지에서 솟구치는 것이 아니라 철학자가 사유되기 이전의 덩어리 상태인 내재성, 즉 덩어리 상태로 있는 줄들의 총체를 대상으로 직면하고, 화가가 시각과 관련된 감각-줄(색과 선-줄), 음악가가 청각...Category철학강좌 By이우 Reply0 Views3497 -
28Jul 202020:47
[완료] 『자본론(Das Kapital)』 강독③ : 『자본론2』
알튀세르가 이론-실천의 장에서 떠돌면서 '마주침의 우물론'을 발견한 장소, 푸코가 구조-생성의 장 위에서 떠돌며 생성의 법칙, 생성의 도표, 생성의 계열을 발견한 장소인 『자본론』을 읽고 있습니다. 『자본론』은 경제학자들에겐 해결해야 할 ...Category철학강좌 By이우 Reply0 Views2453 -
07Jun 202012:00
[완료] 『자본론(Das Kapital)』 강독② : 『자본론1-하』
알튀세르가 이론-실천의 장에서 떠돌면서 '마주침의 우물론'을 발견한 장소, 푸코가 구조-생성의 장 위에서 떠돌며 생성의 법칙, 생성의 도표, 생성의 계열을 발견한 장소인 『자본론』을 읽고 있습니다. 『자본론』은 경제학자들에겐 해결해야 ...Category철학강좌 By이우 Reply0 Views2855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