댓글 쓰기 권한이 없습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철학사] 서구철학사, 그 스무 개의 마디

○ 플라톤을 기점으로 고대철학, 데카르트 기점의 근대철학, 맑스 기점의 현대철학을
○ 주체의 인식, 개념과 사실의 대립, 인식과 실천의 관계를 중심으로 스무 개의 마디로 나누고
○ 서구 철학 사유와 현대사회 문제를 대비(對比)하고 대조(對照)하면서
○ 서구철학의 흐름을 일괄하는 철학 강좌
□ 커리큘럼
구분 | 철학자 · 학파 | 주요 강의 내용 | 비 고 |
제1강 | 플라톤 | 이데아(ida) · 정의(正義) · 계급국가 · 초월성의 함정 | |
제2강 | 아리스토텔레스 | 이데아(ida) · 행복 · 민주국가 · 사실과 범주의 문제 | |
제3강 | 스토아학파 | 사실과 추상의 합, 그 함정 | |
제4강 | 에피쿠로스학파 | 루크레티우스의 자연주의 · 우발의 만남이 만드는 아름다움 | |
제5강 | 스콜라 · 교부철학 | 보편자와 개별자 · 실제론과 유명론 · 단자론 | |
제6강 | 데카르트 | 주체의 정립 · 정신과 모랄(moral) | |
제7강 | 스피노자 | 자연주의 · 정념과 에틱(Ethic) | |
제8강 | 로크와 루소 | 로크의 딜레마 · 근대국가의 성립 · 자연주의의 귀환 · 사회계약론 | |
제9강 | 흄과 버클리 | 경험론과 합리주의 · 주체의 해체 · 근대철학의 위기 | |
제10강 | 칸트 | 근대철학의 재건 · 인식과 판단의 문제 | |
제11강 | 피히테와 헤겔 | 자아와 정신의 복권 · 관념론의 몰락 | |
제12강 | 칼 맑스 | 유물론과 주체의 몰락 · 근대와 탈근대 | |
제13강 | 실존주의 철학 | 니체와 하이데거, 그리고 샤르트르, 서로 다른 실존의 문제 | |
제14강 | 소쉬르와 | 언어학과 철학 · 언어 게임과 인식론 | |
제15강 | 프로이트와 라캉 | 무의식과 정신분석의 언어학 · 타자의 담론 | |
제16강 | 베르그손 | 차이의 탄생 ? 내재와 발현 ? 기억과 습관 | |
제17강 | 알튀세르 | 이데올로기를 위한 변명과 그 모순 | |
제18강 | 미셀 푸코 | 권력 이론과 생명정치의 탄생 | |
제19강 | 들뢰즈와 가타리 | 욕망과 배치 · 차이의 정립 · 노마디즘의 지평 | |
제20강 | 정리 · 세책례 | 우리에게 남겨진 문제들 |
|
□ 강사 : 이우(泥牛) 곽원효
인문학서원 <에피쿠로스> 대표로 일하면서 글을 쓰고 있다.소설 <죽(竹)>으로 복현문학상, 문학평론 <리얼리즘과 모더니즘>으로 복현문화상을 수상하고, 詩 <강변에서>로 제1회 강변시인학교 백일장 장원으로 당선했다. 저서로 <언어는 눈부시다>를 저술했고, 사사 <구미공업단지 15년사>, <구미상공회의소 10년사>를 공동 집필했다. <조선대학교>, <순천대학교>, <동아대학교>, <경북도립대학교> 등의 대학, <인천북구도서관>, <아람누리도서관>, <가산정보도서관>, <개포도서관> 등의 공공도서관에서 인문학 강의를 하고, <한겨레교육문화센터> 에서 <인문학 산책>, 인문학 기행 <서울을 걸어 인문학을 만나다> 등의 강의를 하고 있다.
* 주요 이력 · 경력
· 경북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졸업
· 소설 <죽(竹)>으로 복현문학상 수상 / 문학평론 <리얼리즘과 모더니즘>으로 복현문화상 수상
· (전)문화재청·한국공예디자인진흥원 무형문화재 전수관 컨설턴트
· (현)인문학서원 <에피쿠로스> 대표
· 조선대 · 동아대학교· 순천대 · 안동과학대 · 경북도립대학교 등 대학에서 인문학 강의
· (사)한살림 · 인천북구도서관 <비즈니스 글쓰기> 강의
· 조선대 · 순천대 · 안동과학대 ·정의여고 등 독서토론 패널 활동
· 서울문화재단 <공공도서관 사서대상 독서토론 리더 교육> 워크숍 강의
· 조선대학교· 안동과학대· 동아대학교 독서캠프 및 독서토론
· 서울문화재단 <책 읽는 서울> 논제 출제
· 서울시 <한 도서관 한 책 읽기> 공공도서관 순회 독서토론
· 한국소비자원 <지식을 콘텐트화하는 방법> 강의
· 인천 미추홀 도서관 서평쓰기 강의
· 파주시 법원도서관 독서토론리더과정 강의
· 파주책축제 <BOOK소리 2001> 게릴라 독서토론
· 의정부과학도서관 <이야기가 있는 인문학I>(10주차) 강의
· 의정부과학도서관 <이야기가 있는 인문학II>(10주차) 강의
· 부평구청 <이야기가 있는 인문학> 강의
· 가산정보도서관 <이야기가 있는 인문학I>(12주차) 강의
· 가산정보도서관 <이야기가 있는 인문학II : 철학사>(12주차) 강의
- 가산정보도서관 <이야기가 있는 인문학III : 영화로 보는 인문학>(12주차) 강의
· 경북도립대학교 <2012 인문고전 만남> 강의(11주차)
· 서대문도서관 독서토론 리더교육 <Reader가 Leader다> 강의
· 서대문도서관 <동네방네 인문학> 강좌
· 아람누리도서관 <인문학산책> 강의(10주차)
· 개포도서관 똘레랑스 축제 <인문학산책> 강의
· 경북도립대학교 <2013 인문고전 만남> 강의(11주차)
· 한국도서관협회 <길 위의 인문학> 강의
· 응앙정보도서관 <이야기가 있는 인문학> 강의(8주차)
· 양주시 <One City One Book> 공개토론회 논제 출제 위원 및 패널
· 2014년 경북도립대학교 <인문고전 만남> 강의(3개월 과정)
· 2014년 책 읽는 서울 <한 도서관 한 책 읽기> 논제 출제 위원 및 패널
· 한겨레교육문화센터 인문학 기행 <서울을 걸어 인문학을 만나다>, <인문학산책> 강의
* 저서
· 논리적 글쓰기 <언어는 눈부시다>(딤스, 2003) 저자
· <구미공단 15년사>, <구미상공회의소 10년사> 집필
· 강남구립도서관, 한국해운조합 사보, 문화비평, 한국공예문화진흥원 <공예사랑> 연재 작가
· <몰라봐주어 너무도 미안한 그 아름다움(서진영, SEEDPAPER, 2010), 사진부문
강사 상세 프로필은 웹 사이트( http://www.epicurus.kr/xe/Epicurean02 )를 참고하십시오.
-
15Jul 201418:11
[철학사] 서구철학사, 그 스무 개의 마디
플라톤에서 들뢰즈까지 서구 철학사의 흐름을 주체의 인식 · 개념과 사실의 대립 · 인식과 실천의 관계를 중심으로 스무 개의 마디로 나누고, 철학 사유와 현대사회 문제를 대비(對比)하고 대조(對照)하면서 흐름을 정리합니다. 인문학 중 철학은 용어가 낯설...Category인문학 By이우 Reply0 Views6369 -
05Jun 201521:16
[인문학] 청소년 인문학
청소년 인문학은 지식을 습득케 하고자 하지 않습니다. 암기하고 학습한 것에 익숙한 학생들에게 인문학이 그러한 지식 습득만을 강요해서는 안 될 것입니다. 인문(人文)은 인(人)의 문(紋)입니다. 한 인간이 자신의 삶의 주체가 되어 자기 삶을 아름...Category인문학 By이우 Reply0 Views4688 -
21Jul 201518:19
[인문학 강좌] 이야기가 있는 인문학
이 과정은 ‘나’, ‘몸’, ‘사랑’, ‘아름다움’ 등 주제 별로 진행되는 인문학 강좌로, 주제별로 문학과 사학, 철학을 재미있게 연결하는 이야기식 강의입니다. 인문학은 멀리 있지 않습니다. 전철이나 버스 안의 광고 표지, 소설이나 시의 구절, 집으로 돌아가...Category인문학 By이우 Reply0 Views5366 -
15Dec 201405:26
[리좀 과정] 철학강독 『천 개의 고원』
들뢰즈와 가타리가 남긴 ‘노마디즘’의 사유는 오늘날 철학적 사유의 장을 형성하고 있습니다. 들뢰즈의 사유에 호응하거나 혹은 이 사유에 대결하는 것이 오늘날 철학적 사유의 장이기 때문입니다. 들뢰즈의 사유는 문학?영화 등의 예술 분야는 물론 정치와...Category리좀과정 By이우 Reply0 Views5281 -
29Mar 201322:47
[리좀과정] 강독과정, 리좀S
리좀 모양의 다양체들은 나무 모양을 한 가짜 다양체들의 정체를 폭로합니다. 리좀에는 대상 안에서 주축 역할을 하는 통일성이 없으며 주체 안에서 나뉘는 통일성도 없습니다. 다양체는 주체도 객체도 없습니다. 다양체가 가질 수 있는 것은 규정, 크기, 차...Category리좀과정 By이우 Reply0 Views7230 -
18Sep 201219:36
[리좀과정] 독서토론 리더과정, 리좀I
텍스트의 의미는 텍스트 밖에 있습니다. 비트겐슈타인에 따르면 언어의 의미는 환경?문맥?상황?사용과 실천에 따라 달라지며, 라캉에 따르면 ‘기표는 기의에 닿지 못한 채 그 위로 미끄러’져 기표 자체로는 의미에 닿지 못합니다. 들뢰즈와 가타리에 따르...Category리좀과정 By이우 Reply0 Views8162 -
30Mar 201314:51
[리좀과정] 인문학과정, 리좀H
리좀은 어떤 지점이건 다른 어떤 지점과도 연결?접속될 수 있고 또 연결접속 되어야만 합니다. 리좀은 하나의 점, 하나의 질서를 고정시키는 나무나 뿌리와는 전혀 다릅니다. 우리 삶은 온갖 기호계적 사슬(생물학적, 정치적, 경제적, 사회학 등)이 매우 잡다...Category리좀과정 By이우 Reply0 Views7205 -
29Mar 201322:00
[리좀과정] 독서토론 과정, 리좀D
독서토론 그룹 ‘리좀(Rhizome)’은 다양한 분야의 텍스트를 환경?문맥?상황?사용과 실천 맥락에서 이해하기 위하여 덩굴줄기(리좀, Rhizome)처럼 문학?사학?철학?예술 등의 인문학과 사회학?경제학?자연과학 이론과 접속해 진행하는 인문 독서토론입니다. ...Category리좀과정 By이우 Reply0 Views7682 -
08Dec 201116:10
어린이책 강좌 : 어린이-책-어른
어린이들은 이렇게 말합니다. “우리에게 책을 주세요. 날개를 주세요. 당신들은 힘이 세고 강하니까. 우리가 더 멀리까지 날아갈 수 있도록 도와주세요. 마법의 정원 한가운데에 새파란 궁전을 지어 주세요. 달빛을 받으며 한가로이 거니는 요정들을 보여 ...Category어린이책 By이우 Reply0 Views7578 -
18Sep 201220:39
이미지·소리·텍스트가 만나는 청소년 인문학
□ 강좌 개요 ○ 초등학교 고학년(4, 5, 6학년)이 함께 참여할 수 있는 재미있고 즐거운, 그러면서 생각할 수 있게 하는 청소년 인문학 강좌입니다. ○ 청소년 인문학 강좌, <인문학 여행 나, 너, 그리고 우리>는 ‘꿈’, ‘친구’, ‘행복’, ‘남자친구, 여자친구’ 등...Category인문학 By이우 Reply0 Views5963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