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철학] 지젝의 『자본주의에 희망은 있는가』 : 자본주의의 딜레마②, 금융 위기(부채의 역설)

by 이우 posted Jan 18, 2020 Views 1305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책_자본주의에 희망은 있는가2.jpg


  (...) 미국은 생산한 것보다 다 많이 소비하면서도 수십 년동안 풍족한 삶을 누렸다. 더 근본적인 수준을 살펴보면, 부채의 역설적인 면을 분명하게 확인할 수 있다. '생산하는 것보다 더 많이 소비해서는 안된다'는 슬로건의 문제점은 종합적으로 보았을 때 상투적인 표현의 반복에 불과하며, 기준이 아니라 사실이라는 것이다. 당연히 인간은 생산하는 것보다 더 많이 소비할 수 없기 때문이다. 접시에 오른 음식보다 더 많이 먹을 수 없는 것과 마찬가지다. 하지만 이 구호가 특정한 수준에 이르면, 상황은 복잡하고 모호해진다.

  사회 전체로 보았을 때, 순전히 물질적인 수준에서의 부채는 어떤 방식으로건 서로 관계가 없으며 심지어 존재하지 않을 수도 있다. 인간이 생산하는 것보다 더 많이 소비 할 수는 없기 때문이다. 그런데 부채의 정의 생산보다 소비가 더 크다는 뜻이다. 유일하게 합리적으로 부채를 언급할 수 있는 부분은 천연자원에 관해서다. 미래 세대에게 물려줄 물질적인 조건을 파괴한다는 의미에서 그렇다. 천연자원의 경우, 정확하게는 아직 존재하지 않는 미래 세대에 빚을 지는 것이 가능하다. 그런데 천연자원은 아이러니하게도 우리 세대애 달려 있다. 이 경우에도 부채라는 단어는 언어적인 의미를 갖지 못한다. 부채를 금융화해서 나타낼 수 없는데다가 돈으로 환산할 수 없기 때문이다.

  여기에서 언급되고 있는 부채는 국제사회 속에서 일부 집단(국가 혹은 그 외의 어떤 집단)이 생산하는 것보다 더 많이 소비했을 때, 다시 말해서 또 다른 그룹이 생산한 것보다 덜 소비해야 할 때 발생한다. 하지만 그 관계는 보이는 것처럼 간단하거나 분명하지 않다. 부채가 발생한 상황에서 관계가 분명해지려면, 돈이 중성화된 측정 도구가 되어야 한다. 그래서 한 그룹이 생산량에 비해서 얼마를 소비해야 하는지, 이 과정에서 어느 정도의 비용이 소요되는지를 측정할 수 있어야 한다. 하지만 실제 상황은 이와는 거리가 멀다. 공식적인 데이터에 따르면 통용되는 돈 중 90퍼센트는 '가상의' 신용화폐다. 따라서 '실질적'인 생산자가 금융기관에 부채를 지게 되면, 생산의 특정 단위에서의 현실과 연계되지 않은 상태에서 투기의 결과로 발생한 부채가 얼마인지를 의심하는 것이 합리적이다.

  따라서 한 국가가 IMF나 민간은행 등 국제금융기관의 압력을 받게 되면, 해당 국가는 이 압력(압력을 구체적인 요구로 설명해 보면, 복지국가의 일부를 해체해서 공공 지출을 줄이거나, 민영화, 시장 개방, 은행 규율 철폐 등이 있다)이 중립적이고 객관적인 논리나 지식이 표현된 결과가 아니라, 극히 일부의(이른바 이해집단의) 지식이 표현된 결과라는 사실을 깨닫게 된다. 형식 층위로 보면, 이런 지식은 계속되는 신자유주의적인 추정을 구현시킨 지식이다. 하지만 내용 층위로 보면, 일부 국가 혹은 기관(예를 들어서 은행 등이다)의 이익에 특혜를 제공한다.

  루마니아 공산주의 작가 피아이트 이스트라티가 1920년대 말에 소련을 방문했을 때, 첫 번째 숙청과 여론 조작을 향한 공개 재판이 진행되고 있었다. 당시 소현 정권의 옹호자는 이스트라티를 설득해서 소련이 적과 대항하기 위해서 폭력을 사용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하면서 "달걀을 깨지 않고 오믈렛을 만들 수는 없다"는 속담을 인용했다. 그러자 이스트라티는 '좋아요. 깨진 달걀이 보이네요. 그런데 오믈렛은 어디 있죠?"라고 응수했다. IMF가 요구한 긴축재정에 대해서도 같은 표현을 사용할 수 있다. '좋아요, 유럽 전체를 위해서 우리는 우리의 달걀을 깨뜨리고 있어요. 그런데 당신들이 약속한 오믈렛은 어디 있죠?"

  그융과 관련된 추정에서 가장 이상적인 것은 달걀을 깨뜨려야 하는 금융 위기 속에서 달걀을 깨뜨리지 않고 오믈렛을 만드는 것이다. 키프로스(Cyprus)가 바로 그런 예다. 고양이가 마치 땅바닥을 걷고 있다는 듯이 아무렇지 않게 벼랑 끝을 계속해서 걷고 있는 장면이 나오는 오래된 만화를 떠올려 보자. 하지만 아래를 내려다보고 자신이 높은 골짜기에 있다는 것을 아는 순간, 고양이는 추락할 것이다. 키프로스의 시민들이 요즘 느끼는 기분이 이렇지 않을까? 이제 키프로스는 전으로 돌아갈 수 없고, 앞으로는 삶의 질이 추락할 일밖에 남지 않았다는 사실을 깨닫고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키프로스의 시민들이 아직 추락의 여파를 고스란히 느끼지 못하고 있으며, 적어도 한동안은 만화 속에서 벼랑끝을 걷는 고양이처럼 일상을 유지할 것이다. (중략) 키프로스가 가지고 잇는 슬픈 예측의 중심은 바로 이런 딜레마다. 유럽이 없으면 번영을 지속하면서 생존할 수 없다. 하지만 유럽이 있어도 불가능하기는 마찬가지다.

  유럽에서 지속되고 있는 금융 위기도 마찬가지 아닐까? 독일을 위시한 강한 북유럽국가들은 다른 국가에게 강제적인 요구를 하고, 힘도 없고 취약한 남유럽국가들은 수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저 멀리 지평선 너머에서부터 이처럼 분단된 유럽의 형체가 드러나고 있다. 복지국가의 인전한 네트워크 바깥의 남유럽은 점차 값싼 노동력 조달 지대로, 아웃소싱이나 관관에나 적합한 지역으로 의미가 축소될 것이다. 한마디로 유럽 내에서도 선진국과 그 나머지 국가 사이의 결차가 벌어지고 있다. (중략)

  전체 금융 시스템을 획기적으로 바꿔야 한다. 금기시되는 사실을 언급해보면, 은행이 일종의 사회화를 겪어야 한다. 2008년 이후 세계적으로 반복되었던 붕괴(월스트리트와 아이슬란드 등)에서 얻을 수 있는 교훈은 분명하다. 개인 계좌에서부터 연금펀드, 모든 파생상품의 기능에 이르기까지 금융펀드와 거래의 전체 네트워크가 사회적인 통제와 개선, 규제를 받아야 한다는 것이다. 유토피아처럼 이상적인 말로 들릴지도 모르지만, 별것 아닌 피상적인 변화로 생존이 가능한 개념이라면 유토피아로 봐도 무방할 것이다. 하지만 여기에서 반드시피해야만 하는 치명적인 함정이 있다. 금융권의 사회화를 위해서는 금융의 권력에 맞서는 임금 노동과 생산적인 자본 사이의 균형을 맞추어야 한다. 금융권의 붕괴와 그 결과인 고통의 외침은 자본의 순환이 완벽한 자급자족이 가능한 고립된 영역이 아니라는 사실을 분명하게 상기시켰다.

  예를 들어서, 자본의 순환은 결국 사람들의 실질적인 요구를 충족시키는 실체를 가진 물건의 생산과 판매의 형식을 직접적으로 겨냥하게 되었다. 하지만 붕괴와 고통스러운 외침에서 얻을 수 있는 좀더 미묘한 교혼은 현실로 회귀할 수 없다는 것이다. "금융 투기의 가상 공간에서 실제 생산과 소비를 하는 사람들로 돌아가자"는 구호는 완전히 잘못된 것이며, 그저 순수한 이념일 뿐이다. 자본주의의 모순은 금융 투기의 더러운 폐수를 버리면 '실물 경제'라는 건강한 아이를 지킬 수 없다는 것이다. 더러운 폐수가 바로 건강한 아이의 혈통이기 때문이다. (...)

- 『자본주의에 희망은 있는가』(슬라보예 지젝·문학사상사·2017년·원제 : Trouble in Paradise, 2014년) p.52~ 57










  1. 13
    Feb 2020
    09:29

    [철학] 알튀세르 『철학과 맑스주의』 : 마주침의 유물론

    (...) 에피쿠로스에서 맑스에 이르기까지 항상, 자신의 유물론적 기초를 어떤 마주침의 철학(따라서 다소간 원자론적인 철학. 원자는 '낙하' 중에 있는 개체성의 가장 단순한 현상이다) 속에서 찾은 하나의 심오한 전통이―그러나 자신의 발견 그 자체에 의해,...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21571 file
    Read More
  2. 20
    Jan 2020
    13:33

    [철학] 지젝의 『자본주의에 희망은 있는가』 : 자본주의의 딜레마⑦, 법의 외설 · 초자아(Super Ego)의 개인화

    (...) 학생들은 선생님이 오기를 기다리다가 지루해져서 의자에 앉아 하품을 하고 허고을 바라본다. 문간에 앉아 있는 학생이 "선생님이 오신다"라고 외치자, 학생들은 갑자기 소리를 지르고, 종이를 구겨서 던지고, 책상을 흔드는 떠들썩한 행동을 시작한다....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20494 file
    Read More
  3. 19
    Jan 2020
    21:11

    [철학] 지젝의 『자본주의에 희망은 있는가』 : 자본주의의 딜레마⑥, 성층화(成層化)·계급·분리와 단절

    (...) 사이버 공간을 통제하려는 이 전투는 살아 있는 사람과 부유한 사람들의 계급 간 투쟁이다. 오바마 대통령이 무책임하게 '계급 간 전쟁'을 정치에 도입했을 때, 워렌 버핏*은 흡족해하면서 "물론 계급 간의 투쟁이다. 그것은 맞지만, 전쟁을 일으킨 사...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6098 file
    Read More
  4. 19
    Jan 2020
    19:41

    [철학] 지젝의 『자본주의에 희망은 있는가』 : 자본주의의 딜레마⑤, 자유 · 정보

    (...) 두 개의 단어가 확인된다. 하나는 '추출된다'이고 또 다른 하나는 '통제된다'이다. 클라우드를 관리하려면 기능을 통제하는 모니터링 시스템이 필요하고, 이 시스템은 본질적으로 사용자들로부터 숨겨진다. 역설적인 것은 손안에서 사용되는 작은 기계(...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4057 file
    Read More
  5. 19
    Jan 2020
    19:00

    [철학] 지젝의 『자본주의에 희망은 있는가』 : 자본주의의 딜레마④, 부채

    (...) 오늘날 자본주의는 유령에 쫓기고 있다. 유령은 부채라는 이름의 악령이다. 자본주의 강대국은 하나같이 이 유령을 쫓기 위한 숭고한 동맹을 결성했다. 하지만 정말 부채를 정리하고 싶을까? 마리치오 라자라토*는 국가에서 개인에 이르기까지 사회의 ...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5922 file
    Read More
  6. 19
    Jan 2020
    01:51

    [철학] 지젝의 『자본주의에 희망은 있는가』 : 자본주의의 딜레마③, 미국식 개인주의와 공적 자금 · 세금

    (...) 미국의 유명 가스 프랭크 시나트라의 대표적인 노래인 '마이 웨이(My Way)'가 미국적 개인주의를 뜻한다고 생각한다. 원래는 '일반적' 혹은 '관습에 맞게'란 뜻의 프랑스 샹송 '콤 다비튀드(Comme d'habitude)'가 '마이 웨이'의 원곡이라는 사실은 잘 ...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51650 file
    Read More
  7. 18
    Jan 2020
    23:31

    [철학] 지젝의 『자본주의에 희망은 있는가』 : 자본주의의 딜레마②, 금융 위기(부채의 역설)

    (...) 미국은 생산한 것보다 다 많이 소비하면서도 수십 년동안 풍족한 삶을 누렸다. 더 근본적인 수준을 살펴보면, 부채의 역설적인 면을 분명하게 확인할 수 있다. '생산하는 것보다 더 많이 소비해서는 안된다'는 슬로건의 문제점은 종합적으로 보았을 때 ...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3051 file
    Read More
  8. 15
    Jan 2020
    22:32

    [철학] 베르그송의 『물질과 기억』 : 동일성과 다양성 · 일반성과 특이성, 꿈의 평면과 행동의 평면(원뿔형 도식)

    (...) 신경계와 목적에 대하여 생각해 보면, 우리는 매우 다양한 지각의 기구들이 중추들을 매개로 해서 동일한 운동 기구들에 모두 연결되어 있는 것을 본다. 감각은 불안정하다. 즉 그것은 매우 다양한 뉘앙스를 취할 수 있다. 반대로 일단 만들어진 운동기...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7752 file
    Read More
  9. 14
    Jan 2020
    15:37

    [철학] 베르그송의 『물질과 기억』 : 과거와 현재의 관계(원뿔형 도식)

    (...) 우리는 커다란 실용적 이점 때문에 사실들의 실제 순서를 역전시키는 데 너무 익숙해져 있으며, 공간에서 이끌어낸 이미지들에 너무나 사로잡혀 있기 때문에 기억이 어디에 보존되는 지를 묻지 않을 수 없다. 우리는 물리화학적인 현상들이 뇌 속에서 ...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5319 file
    Read More
  10. 14
    Jan 2020
    00:43

    [철학] 베르그송의 『물질과 기억』 : 이미지 · 시간과 공간

    (...) 순수 기억이 어떻게 잠재적 상태로 보존되는가 하는 것은 그것의 근본적인 무력함(impuissance)을 볼 때 정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아직 문제의 핵심으로 들어가지 않고, 우리가 무의식적 심리 상태들을 생각하는 데서 갖는 혐오감은 무엇보다도...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5243 file
    Read More
  11. 13
    Jan 2020
    09:57

    [철학] 베르그송의 『물질과 기억』 : 기억·지속·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생성

    (...) 우리는 순수기억, 이미지-기억, 지각이라는 세 항들을 구별하였는데, 이 항들 중 어느 것도 사실상 단독으로 생겨나지 않는다. 지각은 결코 현재적 대상과 정신의 단순한 접촉이 아니다. 지각에는 항상 그것을 해석하면서 완결시키는 이미지-기억들이 ...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25103 file
    Read More
  12. 10
    Jan 2020
    20:02

    [철학] 지젝의 『자본주의에 희망은 있는가』 : 자본주의의 딜레마①, 실업

    (...) 현재 한국의 상황을 보면 찰스 디킨스가 쓴 소설 『두 도시 이야기(A Tale of Two Cities)』의 유명한 도입부가 절로 생각난다. '그때는 희망의 봄이었고, 절망의 겨울이었다. 우리 앞에는 모든 것이 있었고, 우리 앞에는 아무 것도 없었다. 우리 모두...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1579 file
    Read More
  13. 09
    Jan 2020
    17:18

    [철학] 푸코의 『감시와 처벌 - 감옥의 역사』 : 계보학 · 권력의 미시물리학 · 신체의 정치경제학

    (...) "감옥의 역사"라는 부제가 붙어 있는 『감시와 처벌』(Surveiller et Punir, 1975년)은 미셸 푸코의 사상적 변화 과정에서뿐 아니라 서구 지성사의 전개과정에서도 새롭고 큰 변화를 보여준 중요한 업적으로 평가될 수 있는 책이다. 저자는 이 책을 쓰...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5059 file
    Read More
  14. 30
    Dec 2019
    09:22

    [철학] 베르그송의 『물질과 기억』 : 신체의 능동성, 기억(mories)

    (...) 식별이 주의적인 경우에, 즉 이미지-기억들이 현재적 지각에 규칙적으로 결합하는 경우에, 지각은 기억들의 출현을 기계적으로 결정하는가, 아니면 기억들이 지각 앞으로 자발적으로 향해 가는가? (...) 외적 지각이 실제로 우리에게 그것의 핵심적 윤...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1977 file
    Read More
  15. 19
    Dec 2019
    21:41

    [철학] 베르그송의 『물질과 기억』 : 사물의 실재성·기억·현대 유물론의 탄생

    (...) 우리 지각의 현실성(actuality)은 그것의 활동성(activities)으로, 즉 그것을 연장하는 운동들로 이루어지는 것이지, 더 큰 강도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다. 과거는 단지 관념에 불과하고, 현재는 관념-운동이다. 그러나 그것이야말로 사람들이 고집스...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3900 file
    Read More
  16. 18
    Dec 2019
    16:48

    [철학] 베르그송의 『물질과 기억』 : 감각, 지각, 정념, 그리고 기억

    (...) 사람들은 모든 감각이 자연적이고 필연적으로 비연장적이며, 감각이 연장에 덧붙여지고, 지각 과정이 내적 상태들의 외재화로 이루어진다고 결론짓는다. 사실상 심리학자는 자신의 신체로부터 출발하며, 이 신체의 주변에서 받은 인상들이 그에게는 물...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20200 file
    Read More
  17. 21
    Nov 2019
    06:56

    [철학] 『사생활의 역사』 : 사생활의 경계와 공간(응접실·사생활·공적 생활·공간의 분절·사회적 성층 작용·노동)

    (...) 사생활은 태초부터 자연적으로 주어지는 것이 아니라 사회마다 각기 다른 방법으로 만들어내는 역사적 현실이다. 따라서 당연한 이야기이지만 그러므로 사적 영역과 공적 영역 사이의 경계선은 끊임없이 변한다. 그리고 사생활은 공적 생활과 관련해서...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21287 file
    Read More
  18. 12
    Nov 2019
    03:24

    [철학] 레비나스의 『시간과 타자』 : 주체의 죽음, 해체와 탈중심화

    인간 주체를 어떻게 규정할 것인가 하는 것은 현대철학의 쟁점 가운데 가장 첨예한 문제로 등장하였다. 현대철학은, 주로 프랑스 철학자들을 중심으로 '주체의 죽음'을 선언하기에 이르렀다. 절대화된 주체, 이성적 주체, 세계 의미 부여자로서의 주체는 더 ...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7230 file
    Read More
  19. 29
    Oct 2019
    12:53

    [철학] 레비나스의 『시간과 타자』 : 서문

    (...) 시간은 유한한 존재의 진정한 한계인가, 아니면 유한한 존재의 신(神)과의 관계인가? 시간은 유한성과 반대로 무한성을, 결핍에 반대하여 자족성을 존재자에게 보장해 줄 수 없는 관계, 하지만 만족과 불만을 넘어서 덤으로서의 사회성을 뜻하는 관계이...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6359 file
    Read More
  20. 14
    Oct 2019
    19:23

    [철학] 『말과 사물』 : 서문 · 분절(分節, articulation)의 문제

    (...) 이 책의 탄생 장소는 보르헤스의 텍스트이다. 보르헤스의 텍스트를 읽을 때, 우리에게 존재물의 무질서한 우글거림을 완화해 주는 정돈된 표면과 평면을 모조리 흩뜨리고 우리의 매우 오래된 관행인 동일자와 타자의 원리에 불안정성과 불확실성을 오래...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2404 file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25 Next
/ 25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