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철학] 『말과 사물』 : 유사(類似)와 상사(相似), 그리고 기호(記號)

by 이우 posted Aug 24, 2018 Views 21447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책_말과사물_900.jpg


  1. 네 가지 유사성

  (...) 16세기 말엽까지 서양 문화에서 닮음의 역할지식을 구축하는 것이었다. 텍스트에 대한 주석과 해석을 대부분 이끈 것은 바로 닮음이다. 닮음에 의해 상징 작용이 체계화되었고 가시적이거나 비가시적 사물의 인식이 가능하게 되었으며 사물을 나타나내는 기법의 방향이 결정되었다. 세계는 안으로 접혀 포개어졌다. 대지는 하늘을 반영했고 별에는 얼굴이 비치었으며 풀의 줄기에는 인간에게 유용한 비밀이 숨어 있었다. 회화(繪畵)는 공간을 모방했다. 그리고 재현은 축제이건 지식이건 간에 반복으로, 즉 삶의 무대 또는 세계의 거울로 설정되었다. 재현은 바로 모든 언어의 호칭, 언어가 말해지고 언어의 말할 권리가 표명되는 방식이었다. (...) 16세기 말엽과 17세기 초엽에 유사성은 어떻게 사유되었을까? 어떻게 유사성은 지식의 형성들을 체계적으로 배치할 수 있었을까? (...)

  16세기 닮음의 의미 조직은 매우 풍부하다. 가령 "아미키티아(Amicitia, 우정), 아이쿠알리타스(Aequalitas, 평등), 콘트락투스(comtractus, 계약), 콘센수스(consensus, 합의), 마트리모니움(matrimonium, 혼인), 소키에타스(societas, 사회), 팍스(pax, 평화), 시밀리아(similia, 유사), 콘소난티아(consonantia, 일치), 콘케르투스(comcertus 협력), 콘티누움(continum, 연속), 파리타스(paritas, 등가), 프로포르티오(proportio, 비율), 시밀리투도(similtudo 유사성), 콘준크티오(conjunctio, 결합), 코플라(copula, 연결)"를 예로 들 수 있다. 그리고 이보다 훨씬 더 많은 다른 개념도 있는데, 이것들은 사유의 표면에서 서로 교치하거나 뒤얽히고, 서로 강화하거나 한정한다. 지금으로서는 닮음과 지식의 맞물림을 결정하는 주요한 현상들을 개관하는 것으로 충분할 것이다. 확실히 네 가지 기본적인 것이 있다.

  우선 콘베니엔티아(convenientia, 일치·조화·공감·적합·부합). 사실을 말하자면 이 낱말은 유사성보다는 오히려 장소들의 인접을 지칭한다. 서로 근접하여 나란히 놓이게 되는 사물들은 서로 부합한다. 이러한 사물들은 가장자리가 서로 닮고 그 여백이 서로 겹치며 한 사물의 말단이 다른 사물의 발단을 가리킨다. 움직임뿐만 아니라 영향과 정념 그리고 속성 역시 이런 방식으로 전달된다. 닮음은 이 지점에서 출현한다. 이 닮음은 누군가 꿰뚫어보려고 시도하자마자 이중적이 된다. 두 사물이 자연적으로 놓인 장소 또는 자연의 용기(容器)이고, 세계라는 자연의 용기에서 근접은 사물들 사이의 외적 관계가 아니라, 적어도 불명료한 핀근성의 기호이다. 그리고 이러한 접촉으로부터 새로운 닮음이 서로 간의 교환에 의해 샹겨나고, 필연적으로 하나의 공통된 체제가 형성되며, 인접의 은밀한 근거로서의 유사성에 근접의 가시적 효과인 닮음이 겹쳐진다.

  예컨대 영혼과 육체는 서로에게 이중으로 부합하였다. 신이 영혼을 물질의 중심부에 집어넣기 위해서는 영혼이 죄로 인해 무겁고 둔감하며 세속적이 되어야 한다. 그러나 이 인접을 통해 영혼이 육체의 움직임을 받아들이고 육체에 동화되는 사이에 "육체는 영혼의 정념에 의해 변질되고 타락한다." 세계의 광범위한 통사법에 따라, 각기 다른 존재물들이 서로에게 순응하는데, 가령 식물은 짐승과, 대지는 바다와, 인간은 주의의 모든 것과 통한다. 닮음은 불가피하게 인접을 야기하고 인접은 닮음을 보장해준다. 장소와 유사성이 서로 얽힌다. 가령 조개껍질 등에서 이끼가, 수사슴의 뿔에서 식물이, 사람의 얼굴에서 일종의 풀이 자라며, 기이한 식충류를 동물만큼이나 식물하게 유사하게 만드는 속성들도 서로 뒤섞여 나란히 놓인다." 그만큼 많은 기호가 서로에게 부합하게 된다.

  콘베니엔티아는 '점진적 근접'의 양상으로 인해 공간과 갚은 관계가 있는 닮음이다. 그것은 결합과 적응의 범주에 속한다. 따라서 그것은 사물 자체보다는 오히려 사물이 놓여있는 세게에 속하는 것이다. 세계는 사물들의 보편적 '부합'인데, 물 속에 물고기들이 있는 그만큼 대지 위에는 동물들 또는 자연적으로나 인위적으로 생겨난 대상들이 있고, 물속과 대지의 표면에는 하늘이 있는 것만큼 많고 하늘과 대응하는 존재뭉들이 있으며, 끝으로 창조된 것 전체에는 "존재, 권능, 인식, 사랑의 파종자(播種者)인 신 속에 명백히 들어있다고들 생각할 수 있을 만큼 많은 존재물들이 있다. 이처럼 닮음과 공간의 연쇄에 의해, 유사한 사물들을 한데 모으고 인접한 사물들을 유사하게 만드는 이 부합에 의해 세계는 내부적으로 사슬을 형성한다. (...)

  유사성의 두번째 형태는 일종의 부합이지만, 장소의 법칙에서 풀려나 부동의 상태로 거리를 두고 작용할 아이물라티오(aemulatio, 경쟁이나 경쟁심리, 경합)이다. 어느 정도는 공간적 부합이 깨지고, 사슬들의 고리들이 제각기 떨어져 나가고는 멀리 떨어진 채로 어떤 접촉도 필요로 하지 않는 닮음에 따라 재생되기라도 하는 듯하다. 경합에는 반영 및 거울과 상응하는 측면이 있다. 세계에 흩어져 있는 사물들은 경합을 통해 서로 어울린다. 멀리에서 인간의 얼굴은 하늘과 경합하고, 인간의 지성이 불완전하게나마 신의 지혜를 반영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눈은 그렇게 밝지는 않지만 하늘에서 해와 달이 발산하는 강한 빛을 반사하고, 입은 입맞춤과 사랑의 말이 통과하는 장소라는 점에서 베누스 여신이고, 코는 유피테르의 홀(笏)이나 메르쿠리우스의 지팡이가 축소된 이미지이다. 이러한 경합으로 인해 사물은 우주의 한쪽 끝에서 다른 쪽 끝까지 연쇄도 근접도 없이 서로 닮을 수 있다. 세계에  고유한 간격은 거울 속에서의 중복에 의해 사라지고, 이를 통해 세계의 각 사물은 자신에게 주어지는 장소를 넘어선다. (...)

  세번째 형태의 유사성, 유비(類比). 용법은 달라졌을지 모르지만 고대 그리스의 과학과 중세의 사유에서 이미 잘 알려진 유구하고 친숙한 개념. 이 유비 속에서 콘베니엔티아와 아이물라티오가 서로 겹친다. 후자의 경우처럼 유비도 공상을 통한 유사점들의 놀라운 대면을 보장하지만, 전자의 경우처럼 유비의 경우에도 조절, 연결, 이음새라는 말이 쓰인다. 유비의 힘은 막대하다. 왜냐하면 유비에 의해 다루어지는 유사성은 사물들 자체의 가시적인 유사성만이 아니기 때문이다. 유비는 관계들의 더 미세한 유사성으로도 충분히 성립할 수 있다. 이처럼 가벼워진 유비에 의해 무한히 많은 친근성이 하나의 동일한 지점으로부터 나올 수 있다.

  예컨대 별이 반짝이는 하늘과 별의 관계는 대지에 대한 초목의 관계, 생물이 살고 있는 지구에 대한 생물의 관계, 광물과 다이아몬드가 암석에 대해 맺는 관계, 감각 기관에 의해 생기를 띠는 얼굴에 대한 감각 기관의 관계, 반점이 눈에 잘 띄지 않게 피부에 퍼져 있는 육체에 대한 반점의 관계에서도 발견된다. 유비는 또한 변경될 수 있지만, 그렇다고 해서 부인되지는 않는다. 체살피노(이탈리아의 의사)는 동물에 대한 식물의 오랜 유비 관계(식물은 머리가 아래쪽에 있고 입 또는 뿌리가 땅속에 파묻혀 있는 동물이다)를 비판하지도 일소하지도 않는다. 반대로 그는 식물이란 서 있는 동물이어서 머리, 이를테면 열매나 꽃 또는 잎의 다발로 끝나며 몸통처럼 길게 뻗은 줄기를 따라 영샹소가 아래에서 위로 올라간다고 밝힘으로써, 동물과 식물의 유비관계를 강조하고 늘어나게 했다. 본래의 유비와 방향이 반대지만 모순되지 않은 이 관계에 의하면, "식물에서 뿌리는 하부에, 줄기는 상부에 놓인다." 왜냐하면 동물의 경우에도 혈관의 망(網)은 하복부에서 시작되고, 주요 혈관은 심장과 머리 쪽으로 올라가기 때문이다.

  이러한 가역성과 다면성 때문에 유비는 보편적인 적용 범위를 부여받는다. 세계의 모든 형상은 유비에 의해 서로 연관될 수 있다. 그렇지만 모든 방향으로 통하는 이 공간에도 하나의 특권적인 지점이 존재한다. 이 지점은 바로 유비로 포함되어 있고 관계들은 이 지점을 거치면서 방향이 거꾸로 바뀌지만 변절되지는 않는다. 이 지점은 바로 인간이다. 인간은 동물과 식물에 대해서도 비례 관계를 갖는다. 세계의 면면들 사이에서 몸을 곧추세우는 인간은 창공과 관련된다. 인간의 얼굴에 대한 육체의 관계는 하늘의 외양에 대한 대기의 관꼐와 같고, 별이 고유한 행로를 따라 순환하듯 인간의 맥박은 혈관 속에서 뛰며, 인간의 얼굴에 나 있는 일곱 개의 구멍은 하늘의 일곱 행성에 대응한다. 인간은 이 모든 관계가 다른 곳으로 옮아가게 하고, 그래서 인간이라는 동물과 인간이 살고 있는 대지 사이의 유비에서도 이 모든 관계가 유사한 모습으로 발견된다. 가령, 인간의 살은 흙이고, 인간의 뼈는 암석이고, 인간희 혈관은 커다란 강이고, 인간의 방광은 바다이고, 인간의 주요한 일곱 가지 구성 요소는 광산의 바닥에 묻혀 있는 일곱 가지 금속이다. (...)

  끝으로, 네번째 형태의 닮음은 감응(感膺)의 작용에 의해 확보된다. 감응의 작용에서도 결코 어떤 경로도 사전에 결정되어 있지 않고 어떤 거리도 전제되어 있지 않으며 어떤 연쇄도 규정되어 있지 않다. 감응은 세계의 심층에서 자유로운 상태로 작용한다. 감응은 한순간에 가장 드넓은 공간을 거로지른다. 감응은 행성에서 행성의 지배를 받는 인간까지 멀리에서 벼락 치듯 일어나기도 하고, 이와는 반대로 "장례식에서 사용되어" 다만 죽음과 인접했다는 사실만으로 향기를 들어마시는 모든 사람을 "슬프고 기력 없게' 만들 애도의 장미처럼 접촉만으로 생겨날 수도 있다. 그러나 감응의 힘은 매우 커서 단지 접촉만으로 솟아나거나 공간을 가로지르는 것으로 그치지 않으며, 세계 내에 사물의 움직임을 초래하고 아무리 멀리 떨어져 있는 사물이라도 가까이 접근시킨다. (...)

  감응은 동일자의 몹시 강하고 집요한 심급이기 때문에, 유사성의 형태들 중의 하나로 그치지 않고, 사물을 서로 동일하게 하고 뒤섞고 사물의 개체성을 사라지게 하고, 따라서 사물을 이전의 상태와 무관하게 만드는 위험한 동화의 힘을 지니고 있다. 감응은 변형시킨다.응은 변질이지만 동일성의 방향으로 그렇게 한다. 그래서 감응의 힘이 균형을 이루지 않고 있다면, 감응은 세계를 한 지점, 하나의 동질적인 덩어리, 동일자의 특징 없는 형태로 끌어내릴 것이다.  (...) 그래서 감응의 쌍둥이 형상, 즉 반감(反感)에 의해 감응이 보완된다. 반감은 사물을 고립된 상태로 유지하고 동화를 방해한다. 반감으로 인해 각자의 종(種)은 끈질긴  차이와 현재의 상태에 머무려는 성향을 지니게 된다. (...)

  2. 표징

  그렇지만 체계는 닫혀 있지 않다. 어떤 열린 부분이 남아 있다. 유사성의 새로운 형상에 의해 고리가 완결되지 않는다면, 즉 고리가 완전하고 명백하게 되지 않는다면, 닮음의 작용 전체는 이 열린 부분을 통해 새어나가거나 어둠에 묻힐 위험이 있을 것이다. 콘베니엔티아, 아이물라티오, 유비, 감응은 사물들이 서로 닮을 수 있으려면 세계가 어떻게 움츠러들거나 이중화되어야 하는지 또는 반영되거나 연쇄되어야 하는지를 말해 준다. 이것들은 우리에게 유사성의 경로와 이 경로가 어디를 통과하는지에 관해 말해주지만, 유사성이 어디에 있는지, 어떻게 유사성을 알아볼 수 있는지, 어떤 표지(標識)로 유사성을 식별할 수 있는지에 관해서는 말해 주지 않는다. 그런데 아마도 우리는 경이로울 정도로 많은 닮음이 오래전부터 세계의 질서에 의해 갖추어졌다는 사실을 짐작하지도 못하면서, 우리에게 돌아올 더 큰 이익을 위해 그 많은 닮음을 가로지르는 일이 있을지 모른다.

  바꽃이 안질(眼疾)을 치유한다거나 주정(酒精)을 섞어 만든 빵은 호두 가루가 두통에 좋다는 것을 알기 위해서는 우리에게 이 사실을 알려줄 표지가 필요하다. 그렇지 않으면 비밀은 어제가지나 묻혀 있을 것이다. 한 사람이 화성과 적대적이라거나 토성과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다는 표시를 그의 몸이나 얼굴의 주름살에서 찾아볼 수 없다면, 그와 행성 사이에 상사(相似) 관계 또는 적대관계가 있다는 것을 과연 알 수 있을까? 묻혀 있는 유사성이 사물의 표면에 표시되어야 한다. (...)

  표징(表徵) 없는 닮음은 없다. 유사한 것들의 세계는 표시가 있는 세계일 수밖에 없다. 피라겔수스는 이렇게 말한다. "신이 인간을 위해 창조한 것과 신이 인간에게 베푼 것이 감추어져 있다는 것은 신의 의지에 따른 것이 아니다. ... 설령 신이 어떤 것을 감추었다 해도, 보물을 땅속에 파묻은 사람이 나중에 다시 찾을 수 있도록 보물의 위치를 표시하듯, 신도 역시 모든 것에 특별한 표지를 해 두어 눈에 보이는 외부 표적을 남겨 두었다." 유사성에 대한 지식은 이러한 표징의 발견과 해독에 근거한다. (...) 표징들의 세계는 비가시적인 것에 대한 가시적인 것의 관계를 바꾸어 놓는다. 닮음은 세계의 깊은 곳으로부터 사물을 가시화하는 것의 비가시적 형태였다. 그러나 비가시적인 형태를 밝히기 위해서는 그것을 깊은 비가시성에서 끌어낼 가시적 형상이 필요하다.

  그래서 세계의 모습은 문장(文章), 특징, 지표, 모호한 말, 이를테면 터너(영국의 식물학자)가 말한 "상형문자"로 뒤덮혀 있다. 그래서 직접적 닮음의 공간은 방대한 책이 펼쳐진 것과 같과 같이 같아지는데, 그 책은 표지 기호로 온통 덮여 있고, 매 쪽마다 기이한 형상들이 교차하고 때로는 되풀이된다. 그것들을 해독하기만 하면 된다. "대지의 내장에서 생겨나는 모든 풀, 초목, 나무 등이 그만큼의 신기한 책과 기호라는 것은 사실 아닌가." 안쪽에 사물이 비치고 또 사물의 이미지를 반사하는 거울은 사실 말의 속삭임으로 가득채워져 있다. (...)

  닮음은 표징을 요구한다. 왜냐하면 표징이 해독될 수 있도록 표시되지 않는다면, 어떤 닮음도 관찰될 수 없을 것이기 때문이다. 그런데 이러한 기호는 무엇일까? 세계의 모든 양상과 그만큼 많은 서로 교차하는 형상 사이에서, 비밀스럽고 본질적인 닮음을 가리키는 것, 세심한 주의를 기울여야 할 특징이 여기에 있음을 인지하게 하는 것은 무엇일까? 어떤 형태가 기호의 독특한 기호 가치일까? (...)

- 『말과 사물』(지은이 : 미셸 푸코 · 옮긴 이 : 이규현 · 민음사 · 2012년 · 원제 : Les mots et les choses, 1966년) <2.세계의 산문> p.45~62









  1. 18
    Sep 2018
    02:52

    [철학] 자연주의 철학자들 · 2 : 에피쿠로스, 루크레티우스, 그리고 디오게네스

    (...) 객관적 진리에 집착하는 한 지식은 모조리 헛소리일 뿐이다. "진리를 묻기 전에 누가 진리를 묻는지를 물어라.' 이런 니체의 반지식적 입장은 이미 2천년 전에 배태된 것이다. 말이 나온 김에 덧붙이자면 "신은 죽었다"는 말도 니체가 원조는 아니다. ...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66907 file
    Read More
  2. 18
    Sep 2018
    02:37

    [철학] 자연주의 철학자들 · 1 : 탈레스에서 데모크리토스까지

    (...) 메소포타미아의 고대인들이 불멸의 것에 큰 가치를 둔 이유는 현세 이외에 어딘가 내세가 있으리라는 종교적 믿음 때문이다. 같은 시기의 이집트인들이 죽은 사람의 무덤에 내세의 길잡이인 <사자의 서>를 넣은 것과 같은 이유다. 고대인들에게는 그만...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47201 file
    Read More
  3. 07
    Sep 2018
    12:29

    [철학] 힐링(Healing)과 쇼펜하우어. 현대인은 '쇼펜하우어'이거나 '키에르케고르'일 지 모른다

    (...) 헤겔이 최고의 명성을 누리던 시절에 헤겔과 같은 강의 시간에 자신의 강의를 배정할 만큼 그의 권위에 도전하는 자세를 보였던―수강생의 수에서는 심하게 밀렸지만―쇼펜하우어(Althur Schopenhauser, 1788~1860)는 헤겔과 정반대인 비관주의적 입장에...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25019 file
    Read More
  4. 24
    Aug 2018
    13:22

    [철학] 『말과 사물』 : 유사(類似)와 상사(相似), 그리고 기호(記號)

    1. 네 가지 유사성 (...) 16세기 말엽까지 서양 문화에서 닮음의 역할은 지식을 구축하는 것이었다. 텍스트에 대한 주석과 해석을 대부분 이끈 것은 바로 닮음이다. 닮음에 의해 상징 작용이 체계화되었고 가시적이거나 비가시적 사물의 인식이 가능하게 되었...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21447 file
    Read More
  5. 21
    Aug 2018
    18:07

    [철학] 『미셸 푸코, 사회를 보호해야 한다』 : 생물정치의 전개(규율권력 · 생물권력 · 인종주의)

    (...) 생물정치는 규율적 메커니즘과 전혀 다른 메커니즘들을 작동시키기 시작했다. 생물정치에 의해 작동된 메커니즘은 우선 예측과 통계, 그리고 전체적인 측정 다음에 그런 특정 현상이나 개별적인 개인을 수정하는 것이 아니라 그 일반적이고 글로벌한 현...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42847 file
    Read More
  6. 21
    Aug 2018
    16:17

    [철학] 『미셸 푸코, 사회를 보호해야 한다』 : 미개인과 야만인, 그리고 교환

    (...) 역사 안에서 올바르고 진실된 구성의 시점을 찾으면서 불랭빌리에가 하고자 했던 것은 무엇이었던가? 그는 구성의 시점을 법 안에서 찾기를 거부했을 뿐만 아니라, 자연 안에서 찾기도 거부하였다. 그것은 반법률주의이고 동시에 반자연주의였다. 불랭...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22556 file
    Read More
  7. 21
    Aug 2018
    15:22

    [철학] 『미셸 푸코, 사회를 보호해야 한다』 : 봉건제의 발생 · 절대왕정제의 탄생

    (...) 로마인 문제 다음으로 내가 불랭빌리에의 분석 예로서 들고 싶은 것은, 그가 프랑크족에 관해 제기한 문제이다. 골에 들어온 프랑크인은 과연 누구인가? 내가 방금 여러분에게 했던 질문, 즉 비교적 적은 숫자로 골에 침입하여 그때까지 강했던 제국을 ...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7657 file
    Read More
  8. 19
    Aug 2018
    02:41

    [철학] 『미셸 푸코, 사회를 보호해야 한다』 : 주권의 문제 · 홉스의 리바이어던

    (...) 오늘은 16세기말과 17세기초에 어떻게 전쟁이 권력관계의 분석틀로 나타나기 시작했는지를 살펴보겠다. 물론 여기서 우리가 곧장 만나는 하나의 이름이 있다. 홉스의 이름이 그것이다. 그는 일견 전쟁관계를 권력관계의 원칙과 기초로 삼은 사람인 것처...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7140 file
    Read More
  9. 18
    Aug 2018
    06:49

    [철학] 『미셸 푸코, 사회를 보호해야 한다』 : 계보학 · 인종주의적 담론의 역사

    (...) 내 생각에는 중세의 전통적인 세 축 안에서 역사적 담론의 이 두 기능을 발견할 수 있을 것 같다. 계보학적 축은 왕권의 유구함을 말해주고, 위대한 선조들을 일깨워주며, 제국이나 왕국의 개국 영웅들의 위엄을 다시 발견하게 한다. 이런 식의 계보학...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9337 file
    Read More
  10. 05
    Aug 2018
    12:45

    [철학] 『담론의 질서』 : 나눔의 문제, 분절(articulation)

    (...) 나눔의 문제는 학문의 세계에서나 일상적인 삶의 세계에서나 매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우리의 철학적 사유가 처음으로 개화할 때 우리는 존재의 문제에 부딪힌다. '왜 존재할까?'라는 물음은 해결할 수 없는 궁극적인 물음으로 다가온다. 우리는 ...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7503 file
    Read More
  11. 02
    Aug 2018
    17:49

    [철학] 『담론의 질서』 : 배제(exclusion)의 과정(금기, 분할과 배척, 진위의 대립)

    (...) 어떤 사회든 담론의 생산을 통제하고, 선별하고, 조직화하고 나아가 재분배하는 일련의 과정들―그의 힘들과 위험들을 추방하고, 그의 우연한 사건을 지배하고, 그의 무거운, 위험한 물질성을 피해 가는 역할을 하는 과정들―이 존재한다. 유럽과 같은 사...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22951 file
    Read More
  12. 01
    Aug 2018
    22:57

    [사회] 『아케이드 프로젝트』 : 보헤미안 · 여행 · 산책자 · 구경꾼

    (...) "내가 이해하기로 보헤미안들이란 사는 것이 문제이고, 그들을 둘러싼 상황이 신화이며, 재산은 수수께끼에 휩싸여 있는 개인들의 계층을 가리킨다. 그들은 도대체 정해진 거처도, 공인된 안식처도 없다. 어디에도 속해 있지 않지만 어디에서든 만날 수...
    Category기타 By이우 Views9931 file
    Read More
  13. 30
    Jul 2018
    23:39

    [문학] 『아케이드 프로젝트』 : 보들레르

    (...) 나다르는 1843년~1845년에 보들레르가 살던 피모당 호텔 근처에서 그를 만났을 때의 복장을 이렇게 묘사하고 있다. '반작반짝 윤이 나는 장화 위에 바짓가락을 바짝 댄 검은 바지, 농민과 서민들이 입던 조잡하고 헐렁한 옷, 인부들이 주로 입는 청색 ...
    Category문학 By이우 Views47624 file
    Read More
  14. 28
    Jul 2018
    14:24

    [사회] 『아케이드 프로젝트』 : 도시재개발과 젠트리피케이션, 그리고 휴가 강박증

    (...) 나플레옹 3세 치하에서 파리의 근본적인 개조는 무엇보다 콩코르드 광장과 시청을 연결하는 선상에서 이루어졌다. 아마 70년전쟁(프랑스-프로이센 전쟁)은 파리의 건축상의 경관을 위해서는 하늘의 축복이었을 것이다. 왜냐하면 나플레옹 3세는 모든 도...
    Category기타 By이우 Views9288 file
    Read More
  15. 25
    Jul 2018
    12:25

    [철학] 스피노자의 철학 : 양태(modus) · 변용(affections) · 감정(affectus, affects)

    (1) 변용들은 양태들 그 자체다. 양태들은 실체 혹은 그 속성들의 변용들이다(<윤리학>, 1부, 명제25, 보충 : 1부, 명제 30, 증명). 이 변용들은 필연적으로 능동적이다. 왜냐하면 그것들은 적합한 원인으로서의 신의 본성에 희해서 설명되는데, 신은 수동적...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217810 file
    Read More
  16. 25
    Jul 2018
    11:09

    [철학] 스피노자의 철학 : 추상(abstractions, abstractions)

    (...) 핵심은 스피노자가 <윤리학>에서 확립하고 있는 추상 개념과 공통 개념 사이의 본성의 차이이다(2부, 명제 40, 주석1). 공통 개념은 서로 적합한 신체들, 다시 말해 법칙들에 따라 자신들의 각 관계를 결합하고 이 내적인 적합 혹은 결합에 상응하여 서...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81730 file
    Read More
  17. 24
    Jul 2018
    16:57

    [철학] 스피노자의 철학 : 슬픔과 기쁨, 나쁨과 좋음, 그리고 윤리(Ethics)

    (...) 슬픔에는 부정적이지도 외적이지도 않은 환원불가능한 어떤 것이 있다. 그것은 체험된 실제적인 이행, 지속이다. <나쁨>의 궁극적인 환원불가능성을 보여주는 어떤 것이 있다. 그것은 행위 능력 혹은 변용 능력의 감소로서의 슬픔이다. 이 슬픔은 악인...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6310 file
    Read More
  18. 19
    Jul 2018
    09:27

    [철학] 『에티카』 : 신(神)에 대하여③

    (...) 일어난 모든 것이 자신들 때문에 일어났다는 것을 스스로에게 납득시킨 다음, 사람들은 모든 사물들 안에서 그들에게 가장 유용했던 것을 특별한 것으로 판단해야 했고, 또한 그들에게 가장 큰 이익을 주었던 것을 가장 탁월한 것으로 평가해야 했다. ...
    Category기타 By이우 Views38013 file
    Read More
  19. 19
    Jul 2018
    08:31

    [철학] 『에티카』 : 신(神)에 대하여②

    (...) 이제는 자연이 자신 앞에 설정한 어떠한 목적도 없고 모든 목적인은 인간이 꾸며낸 것에 불과하다는 것을 보여주기 위해 많은 논의가 필요치 않을 것이다. 왜냐하며 정리161)과 정리 32의 따름정리2)들에 의해서 뿐만 아니라 이 편견이 그 기원을 어디...
    Category기타 By이우 Views13125 file
    Read More
  20. 19
    Jul 2018
    06:56

    [철학] 『에티카』 : 신(神)에 대하여①

    (...) 그들은 신이 모든 것을 인간 때문에 만들었으며 또한 신이 자신을 공경하기 위해 인간을 만들었다고 말한다. 따라서 내가 고찰할 첫번째 논점은 우선 왜 대다수의 사람들이 이런 편견에 만족해 하며 또한 모든 이들이 왜 같은 편견을 그렇게 자연스럽게...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3987 file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3 4 5 6 7 8 9 10 11 12 ... 25 Next
/ 25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