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사회] 죽어가는 자의 고독 : 죽음에 대한 억압의 증후, 죽음의 배제

by 이우 posted Jul 20, 2017 Views 14622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책_죽어가는자의 고독01.jpg


  (...) 삶을 마치는 것, 사망증명서와 묘지의 문제는 아닐 것이다. 많은 사람들이 천천히 죽어간다. 즉 많은 이들이 병약해지고 노쇠한다. 물론 임종하는 마지막 순간이 중요하기는 하다. 그러나 사람들과의 이별은 그보다 훨씬 더 일찍 시작된다. 종종 노쇠는 그 병약함으로 인해 삶과 다른 것으로 생각되기도 한다. 서서히 쇠락해 간다는 사실이 그 사람을 삶으로부터 격리시키는 것이다. 그런 사람들은 점차 사람들과 잘 어울리지도 못하고 쓸쓸하게 느껴지면서 여전히 사람들이 주위에 남아있기를 바란다. 

  그것이 가장 힘든 것이다. 즉 살아있는 사람들의 공동체에서 나이 든 사람, 즉 죽어가는 사람들이 암묵적으로 분리되는 것, 친한 사람들과의 관계가 점점 차가워지는 것, 일반적으로 그들에게 삶의 의미와 안온함을 주었던 사람들로부터 멀어지는 것, 이것이 가장 힘든 일이다. 말년은 고통 속에서 병마와 싸우는 사람들뿐 아니라 혼자 남겨진 사람에게도 가혹한 시간이다. 의도한 것은 아니더라도 특히 선진 사회에서 빈번하게 죽음의 때 이른 격리가 일어난다는 사실은 이 사회가 얼마나 취약한지를 보여준다. (...)

  검투사들이 행진하면서 황제에게 "죽으러 가는 자들이 황제께 인사드립니다"라고 예를 표했던 것은 유명한 사실이다. (...) 오늘날에도 일부 통치자들은 수많은 사람들의 생사를 결정하는 권력을 휘두른다. (...) 오늘날 죽음은 배제되었다. (...) 그들의 죽음이 우리의 죽음을 상기시킨다는 이유로 죽어가는 이들을 멀리하는 것이다. 죽어가는 사람의 모습을 보는 것은 나 자신의 죽음이라는 관념에 대해 방벽처럼 막아놓았던 방어적 환상을 흔들어 놓는다. (...) 죽어가는 사람과 너무 가까이 접촉하면 우리의 소망적 환상은 깨질 위험이 있다. (...) 개인적 수준에서 죽음의 문제를 죽음의 관념을 배제하는 문제 외에도 사회적 배제의 문제가 존재한다. 사회적 수준에서 죽음의 배제라는 개념은 다른 의미를 띤다.(...)

  (...) 지금으로부터 사오백 년 전에 시작되었다고 볼 수 있는 문명화 과정의 전개 속에서 사람들의 죽음에 대한 태도, 죽어가는 방식 자체도 다른 모든 것들과 더불어 변화를 겪었다. (...) 옛날에는 죽어가는 일이 오늘날보다 훨씬 공개되어 있었다. 그 당시 조건으로 보았을 때 다른 식으로 죽는다는 것은 거의 불가능했다. 무엇보다 사람들이 혼자 있는 경우가 드물었다. (...) 출생과 사망은 훨씬 공개적이었고, 따라서 오늘날과 비교했을 때 훨씬 사회적이었다. 그 영역들은 사적인 성격을 덜 가지고 있었다. 오늘날 죽음에 대한 태도에서 가장 특징적인 것은 어른들이 아이들에게 죽음에 관한 사실을 알려주기 꺼려한다는 점이다. 이것은 개인적인 수준에서 이루어지는 죽음에 대한 억압의 징후로서 특히 주목할 만하다. 어린아이들이 상처받을지 모른다는 모호한 감정 때문에 사람들은 아이들이 반드시 알고 이해해야 할 단순한 사실들을 감추려고 한다.

  그러나 위험은 아이들이 아버지, 어머니, 그리고 그 자신을 포함해 모든 존재의 유한성을 아는 것에 있지 않다. 모든 경우에 아이들의 환상(Phantasie)은 이 문제를 둘러싸고 있으며, 아이들의 강렬한 상상력으로 인해 죽음을 둘러싼 공포와 불안이 가중되는 경우도 많다. 아이들이 정상적으로 오랫동안 삶을 살아가리라는 점을 인식하는 것은 이러저러한 혼란스러운 환상에 사로잡히는 것보다 훨씬 유쾌한 일이다. 문제는 아이들에게 죽음에 대해 말해야 되는가 아닌가가 아니라 죽음을 말하는 방식이다. (...)

  우리 시대에 죽어가는 사람 곁에서 살아있는 사람들이 느끼는 각별하다고 할 당혹감은 죽음과 죽어가는 사람이 사회 생활에서 최대한 배제되어 있다는 점, 그리고 죽어가는 사람을 다른 이들로부터 철저히 격리한다는 사실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 건강한 사롬과 죽어가는 사람, 산 자와 죽은 자의 관계에서 나타나는 이 단계 특수적인 문제들이 각각 별도의 문제로 제시된다면 그것은 잘못된 구도일 것이다. (...)

  죽어가는 사람에게서 물러서는 살아 있는 자들, 그리고 그 주위로 점차 번지는 침묵은 임종 이후에도 계속된다. 시신 처리와 묘지 관리에서 그점이 잘 나타난다. 오늘날 이 둘은 대부분 가족, 친지, 친구의 손을 떠나 돈을받고 일하는 전문인의 손에 맡겨져 있다. 죽은 사람에 대한 기억이 아직 눈에 선한데도 그들에게 시신과 묘지는 별 의미를 갖지 않는다. 죽은 아들의 시신을 두고 슬퍼하는 어머니의 모습을 그린 미켈란젤로의 <피에타>는 하나의 예술작품으로 납득 가능하지만 실제 사건이라고 믿기는 어렵다.

  묘지관리업자들이 발핸한 홍보 책자를 보면 묘지 관리가 가족의 손에서 떠나 전문가의 일로 넘겨져 있음을 말해준다. 당연한 것이겠지만 이 책자에는 묘지를 장식하는 꽃의 양을 줄이려는 동종 경쟁업자들에 대한 경계의 말이 적혀 있다. 영릴르 목적으로 하는 그 업자들은 홍보 책자가 마음에 다가갈 수 있도록 최선을 다했을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죽은 사람이 묻힌 장소인 묘지의 의미에 대해 침묵하는 것이 거의 철칙이다. (...) 

  무덤 주변에서 재미있게 뛰노는 아이들은 잘 다듬어진 잔디와 화단을 관리하는 경비들로부터 죽은 자에 대한 존경을 표할 줄 모르는 버릇없음에 대해 꾸지람을 듣는다. (...) 장례식과 무덤을 둘러싼 경건함, 무덤 주변은 고요해야 한다는 생각, 묘지에서는 목소리를 낮추어야 한다는 관념, 이 모든 것은 죽은 자와 산 잘르 다로 떼어놓는 형식이자 죽은 자들의 인접성, 그리고 그 때문에 우리가 위협을 가능한 멀리 하려는 수단이다. (...)

  개인의 불멸성 환상은 최근에 와서 본격화되는 사회적 개인화 과정과 결합되어 더욱 빈번하게 나타나고 있다. 그러나 고도로 제도화된 불멸성 환상은 현재 우리 사회 속에서 다소 활력을 잃은 상태이지만 여전히 지속되고 있다. 누군가 죽었을 때 사람들이 아이들에게 말해줄 수 있는 사회적으로 적절한 표현에 대해 한 교과서는 다음과 같이 쓰고 있다.

  "할아버지는 천국에 계신단다." "엄마는 하늘에서 너를 굽어보고 계신단다." "네 여동생은 천사가 되었단다."

  이 예는 인간 존재의 돌이킬 수 없는 유한성을 집합적 소망의 관념으로 은폐하는, 특히 어린이들이 알지 못하게 감추는 경향, 즉 철저한 사회적 검열을 통해 확실히 은폐해버리는 경향이 우리 사회 속에 이미 안착해 있음을 보여준다. (...)

 - 『죽어가는 자의 고독』(노베르트 엘리아스 · 문학동네 · 2012년 · 원제 : Uber die Einsamkeit der Sterbenden, 1982년) p.8~47












  1. 04
    Dec 2017
    16:21

    [철학] 『안티오이디푸스』 : 역사, 자본, 그리고 우발의 개입·탈영토화·탈코드화

    #역사 (...) 탈코드화된 욕망들, 탈코드화의 욕망들은 늘 있었고, 역사는 이것들로 충만하다. 하지만 탈코드화된 흐름들이 하나의 욕망을, 사회적인 동시에 기술적인 욕망기계를 꿈꾸거나 결핍하는 대신 그런 기계를 생산하는 욕망을 형성하는 것은, 한 장소...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32706 file
    Read More
  2. 22
    Nov 2017
    18:16

    [철학] 안전, 영토, 인구 : 사목권력의 특징, 복종 · 예속 · 배려 · 봉사

    (...) 고대세계가 끝나갈 무렵 근대 세계가 탄생할 무렵까지 그리스도교 사회보다 더 사목적인 문명이나 사회는 결코 존재했던 적이 없습니다. 이런 사목, 이런 사목권력은 인간을 법이나 주권자에게 예속시키기 위해 사용된 절차와 동일시되거나 혼동되어서...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23321 file
    Read More
  3. 22
    Nov 2017
    04:52

    [철학] 안전, 영토, 인구 : 인간에 대한 통치, 사목권력의 출현

    (...) 목자의 은유는 희귀합니다. 하지만 명맥한 예외, 플라톤이라는 중대하고 주된 예외가 있습니다. 훌륭한 행정관, 이상적인 행정관이 목자로 간주되고 있는 텍스트가 플라톤에게는 많이 있습니다. 훌륭한 목자라는 것은 훌륭할 뿐만 아니라 단적으로 참된...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37989 file
    Read More
  4. 21
    Nov 2017
    19:53

    [철학] 안전, 영토, 인구 : '인간에 대한 통치'의 탄생, 사목권력

    (...) 인간에 대한 통치는 두 형태로 나타납니다. 사목적 유형의 권력이라는 관념과 조직형태가 그 중 하나이고, 양심지도나 영혼지도라는 형태가 나머지 하나입니다. 첫번째 형태로 사목권력의 관념과 조직을 살펴보죠. 왕 · 신 · 수장이 인간과 관련해 목자...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5346 file
    Read More
  5. 21
    Nov 2017
    16:26

    [철학] 안전, 영토, 인구 : 통치란 사람들을 적절한 목적으로 이끌기 위해 사물을 배치하는 일이다

    (...) 16세기에 '경제'라는 말은 통치의 한 형식을 지시했습니다. 그러나 18세기가 되면 '경제'는 우리의 역사에서 대단히 중요한 일련의 복잡한 절차를 통해 통치가 개입하는 현실의 한 수준, 어떤 영역을 지칭하게 됩니다. 지금까지가 통치한다는 것은 무엇...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33626 file
    Read More
  6. 13
    Nov 2017
    01:53

    [문학] 2017년 노벨문학상 수상, 『나를 보내지 마』

    (...) "어째서 헤일셤이 필요했을까? (중략) 너는 작품이 사람을 드러낸다고 했지. 사람의 내면을 말이야. 네가 말한 게 바로 그거지? 그렇다면 그 문제를 제대로 짚은 셈이다. 우리가 너희 작품을 거어온 건 거기에 너희의 영혼이 드러나 있다고 생각했기 때...
    Category문학 By이우 Views15390 file
    Read More
  7. 11
    Oct 2017
    22:59

    [문학] 마광수 시집? 『가자, 장미여관으로』 초판 서문

    (...) '장미여관'은 내 상상 속에 존재하는 가상의 여관이다. 장미여관은 내게 있어 두 가지 상징적 의미를 가지고 있다. 하나는 나그네의 여정과 향수를 느끼게 해주는 여관이다. 우리는 잡다한 현실을 떠나 어디론가 홀가분하게 탈출하고 싶은 충동을 느끼...
    Category문학 By이우 Views9578 file
    Read More
  8. 18
    Sep 2017
    03:58

    [사회] 『기본소득운동의 논리와 실천』: 주인이 되는 노예만이 자유를 얻는다

    (...) 조건 없는 기본소득에 반대하는 사람들은 그것이 우리를 자유가 아니라 예속으로 끌고 갈 것이라고 주장한다. 또한 그것은 과도한 사회적 · 정치적 개입이며, 공동체에 지나친 부담을 지우는 것이라고 비판한다. 기껏해야 생활이 어려운 몇 명의 창조적...
    Category기타 By이우 Views17697 file
    Read More
  9. 18
    Sep 2017
    02:44

    [사회] 『기본소득운동의 논리와 실천』: 누가 이 모든 것을 지불하는가 · 권력의 분배

    (...) 누가 이 모든 것을 지불하는가? 이 질문은 잘못된 질문 가운데에서도 가장 잘못된 질문이다. 조건 없는 기본 소득은 지불되어야 하는 것이 아니라, 이해되어야 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재정과 관련해서 본다면 이것은 일종의 이득과 손실의 총합이 제도...
    Category기타 By이우 Views12213 file
    Read More
  10. 17
    Sep 2017
    04:45

    [사회] 『기본소득운동의 논리와 실천』: 기본소득은 우리를 생존의 위협으로부터 자유롭게 해서 자신이 주권자임을 스스로 인식하여 살아갈 수 있게 한다

    (...) 조건 없는 기본소득은 위로부터 오지 않는다. 국가권력에 의해 생겨날 수 있는 성질의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그것은 하나의 기본권이다. 기본권은 시민들이 국가권력에 맞서 싸워서 획득하는 것이다. 기본권에 대한 공권력의 인정은 그것이 획득된 뒤...
    Category기타 By이우 Views7818 file
    Read More
  11. 16
    Sep 2017
    05:31

    [사회] 『기본소득운동의 논리와 실천』: 의미 있는 반대 논리

    (...) "조건 없는 기본소득은 인간의 존엄성에 대한 공격이다. 그것은 사회적 가치에 대해 내가 가지고 있는 생각과는 근본적으로 대립된다. 사회는 구성원 모두가 어떤 방식으로든 사회를 유지하는 데 기여해야 비로소 존속할 수 있다. (...) 자신의 생계를 ...
    Category기타 By이우 Views24984 file
    Read More
  12. 14
    Sep 2017
    10:32

    [사회] 『기본소득운동의 논리와 실천』: 자유롭게 노동할 수 있어야 한다.

    (...) 조건 없는 기본소득은 사회주의와 자유주의를 이어준다. 조건이 없으므로 자유주의이고, 모두에게 주어지므로 사회주의이다. 신자유주의와는 다른 '사회주의적 자유주의'라고도 할 수 있고, 사회주의와는 다른 '자유주의적 사회주의'라고도 할 수 있다....
    Category기타 By이우 Views12565 file
    Read More
  13. 14
    Sep 2017
    08:16

    [사회] 『기본소득운동의 논리와 실천』: 모두가 당신을 위해 일한다면...

    (...) 우리는 일을 한다. 지금껏 일을 하지 않은 적이 없다. 하지만 우리가 노동을 정의하거나 조직하는 방식은 지금까지 끊임없이 변화해 왔고, 앞으로도 계속 변화할 것이다. (...) 과거의 자급자족 경제에서는 우리는 나 자신을 위해서 노동을 했다. 하지...
    Category기타 By이우 Views11931 file
    Read More
  14. 20
    Aug 2017
    15:45

    [철학] 사물의 본성에 관하여 : 세계는 차이로 존재한다.

    (...) 얼마나 많은 종류의 형상으로써 다양하게 되어 있는지 알라. 이것은 몇몇 것들만 비슷한 형상을 부여받아서가 아니라, 모두가 모두와 같지 않아서이다. 이런 상황은 놀라운 것도 아니다. 왜냐하면 그들의 양이 그토록 많아서 한도도 없고, 내가 이미 가...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30039 file
    Read More
  15. 19
    Aug 2017
    23:50

    [철학] 사물의 본성에 관하여 : 생성하는 몸체는 머물지 않는다.

    (...) 즐겁도다., 광대한 바다에서 바람이 물들을 흔들 때, 육지에서 다른 이의 큰 노역을 바라보는 것은, 누군가 괴로움을 당하는 것이 달콤한 쾌락이어서가 아니라, 그대 자신이 어떠한 불행을 벗어나 있는지 깨닫는 것이 즐겁기 때문이다. 보기에 즐겁도다...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22839 file
    Read More
  16. 19
    Aug 2017
    03:05

    [철학] 사물의 본성에 관하여 : 자연은 스스로 무한(無限)을 정립한다.

    (...) 자연은 사물들의 총체가 스스로 자신에게 한계를 놓을 수 없도록 한다. 그것은 물체의 빈 공간에 의해서, 그리고 빈 공간인 것은 다시금 물체에 의해 한정되도록 강제한다. 이렇게 번갈음으로 해서 전체를 무한하게 만들면서, 혹은 최소한 이들 중 어느...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23835 file
    Read More
  17. 19
    Aug 2017
    00:33

    [철학] 사물의 본성에 관하여 : 그 어떤 것도 무에서 생겨나지 않고, 그 어떤 것도 무로 돌아가지 않는다

    아무 것도 무(無)에서 생겨나지 않음 (...) 그러므로 정신의 이 두려움과 어둠을, 태양의 빛살과 비치는 창들이 아니라, 자연의 모습과 이치로 떨쳐버려야 한다. 그것의 첫 원리는 다음과 같은 것에서 우리를 위한 시작점을 얻어야 한다 즉 그 어떤 것도 신들...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38971 file
    Read More
  18. 24
    Jul 2017
    00:04

    [사회] 호모 데우스 : 유발 하라리가 던진 질문에 답해보라. 그렇다고 생각하는가?

    (...) 자유주의자들이 자유시장과 민주적 선거를 지지하는 이유는, 모든 개인이 저마다 특별한 가치를 가지고 있고, 그들의 자유의지에 의한 선택이 권력의 궁극적 원천이라고 믿기 때문이다. 하지만 21세기에 전개될 세 가지 실질적 상황이 이 믿음을 무용지...
    Category기타 By이우 Views16099 file
    Read More
  19. 20
    Jul 2017
    23:04

    [사회] 죽어가는 자의 고독 : 죽음을 배제하는 현대사회의 특수성

    (...) 현대 사회의 특수성에는 첫째, 선진사회에 속한 개인들의 수명이 포함된다. 평균 기대 수명이 75세인 우리 사회에서 20대나 30대에 죽는다는 것은 생각하기 어려운 일이다. 기대 수명이 40세였던 사회라면 사정이 다를 것이다. (...) 모든 생명체가 그...
    Category기타 By이우 Views17360 file
    Read More
  20. 20
    Jul 2017
    18:33

    [사회] 죽어가는 자의 고독 : 죽음에 대한 억압의 증후, 죽음의 배제

    (...) 삶을 마치는 것, 사망증명서와 묘지의 문제는 아닐 것이다. 많은 사람들이 천천히 죽어간다. 즉 많은 이들이 병약해지고 노쇠한다. 물론 임종하는 마지막 순간이 중요하기는 하다. 그러나 사람들과의 이별은 그보다 훨씬 더 일찍 시작된다. 종종 노쇠는...
    Category기타 By이우 Views14622 file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6 7 8 9 10 11 12 13 14 15 ... 25 Next
/ 25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