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철학] 지젝의 『자본주의에 희망은 있는가』 : 자본주의의 딜레마③, 미국식 개인주의와 공적 자금 · 세금

by 이우 posted Jan 19, 2020 Views 51638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책_자본주의에 희망은 있는가.jpg


  (...) 미국의 유명 가스 프랭크 시나트라의 대표적인 노래인 '마이 웨이(My Way)'가 미국적 개인주의를 뜻한다고 생각한다. 원래는 '일반적' 혹은 '관습에 맞게'란 뜻의 프랑스 샹송 '콤 다비튀드(Comme d'habitude)'가 '마이 웨이'의 원곡이라는 사실은 잘 알려져 있지 않았다. 이런 모순을 이해하는 사람은 그보다도 적다. 원곡미국식의 번안곡은 서로 상반된 척박한 프랑스식의 태도와 미국의 창의성을 보여주는 또 다른 예다. 프랑스인들은 정해진 관습을 따르지만 미국은 새로운 해결책을 찾는다. 하지만 상반된 듯 보이는 거짓 모습을 버리고, '콤 다비티드'를 이용해서 지금까지 칭송했던 새로운 방법을 모색하는 방식에 숨겨진 슬픈 진실을 찾아낸다면 어떨까? '마이 웨이' 즉, 나의 방식을 활용할 수 있으려면, 각자 상당 부분을 '콤 다비티드' 즉, 일반적인 방식에 의존해야 한다. 다시 말해서 규제받지 않는 자유를 얻기 위해서는 여타 부분에 있어서는 상당한 규제가 필요하다.

  2008년 금융 붕괴와 이에 대응하기 위한 조치(은행을 살리기 위한 막대한 공적 자금을 투입한 것)가 가져온 괴상한 결과 중 하나는 아인 랜드*가 주장한 '탐욕은 좋다'는 식의 극단적인 자본주의에 대한 이념적인 표현을 재현시킨 것이다. 아인 랜드의 대표작으로 손꼽히는 <아틀라스(Atlas Shrugged)>의 주장**이 폭발적으로 실현된 것이다. 어떤 이들은 <아틀라스> 속의 시나리오―창의적인 자본주의가 파업한다는 내용이다―가 벌써 벌어지고 있다고 말한다. 하지만 이런 반응은 상황을 완전히 오해하고 있는 것이다. 금융 해결을 위해서 투입된 막대한 공적 자금은 '창의적인' 계획을 실행하지 못해서, 결국에는 붕괴를 토래한 규제를 받지 않고 있던 아인 랜드가 말하는 '거물'들에게 돌아 갔다. 따라서 창의적이고 뛰어난 천재들이 게으른 일반인들을 돕고 있는 것이 아니라, 일반적인 납세자들이 실패한 이른바 '창의적인 천재'들을 돕고 있는 것이다. (중략)

  아인 랜드가 주장한 자본주의자들이 가진 '도그마의 꿈(Dogma Drama)'에서 벗어나려면, 브레히트***가 <거지 오페라(Beggars' Opera)>에 삽입한 대사를 우리의 상황에 적용시켜야 한다. '은행을 설립하는 일에 비교했을 때, 은행에서 돈을 훔치는 것은 범죄라고 할 수 있을까?" 시민의 집과 저축에서 수천 만 달러를 갈취하고 나서 정부의 숭고하고 장엄한 도움을 보상으로 받는 금융 투기에 비교했을 때, 수천 달러를 훔치고 감옥에 가는 것을 어떻게 해야 할까? 거대 금융가들을 비롯해서 금융 붕괴에 책임이 있는 사람들을 반인류적 범죄자들로 취급하고, 헤이그 국제인권법정에 세워야 한다고 주장했던 사마라구****가 옳았는지도 모른다.

  적어도 그의 주장을 조너선 스위프트 식의 시적 표현의 과장으로 취급하는 대신, 심각하게 받아들여야 했는지도 모른다. 하지만 그런 일은 일어나지 않았다. '은행은 대마불사(Too big to fail, 大馬不死))'의 독트린(은행은 경제에서 차지하는 몫이 크기 때문에 파산할 경우 전체 경제에 미치는 파급 효과가 크다는 논리)이 받아들여졌고, 이제는 '은행이 너무 커서 기소할 수 없다'는 독트린(은행을 기소하면, 지배적인 상류층의 재정 및 도덕적인 위상에 파괴적인 여파가 미친다는 주장)이 수용되고 있다.

  상류층은 2008년 금융 위기의 주범이면서 여전히 전문가라고 자처하고 있다. 유일하게 자신들만이 금융 회복을 위한 고통스러운 길을 안내할 능력을 가지고 있으며, 따라서 자신들의 조언이 의회의 정책보다 우선해야 한다고 말한다. (중략) 그렇다면 시민들을 대표하기 위해서 민주적으로 선출된 의원들의 결정을 중단시킬 만큼 막강한 권한을 가진 상위 권력은 무엇일까? 그 답은 1998년 독일연방은행 총재인 한스 티트마이어에게서 얻을 수 있다. 그는 각 국가의 정부들이 "시민들이 치른 국민투표보다 세계 경제의 영구한 투표를 선호한다면서 찬사를 보냈다. (...)
 
- 『자본주의에 희망은 있는가』(슬라보예 지젝·문학사상사·2017년·원제 : Trouble in Paradise, 2014년) p.60~62


  ...................................
  *아인 랜드: Ayn Rand(1905년~1982년). 미국인 소설가, 극작가, 영화 각본가다. 베스트셀러 소설 <파운틴헤드>와 <아틀라스: 지구를 떠받치기를 거부한 신>과 객관주의라는 철학적 시스템을 발전시킨 것으로 가장 잘 알려졌다.

  **<아틀라스(Atlas Shrugged)> 주장: <아틀라스(Atlas Shrugged)>의 주인공인 존 갈트가 이런 유명한 대사를 남겼다. "내 사랑에 그리고 삶에 대한 사랑을 걸고 서약하노니, 타인을 위해 살지 않을 것이며, 타인에게 나를 위해 사는 것을 요구하지 않을 것이다." 이 말은 자본주의 이념인 미국식 개인주의를 표현하고 있다.

  ***브레히트: Bertolt Brecht(1898년~1956년). 독일의 시인이자 극작가. 많은 양식과 수사법을 능숙하게 구사한 뛰어난 시인으로, 연극적 환상을 일으키는 전통에서 벗어난 뛰어난 서사극을 쓴 극작가인 브레히트는 드라마를 좌익운동을 위한 사회적·이데올로기적 토론장으로 발전시켰다. 

  ****사마라구: Jose' Saramago(1922년~2010년). 1922년 포르투갈에서 가난한 농부의 아들로 태어나 용접공으로 사회생활을 시작한 사라마구는 1947년 『죄악의 땅』을 발표하면서 창작 활동을 시작했다. 그러나 그 후 19년간 단 한 편의 소설도 쓰지 않고 공산당 활동에만 전념하다가, 1968년 시집 『가능한 시』를 펴낸 후에야 문단의 주목을 받는다. 사라마구 문학의 전성기를 연 작품은 1982년작 『수도원의 비망록』으로, 그는 이 작품으로 유럽 최고의 작가로 떠올랐으며 1998년에는 노벨문학상을 수상했다. 20세기 세계문학의 거장으로 꼽히는 사라마구는 환상적 리얼리즘 안에서도 개인과 역사, 현실과 허구를 가로지르며 우화적 비유와 신랄한 풍자, 경계 없는 상상력으로 자신만의 독특한 문학세계를 구축해왔다. 왕성한 창작 활동으로 세계의 수많은 작가를 고무하고 독자를 매료시키며 작가 정신의 살아 있는 표본으로 불리던 그는 2010년 여든일곱의 나이로 타계했다.












  1. 13
    Feb 2020
    09:29

    [철학] 알튀세르 『철학과 맑스주의』 : 마주침의 유물론

    (...) 에피쿠로스에서 맑스에 이르기까지 항상, 자신의 유물론적 기초를 어떤 마주침의 철학(따라서 다소간 원자론적인 철학. 원자는 '낙하' 중에 있는 개체성의 가장 단순한 현상이다) 속에서 찾은 하나의 심오한 전통이―그러나 자신의 발견 그 자체에 의해,...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21552 file
    Read More
  2. 20
    Jan 2020
    13:33

    [철학] 지젝의 『자본주의에 희망은 있는가』 : 자본주의의 딜레마⑦, 법의 외설 · 초자아(Super Ego)의 개인화

    (...) 학생들은 선생님이 오기를 기다리다가 지루해져서 의자에 앉아 하품을 하고 허고을 바라본다. 문간에 앉아 있는 학생이 "선생님이 오신다"라고 외치자, 학생들은 갑자기 소리를 지르고, 종이를 구겨서 던지고, 책상을 흔드는 떠들썩한 행동을 시작한다....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20470 file
    Read More
  3. 19
    Jan 2020
    21:11

    [철학] 지젝의 『자본주의에 희망은 있는가』 : 자본주의의 딜레마⑥, 성층화(成層化)·계급·분리와 단절

    (...) 사이버 공간을 통제하려는 이 전투는 살아 있는 사람과 부유한 사람들의 계급 간 투쟁이다. 오바마 대통령이 무책임하게 '계급 간 전쟁'을 정치에 도입했을 때, 워렌 버핏*은 흡족해하면서 "물론 계급 간의 투쟁이다. 그것은 맞지만, 전쟁을 일으킨 사...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6087 file
    Read More
  4. 19
    Jan 2020
    19:41

    [철학] 지젝의 『자본주의에 희망은 있는가』 : 자본주의의 딜레마⑤, 자유 · 정보

    (...) 두 개의 단어가 확인된다. 하나는 '추출된다'이고 또 다른 하나는 '통제된다'이다. 클라우드를 관리하려면 기능을 통제하는 모니터링 시스템이 필요하고, 이 시스템은 본질적으로 사용자들로부터 숨겨진다. 역설적인 것은 손안에서 사용되는 작은 기계(...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4037 file
    Read More
  5. 19
    Jan 2020
    19:00

    [철학] 지젝의 『자본주의에 희망은 있는가』 : 자본주의의 딜레마④, 부채

    (...) 오늘날 자본주의는 유령에 쫓기고 있다. 유령은 부채라는 이름의 악령이다. 자본주의 강대국은 하나같이 이 유령을 쫓기 위한 숭고한 동맹을 결성했다. 하지만 정말 부채를 정리하고 싶을까? 마리치오 라자라토*는 국가에서 개인에 이르기까지 사회의 ...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5921 file
    Read More
  6. 19
    Jan 2020
    01:51

    [철학] 지젝의 『자본주의에 희망은 있는가』 : 자본주의의 딜레마③, 미국식 개인주의와 공적 자금 · 세금

    (...) 미국의 유명 가스 프랭크 시나트라의 대표적인 노래인 '마이 웨이(My Way)'가 미국적 개인주의를 뜻한다고 생각한다. 원래는 '일반적' 혹은 '관습에 맞게'란 뜻의 프랑스 샹송 '콤 다비튀드(Comme d'habitude)'가 '마이 웨이'의 원곡이라는 사실은 잘 ...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51638 file
    Read More
  7. 18
    Jan 2020
    23:31

    [철학] 지젝의 『자본주의에 희망은 있는가』 : 자본주의의 딜레마②, 금융 위기(부채의 역설)

    (...) 미국은 생산한 것보다 다 많이 소비하면서도 수십 년동안 풍족한 삶을 누렸다. 더 근본적인 수준을 살펴보면, 부채의 역설적인 면을 분명하게 확인할 수 있다. '생산하는 것보다 더 많이 소비해서는 안된다'는 슬로건의 문제점은 종합적으로 보았을 때 ...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3050 file
    Read More
  8. 15
    Jan 2020
    22:32

    [철학] 베르그송의 『물질과 기억』 : 동일성과 다양성 · 일반성과 특이성, 꿈의 평면과 행동의 평면(원뿔형 도식)

    (...) 신경계와 목적에 대하여 생각해 보면, 우리는 매우 다양한 지각의 기구들이 중추들을 매개로 해서 동일한 운동 기구들에 모두 연결되어 있는 것을 본다. 감각은 불안정하다. 즉 그것은 매우 다양한 뉘앙스를 취할 수 있다. 반대로 일단 만들어진 운동기...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7742 file
    Read More
  9. 14
    Jan 2020
    15:37

    [철학] 베르그송의 『물질과 기억』 : 과거와 현재의 관계(원뿔형 도식)

    (...) 우리는 커다란 실용적 이점 때문에 사실들의 실제 순서를 역전시키는 데 너무 익숙해져 있으며, 공간에서 이끌어낸 이미지들에 너무나 사로잡혀 있기 때문에 기억이 어디에 보존되는 지를 묻지 않을 수 없다. 우리는 물리화학적인 현상들이 뇌 속에서 ...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5301 file
    Read More
  10. 14
    Jan 2020
    00:43

    [철학] 베르그송의 『물질과 기억』 : 이미지 · 시간과 공간

    (...) 순수 기억이 어떻게 잠재적 상태로 보존되는가 하는 것은 그것의 근본적인 무력함(impuissance)을 볼 때 정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아직 문제의 핵심으로 들어가지 않고, 우리가 무의식적 심리 상태들을 생각하는 데서 갖는 혐오감은 무엇보다도...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5230 file
    Read More
  11. 13
    Jan 2020
    09:57

    [철학] 베르그송의 『물질과 기억』 : 기억·지속·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생성

    (...) 우리는 순수기억, 이미지-기억, 지각이라는 세 항들을 구별하였는데, 이 항들 중 어느 것도 사실상 단독으로 생겨나지 않는다. 지각은 결코 현재적 대상과 정신의 단순한 접촉이 아니다. 지각에는 항상 그것을 해석하면서 완결시키는 이미지-기억들이 ...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25088 file
    Read More
  12. 10
    Jan 2020
    20:02

    [철학] 지젝의 『자본주의에 희망은 있는가』 : 자본주의의 딜레마①, 실업

    (...) 현재 한국의 상황을 보면 찰스 디킨스가 쓴 소설 『두 도시 이야기(A Tale of Two Cities)』의 유명한 도입부가 절로 생각난다. '그때는 희망의 봄이었고, 절망의 겨울이었다. 우리 앞에는 모든 것이 있었고, 우리 앞에는 아무 것도 없었다. 우리 모두...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1577 file
    Read More
  13. 09
    Jan 2020
    17:18

    [철학] 푸코의 『감시와 처벌 - 감옥의 역사』 : 계보학 · 권력의 미시물리학 · 신체의 정치경제학

    (...) "감옥의 역사"라는 부제가 붙어 있는 『감시와 처벌』(Surveiller et Punir, 1975년)은 미셸 푸코의 사상적 변화 과정에서뿐 아니라 서구 지성사의 전개과정에서도 새롭고 큰 변화를 보여준 중요한 업적으로 평가될 수 있는 책이다. 저자는 이 책을 쓰...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5046 file
    Read More
  14. 30
    Dec 2019
    09:22

    [철학] 베르그송의 『물질과 기억』 : 신체의 능동성, 기억(mories)

    (...) 식별이 주의적인 경우에, 즉 이미지-기억들이 현재적 지각에 규칙적으로 결합하는 경우에, 지각은 기억들의 출현을 기계적으로 결정하는가, 아니면 기억들이 지각 앞으로 자발적으로 향해 가는가? (...) 외적 지각이 실제로 우리에게 그것의 핵심적 윤...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1973 file
    Read More
  15. 19
    Dec 2019
    21:41

    [철학] 베르그송의 『물질과 기억』 : 사물의 실재성·기억·현대 유물론의 탄생

    (...) 우리 지각의 현실성(actuality)은 그것의 활동성(activities)으로, 즉 그것을 연장하는 운동들로 이루어지는 것이지, 더 큰 강도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다. 과거는 단지 관념에 불과하고, 현재는 관념-운동이다. 그러나 그것이야말로 사람들이 고집스...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3896 file
    Read More
  16. 18
    Dec 2019
    16:48

    [철학] 베르그송의 『물질과 기억』 : 감각, 지각, 정념, 그리고 기억

    (...) 사람들은 모든 감각이 자연적이고 필연적으로 비연장적이며, 감각이 연장에 덧붙여지고, 지각 과정이 내적 상태들의 외재화로 이루어진다고 결론짓는다. 사실상 심리학자는 자신의 신체로부터 출발하며, 이 신체의 주변에서 받은 인상들이 그에게는 물...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20183 file
    Read More
  17. 21
    Nov 2019
    06:56

    [철학] 『사생활의 역사』 : 사생활의 경계와 공간(응접실·사생활·공적 생활·공간의 분절·사회적 성층 작용·노동)

    (...) 사생활은 태초부터 자연적으로 주어지는 것이 아니라 사회마다 각기 다른 방법으로 만들어내는 역사적 현실이다. 따라서 당연한 이야기이지만 그러므로 사적 영역과 공적 영역 사이의 경계선은 끊임없이 변한다. 그리고 사생활은 공적 생활과 관련해서...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21277 file
    Read More
  18. 12
    Nov 2019
    03:24

    [철학] 레비나스의 『시간과 타자』 : 주체의 죽음, 해체와 탈중심화

    인간 주체를 어떻게 규정할 것인가 하는 것은 현대철학의 쟁점 가운데 가장 첨예한 문제로 등장하였다. 현대철학은, 주로 프랑스 철학자들을 중심으로 '주체의 죽음'을 선언하기에 이르렀다. 절대화된 주체, 이성적 주체, 세계 의미 부여자로서의 주체는 더 ...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7210 file
    Read More
  19. 29
    Oct 2019
    12:53

    [철학] 레비나스의 『시간과 타자』 : 서문

    (...) 시간은 유한한 존재의 진정한 한계인가, 아니면 유한한 존재의 신(神)과의 관계인가? 시간은 유한성과 반대로 무한성을, 결핍에 반대하여 자족성을 존재자에게 보장해 줄 수 없는 관계, 하지만 만족과 불만을 넘어서 덤으로서의 사회성을 뜻하는 관계이...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6340 file
    Read More
  20. 14
    Oct 2019
    19:23

    [철학] 『말과 사물』 : 서문 · 분절(分節, articulation)의 문제

    (...) 이 책의 탄생 장소는 보르헤스의 텍스트이다. 보르헤스의 텍스트를 읽을 때, 우리에게 존재물의 무질서한 우글거림을 완화해 주는 정돈된 표면과 평면을 모조리 흩뜨리고 우리의 매우 오래된 관행인 동일자와 타자의 원리에 불안정성과 불확실성을 오래...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2392 file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25 Next
/ 25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