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철학] 『말과 사물』 : 서문 · 분절(分節, articulation)의 문제

by 이우 posted Oct 14, 2019 Views 12404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말과 사물02.jpg



  (...) 이 책의 탄생 장소는 보르헤스의 텍스트이다. 보르헤스의 텍스트를 읽을 때, 우리에게 존재물의 무질서한 우글거림을 완화해 주는 정돈된 표면과 평면을 모조리 흩뜨리고 우리의 매우 오래된 관행인 동일자와 타자의 원리에 불안정성과 불확실성을 오래도록 불러일으키고 급기야는 사유, 우리의 사유, 즉 우리 시대와 우리의 지리(地理)가 각인되어 있는 사유의 친숙성을 깡그리 뒤흔들어 놓은 웃음이다. 보르헤스의 텍스트에 인용된 "어떤 중국 백과사전"에는 "동물이 a)황제에게 속하는 것, b)향기로운 것, c)길들여진 것, d)식용 젖먹이 돼지, e)인어(人魚), f)신화에 나노는 것, g)풀려나 싸대는 것, h)지금의 분류에 포함된 것, i)미친 듯이 나부대는 것, j)수없이 많은 것, k)아주 가느다란 낙타털 붓으로 그린 것, l)기타, m)방금 항아리를 깨뜨린 것, n)멀리 파리처럼 보이는 것"등으로 분류되어 있다는 것이다. 이 경이로운 분류에서 누구에게나 난데없이 다가오는 것, 교훈적인 우화의 형식 덕분으로 우리에게 또 다른 사유의 이국적인 매력처럼 보이는 것은 우리의 사유가 갖는 한계, 즉 그것을 사유할 수 없다는 적나라한 사실이다.

  도대체 무엇을 사유하는 것이 불가능하고, 어떤 불가능성이 문제일까? 이 특이한 항목들 각각에는 분명한 의미와 정확한 내용을 부여할 수 있고, 몇몇 항목은 명백히 환상적인 존재들, 이를테면 신화적인 동물이나 인어나 채워져 있지만, 중국 백과사전은 바로 이것들에 별도의 자리를 마련해 줌으로써 이것들의 확산을 차단하고, 미친듯이 나부대거나 방금 항아리를 깨뜨린 정말로 실재하는 동물과 상상의 영역에만 존재하는 동물들을 세심하게 구분한다. 위험한 혼합이 철저히 배제되고, 상징적인 표지와 지어낸 이야기가 제각기 높은 정점에 이르며, 상상할 수 없는 양서(兩捿) 동물도, 발톱 달린 날개도, 비늘 덮인 보기 흉한 피부도, 악마 같은 다형(多形)의 얼굴도, 불꽃의 입김도 없다. 여기에서 기괴성은 실제로 어떤 육체도 변화시키지 않고, 상상 속의 동물 우화집에 어떤 변모도 일으키지 않으며, 기이한 힘이 꿈틀대는 어떤 심층 속에 감춰져 있지도 않다. 심지어는 빈 공간 전체로, 존재물들을 서로 분리하는 공백의 간극으로 스며들지 않는다면, 이 분류의 어느 곳에도 존재하지 않을 것이다. '전설상의 동물'은 그 자체로 지칭되므로 있을 수 없는 것이 아니다. 불가능한 것은 전설상의 동물이 아니라, 풀려나 싸대는 개 또는 멀리 파리처럼 보이는 동물들과 전설상의 동물이 나란히 놓일 때의 좁은 간격이다. 모든 상상, 모든 가능한 사유를 벗어나는 것은 그저 이 각각의 범주를 서로 연결하는 알파벳순의 계열(a, b, c, d)이다.

  엉뚱하고 기묘한 마주침이 일어나는 것도 아니다. 알다시피 극단적인 것들의 근접이나 관계가 없는 사물들의 느닷없는 인접만 해도 우리를 당혹하게 하는 것이 없지 않고, 그런 것들을 서로 마주치게 하는 열거만 해도 독특한 매력이 있다. 가령 외스텐의 말에 귀를 기울여 보자. "이제 나는 배고프지 않다. 아스픽스, 암피스메데스, 아이아르트라즈, 암모바테스, 아피나오스, 알라트라반스, 아락테스, 아스테라온스, 알카라테스, 아라이에스, 아스갈리베스, 아틸라베스, 아스칼라보테스, 아에모로이데스가 내일까지는 내 힘으로 안전할 것이다." 그러나 이 모든 벌레와 뱀, 이 모든 끈적끈적하고 썩은 동물들은 이 명칭들의 음절처럼 외스텐의 침 속에서 우글거린다. 이 모든 것의 공통의 장소(논리가 들어 있는 저장소)수술대 위의 우산과 재봉틀처럼 바로 그의 침 속이고, 이것들의 야릇한 마주침이 확연히 드러나는 것은 확고하고 자명해서 병치의 가능성을 보장하는 "" 및 "안에", 그리고 "위에"라는 어위를 토대로 해서이다. 물론 독사, 거미, 사막의 뱀이 어느 날 외스텐의 입속에서 뒤섞이게 되지는 않았을 것이지만, 요컨대 뭐든지 게걸스럽게 삼켜대는 그러한 입 안에서 이것들이 자리를 차지하고, 공존의 궁전을 발견할 여지는 있었다.

  이와는 반대로 보르헤스의 열거에 감도는 기괴성은 항목들을 서로 연결할 공통의 바탕 자체가 무너져 있다는 점에서 비롯된다. 불가능한 것은 사물들의 근절이 아니라, 사물들이 인접할 수 있는 장소이다. 이 세상의 것이 아닌 듯한 열거하는 목소리에서가 아니라면, 열거의 항목들에 기입되는 종이 위가 아니라면, 과연 어디에서 "i)미친 듯이 나부되는 듯한 동물, j)수없이 많은 동물, k) 아주 가느다란 낙타털 붓으로 그려진 동물"이 마주칠 수 있을 것인가? 언어의 (非)-장소(non-lieu, 원래 법률용어로서 '기소 면제'를 뜻한다. 여기에서는 언어의 공간이 현실의 공간에 직접 연루되지 않았다는 뜻을 함축하고 있다. 이를테면 '장소 아닌 장소'다.)가 아니라면 어디에 이것들이 나란히 놓일 것인가? 그런데 언어는 이것들을 늘어놓으면서 오로지 사유할 수 없는 공간을 열어 놓을 따름이다. "현재의 분류에 포함된" 동물이라는 중심의 범주는 앞뒤에 이어 나열된 항목들 사이의 부조리에 명시적으로 의거하는 만큼, 이 집합들 각각과 이 집합들을 통합하는 집합 사이의 인정된 포함 관계가 결코 규정될 수 없으리라는 것을 충분히 보여준다. 분류된 동물이 분류 항목들 중의 하나에 예외없이 놓이는 것은 다른 모든 동물이 이 항목에 들어있지 않기 때문일까? 그리고 이 항목은 어떤 공간에 존재할까? 이처럼 분명한 부조리로 말미암아, 열거된 사물들이 분류될 "안에"라는 전치사에 불가능성의 충격이 가해지면서, 열거의 접속사도 훼손된다. (중략)

  중국 백과사전에 나오는 열거에서 유일하게 가시적으로 길잡이 구실을 한다고 여겨지는 우리의 알파벳순 계열에 의해 가려진 소멸, 더 정확히 말해서 미미하게 드러나는 소멸…. 물러나는 것은 한마디로 유명한 "수술대"인데, 나는 루셀에게서 늘 빚지고 있는 것을 조금이나마 갚으려는 마음에서, 대(臺) 또는 탁자라는 의미의 낱말 '테이블'을 두 가지 중첩된 의미로 사용하고 싶다. 하나는 어둠을 삼키는 유리 태양(전구) 아래 반짝거리고 니켈 도금이 되어 있으며 방수포와 하얀 면직포로 둘러싸여 있는 수술대이다. 거기에서는 어느 순간, 우산이 재봉틀과 마주치고 어쩌면 계속해서 마주칠 것이다. 다른 하나는 사유로 하여금 존재물의 정돈과 종류별 분할, 존재물의 유사점과 차이점이 지정되는 명목적인 분류를 실행하게 해주는 도표이다. 거기에서는 아득히 먼 옛날부터 공간과 교차한다. (...)

 - 『말과 사물』(지은이 : 미셸 푸코 · 옮긴 이 : 이규현 · 민음사 · 2012년 · 원제 : Les mots et les choses, 1966년) <서문>  p.7~11


















  1. 13
    Feb 2020
    09:29

    [철학] 알튀세르 『철학과 맑스주의』 : 마주침의 유물론

    (...) 에피쿠로스에서 맑스에 이르기까지 항상, 자신의 유물론적 기초를 어떤 마주침의 철학(따라서 다소간 원자론적인 철학. 원자는 '낙하' 중에 있는 개체성의 가장 단순한 현상이다) 속에서 찾은 하나의 심오한 전통이―그러나 자신의 발견 그 자체에 의해,...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21571 file
    Read More
  2. 20
    Jan 2020
    13:33

    [철학] 지젝의 『자본주의에 희망은 있는가』 : 자본주의의 딜레마⑦, 법의 외설 · 초자아(Super Ego)의 개인화

    (...) 학생들은 선생님이 오기를 기다리다가 지루해져서 의자에 앉아 하품을 하고 허고을 바라본다. 문간에 앉아 있는 학생이 "선생님이 오신다"라고 외치자, 학생들은 갑자기 소리를 지르고, 종이를 구겨서 던지고, 책상을 흔드는 떠들썩한 행동을 시작한다....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20497 file
    Read More
  3. 19
    Jan 2020
    21:11

    [철학] 지젝의 『자본주의에 희망은 있는가』 : 자본주의의 딜레마⑥, 성층화(成層化)·계급·분리와 단절

    (...) 사이버 공간을 통제하려는 이 전투는 살아 있는 사람과 부유한 사람들의 계급 간 투쟁이다. 오바마 대통령이 무책임하게 '계급 간 전쟁'을 정치에 도입했을 때, 워렌 버핏*은 흡족해하면서 "물론 계급 간의 투쟁이다. 그것은 맞지만, 전쟁을 일으킨 사...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6101 file
    Read More
  4. 19
    Jan 2020
    19:41

    [철학] 지젝의 『자본주의에 희망은 있는가』 : 자본주의의 딜레마⑤, 자유 · 정보

    (...) 두 개의 단어가 확인된다. 하나는 '추출된다'이고 또 다른 하나는 '통제된다'이다. 클라우드를 관리하려면 기능을 통제하는 모니터링 시스템이 필요하고, 이 시스템은 본질적으로 사용자들로부터 숨겨진다. 역설적인 것은 손안에서 사용되는 작은 기계(...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4059 file
    Read More
  5. 19
    Jan 2020
    19:00

    [철학] 지젝의 『자본주의에 희망은 있는가』 : 자본주의의 딜레마④, 부채

    (...) 오늘날 자본주의는 유령에 쫓기고 있다. 유령은 부채라는 이름의 악령이다. 자본주의 강대국은 하나같이 이 유령을 쫓기 위한 숭고한 동맹을 결성했다. 하지만 정말 부채를 정리하고 싶을까? 마리치오 라자라토*는 국가에서 개인에 이르기까지 사회의 ...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5923 file
    Read More
  6. 19
    Jan 2020
    01:51

    [철학] 지젝의 『자본주의에 희망은 있는가』 : 자본주의의 딜레마③, 미국식 개인주의와 공적 자금 · 세금

    (...) 미국의 유명 가스 프랭크 시나트라의 대표적인 노래인 '마이 웨이(My Way)'가 미국적 개인주의를 뜻한다고 생각한다. 원래는 '일반적' 혹은 '관습에 맞게'란 뜻의 프랑스 샹송 '콤 다비튀드(Comme d'habitude)'가 '마이 웨이'의 원곡이라는 사실은 잘 ...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51650 file
    Read More
  7. 18
    Jan 2020
    23:31

    [철학] 지젝의 『자본주의에 희망은 있는가』 : 자본주의의 딜레마②, 금융 위기(부채의 역설)

    (...) 미국은 생산한 것보다 다 많이 소비하면서도 수십 년동안 풍족한 삶을 누렸다. 더 근본적인 수준을 살펴보면, 부채의 역설적인 면을 분명하게 확인할 수 있다. '생산하는 것보다 더 많이 소비해서는 안된다'는 슬로건의 문제점은 종합적으로 보았을 때 ...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3053 file
    Read More
  8. 15
    Jan 2020
    22:32

    [철학] 베르그송의 『물질과 기억』 : 동일성과 다양성 · 일반성과 특이성, 꿈의 평면과 행동의 평면(원뿔형 도식)

    (...) 신경계와 목적에 대하여 생각해 보면, 우리는 매우 다양한 지각의 기구들이 중추들을 매개로 해서 동일한 운동 기구들에 모두 연결되어 있는 것을 본다. 감각은 불안정하다. 즉 그것은 매우 다양한 뉘앙스를 취할 수 있다. 반대로 일단 만들어진 운동기...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7752 file
    Read More
  9. 14
    Jan 2020
    15:37

    [철학] 베르그송의 『물질과 기억』 : 과거와 현재의 관계(원뿔형 도식)

    (...) 우리는 커다란 실용적 이점 때문에 사실들의 실제 순서를 역전시키는 데 너무 익숙해져 있으며, 공간에서 이끌어낸 이미지들에 너무나 사로잡혀 있기 때문에 기억이 어디에 보존되는 지를 묻지 않을 수 없다. 우리는 물리화학적인 현상들이 뇌 속에서 ...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5319 file
    Read More
  10. 14
    Jan 2020
    00:43

    [철학] 베르그송의 『물질과 기억』 : 이미지 · 시간과 공간

    (...) 순수 기억이 어떻게 잠재적 상태로 보존되는가 하는 것은 그것의 근본적인 무력함(impuissance)을 볼 때 정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아직 문제의 핵심으로 들어가지 않고, 우리가 무의식적 심리 상태들을 생각하는 데서 갖는 혐오감은 무엇보다도...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5243 file
    Read More
  11. 13
    Jan 2020
    09:57

    [철학] 베르그송의 『물질과 기억』 : 기억·지속·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생성

    (...) 우리는 순수기억, 이미지-기억, 지각이라는 세 항들을 구별하였는데, 이 항들 중 어느 것도 사실상 단독으로 생겨나지 않는다. 지각은 결코 현재적 대상과 정신의 단순한 접촉이 아니다. 지각에는 항상 그것을 해석하면서 완결시키는 이미지-기억들이 ...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25105 file
    Read More
  12. 10
    Jan 2020
    20:02

    [철학] 지젝의 『자본주의에 희망은 있는가』 : 자본주의의 딜레마①, 실업

    (...) 현재 한국의 상황을 보면 찰스 디킨스가 쓴 소설 『두 도시 이야기(A Tale of Two Cities)』의 유명한 도입부가 절로 생각난다. '그때는 희망의 봄이었고, 절망의 겨울이었다. 우리 앞에는 모든 것이 있었고, 우리 앞에는 아무 것도 없었다. 우리 모두...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1579 file
    Read More
  13. 09
    Jan 2020
    17:18

    [철학] 푸코의 『감시와 처벌 - 감옥의 역사』 : 계보학 · 권력의 미시물리학 · 신체의 정치경제학

    (...) "감옥의 역사"라는 부제가 붙어 있는 『감시와 처벌』(Surveiller et Punir, 1975년)은 미셸 푸코의 사상적 변화 과정에서뿐 아니라 서구 지성사의 전개과정에서도 새롭고 큰 변화를 보여준 중요한 업적으로 평가될 수 있는 책이다. 저자는 이 책을 쓰...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5059 file
    Read More
  14. 30
    Dec 2019
    09:22

    [철학] 베르그송의 『물질과 기억』 : 신체의 능동성, 기억(mories)

    (...) 식별이 주의적인 경우에, 즉 이미지-기억들이 현재적 지각에 규칙적으로 결합하는 경우에, 지각은 기억들의 출현을 기계적으로 결정하는가, 아니면 기억들이 지각 앞으로 자발적으로 향해 가는가? (...) 외적 지각이 실제로 우리에게 그것의 핵심적 윤...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1977 file
    Read More
  15. 19
    Dec 2019
    21:41

    [철학] 베르그송의 『물질과 기억』 : 사물의 실재성·기억·현대 유물론의 탄생

    (...) 우리 지각의 현실성(actuality)은 그것의 활동성(activities)으로, 즉 그것을 연장하는 운동들로 이루어지는 것이지, 더 큰 강도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다. 과거는 단지 관념에 불과하고, 현재는 관념-운동이다. 그러나 그것이야말로 사람들이 고집스...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3901 file
    Read More
  16. 18
    Dec 2019
    16:48

    [철학] 베르그송의 『물질과 기억』 : 감각, 지각, 정념, 그리고 기억

    (...) 사람들은 모든 감각이 자연적이고 필연적으로 비연장적이며, 감각이 연장에 덧붙여지고, 지각 과정이 내적 상태들의 외재화로 이루어진다고 결론짓는다. 사실상 심리학자는 자신의 신체로부터 출발하며, 이 신체의 주변에서 받은 인상들이 그에게는 물...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20203 file
    Read More
  17. 21
    Nov 2019
    06:56

    [철학] 『사생활의 역사』 : 사생활의 경계와 공간(응접실·사생활·공적 생활·공간의 분절·사회적 성층 작용·노동)

    (...) 사생활은 태초부터 자연적으로 주어지는 것이 아니라 사회마다 각기 다른 방법으로 만들어내는 역사적 현실이다. 따라서 당연한 이야기이지만 그러므로 사적 영역과 공적 영역 사이의 경계선은 끊임없이 변한다. 그리고 사생활은 공적 생활과 관련해서...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21287 file
    Read More
  18. 12
    Nov 2019
    03:24

    [철학] 레비나스의 『시간과 타자』 : 주체의 죽음, 해체와 탈중심화

    인간 주체를 어떻게 규정할 것인가 하는 것은 현대철학의 쟁점 가운데 가장 첨예한 문제로 등장하였다. 현대철학은, 주로 프랑스 철학자들을 중심으로 '주체의 죽음'을 선언하기에 이르렀다. 절대화된 주체, 이성적 주체, 세계 의미 부여자로서의 주체는 더 ...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7231 file
    Read More
  19. 29
    Oct 2019
    12:53

    [철학] 레비나스의 『시간과 타자』 : 서문

    (...) 시간은 유한한 존재의 진정한 한계인가, 아니면 유한한 존재의 신(神)과의 관계인가? 시간은 유한성과 반대로 무한성을, 결핍에 반대하여 자족성을 존재자에게 보장해 줄 수 없는 관계, 하지만 만족과 불만을 넘어서 덤으로서의 사회성을 뜻하는 관계이...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6360 file
    Read More
  20. 14
    Oct 2019
    19:23

    [철학] 『말과 사물』 : 서문 · 분절(分節, articulation)의 문제

    (...) 이 책의 탄생 장소는 보르헤스의 텍스트이다. 보르헤스의 텍스트를 읽을 때, 우리에게 존재물의 무질서한 우글거림을 완화해 주는 정돈된 표면과 평면을 모조리 흩뜨리고 우리의 매우 오래된 관행인 동일자와 타자의 원리에 불안정성과 불확실성을 오래...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2404 file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25 Next
/ 25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