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철학] 『칸트의 비판 철학』: 자연과 인간의 합목적적 관계·역사

by 이우 posted Feb 07, 2019 Views 39612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책_칸트의비판철학.jpg


  (...) 마지막 질문은 이런 것이다. 어떻게 궁극 목적은 또한 자연의 최종 목적인가? 다시 말해, 오로지 초감성적 존재로서, 또 가상체로서만 궁극 목적인 인간이 어떻게 감성적 자연의 최종 목적일 수 있는가? 우리는 어떤 식으로든 초감성계가 감성계와 통일되어야 함을 한다. 자유 개념은 감성계 속에서 자유의 법칙이 부과한 목적을 실현해야만 한다. 이 실현은 두 종류의 제약 아래서 가능하다.

  그 하나는 신적 제약들이다. 이성의 이념들에 대한 실천적 규정은 감성계와 초감성계의 일치, 행복과 도덕성의 일치로서 최고선을 가능하게 해준다. 다른 하나는 현세적 제약들이다. 미학과 목적론에 있어서 합목적성은 최고선 자체의 실현, 다시 말해 보다 높은 합목적성에 대한 감성적인 것의 합치를 가능하게 해준다. 그러므로 자유의 실현은 또한 최고선의 성취이다. 즉 "세계 안의 이성적 피조물의 최고의 행복과 도덕적 선 자체의 최고의 제약과의 결합"(『판단력비판』 88)이다. 이런 의미에서 무제약적인 궁극 목적은 감성계 자연의 최종 목적이다. 제약들 아래서 이 최종 목적은, 궁극 목적을 감성적 자연 속에서 필연적으로 실현될 수 있으며 또 실현되어야 하는 것으로 정립한다.

  최종 목적이 궁극 목적 이외의 다른 것이 아닌 한에서의 최종 목적은 근본적인 역설의 대상이다. 즉 감성적 자연의 최종 목적은 이 자연 자체가 충분히 실현될 수 없는 목적이다.(『판단력비판』 84) 자유를 실현하는 것은 자연이 아니지만 자유 개념은 자연 속에서 실현되거나 성취된다. 감성계 안에서 자유와 최고선의 성취는 이처럼 인간의 고유한 종합적 활동을 함축한다. 다시 말해 역사가 이 성취이며 또한 역사는 자연의 단순한 전개와 혼동되어서는 안된다. 최종 목적의 이념은 자연과 인간의 합목적적 관계를 잘 함축하고 있다.

  그러나 이 관계는 오직 자연적 합목적성을 통해서 가능하게 된다. 본질적으로 그리고 명백히, 이 관계는 이 감성적 자연과는 관계가 없다. 이 관계는 인간이 설립하고 창시해야만 한다.(『판단력비판』 83) 합목적적 관계의 설립이란 왼벽한 시민 정체(政體)의 형성이다. 이 시민 정체는 문화의 최고 목표이고 역사의 목적이며 진정한 현세적 최고선이다.(『판단력비판』 88 ; 『보편사』 명제 5~8)

  위의 역설은 쉽게 설명된다. 현상으로서의 감성적 자연은 기체로서 초감성적인 것을 갖는다. 오직 이 기체 속에서만 감성적 자연의 기계론과 합목적성, 다시 말해 자연 안에서 감각의 대상으로서 필연적인 것과 관계하는 기계론과, 자연 안에서의 이성의 대상으로서 우연적인 것과 관계하는 합목적성이 양립하게 된다.(『판단력비판』 77) 그러므로 감성적 자연이 '자신의' 최종 목적인 것을 실현하기에 충분치 못하다는 것은 초감성적 자연의 술책이다. 왜냐하면 이 목적은 초감성적인 것 자체이기 때문이다. 이 초감성적인 것이 성취되어야만 하는, 다시 말해 초감겅적인 것은 감성적인 것 속에서 결과를 가져야만 하는 한에서 말이다.

  "자연이 의도하는 바는 인간이 그의 동물적 현존의 기계적 구성을 넘어서는 모든 것을 전적으로 자기 자신으로부터 산출하고, 또 본능에서 독립하여 자신의 고유한 이성을 통해서 창조한 행복이나 완벽함 이외에는 관여하지 않는 것이다.(『보편사』, 명제 3, VIII, 19) 이렇듯 감성적 자연과 인간의 능력들의 일치에 있어서 우연은 최고의 초월적 가상이며, 이것이 초감성적인 것의 술책을 감춰버린다.

  그러나 감성적인 것 속에 실현된 초감성적인 것의 결과에 대해서는, 또는 자유 개념의 실현에 대해서 말할 때, 우리는 결코 현상으로서 감성적 자연이 자유의 법칙 또는 이성의 법칙에 종속된다고 생각해서는 안된다. 그런 역사 개념은 사건들이 이성을 이성을 통해, 그리고 가상체로서의 인간 안에 개별적으로 현존하는 이성을 통해 규정된다는 것을 함축할 것이다. 이때 사건들은 인간 자신의 '합리적인 개인적 계획'을 나타낼 것이다.(『보편사』, 서론)

  그러나 감성적 자연 속에 나타나는 것인 역사는 우리에게 모든 대립을 보여준다. 즉 힘들의 순수한 관계들, 성향들 간의 적대 관계들 같은 것 말이다. 이런 대립은 유치한 자만과 같은 광기의 덩어리를 형성한다. 감성적 자연은 언제나 자신의 고유한 법칙을 따른다. 그러나 설령 감성적 자연이 그의 최종 목적을 실현할 수 없다 해도 역시 감성적 자연은 이 목적의 실현을 가능하게 해주는 자신의 고유한 법칙을 따라야 한다. 바로 이 힘들의 메카니즘과 성향들의 투쟁(반사회적 사회성, 『보편사』, VIII, 2)0 참조)을 통해 감성적 자연은 인류 자체 속에서 사회 건설을 주재하고, 오로지 그런 가운데서만 궁극 목적은 역사적으로 실현될 수 있다.(『보편사』, 명제 4)

  이처럼 선험적인 개인적 이성의 계획의 관점에서 볼 때 무의미한 것으로 보이는 것은, 인간 종에 있어서 이성의 발전을 경험적으로 보장하기 위한 '자연의 계획'일 수 있다. 역사는 개인의 이성의 관점이 아니라 종의 관점에서 판단되어야만 한다.(『보편사』, 명제 2) 이처럼 자연의 두 번째 술책이 있는데, 우리는 이것을 첫 번째 것과 혼동해서는 안된다.(두 가지 모두 역사를 구성한다) 이 두 번째 술책에 따라 초감성적 자연은―심지어 인간의 경우에 있어서조차―감성적인 것이 결국에는 초감성적인 것의 결과를 받아들일 수 있기 위해 감성적인 것 자신의 고유 법칙에 따라 진행하기를 원한다. (...)
  
- 『칸트의 비판 철학』(질 들뢰즈·민음사·2006·원제 : La philosophie critique de Kant, 1963) <결론. 이성의 목적들> p.134~137










  1. 18
    Apr 2019
    07:51

    [철학] 칸트의 『판단력 비판』 : 숭고미와 전쟁, 그리고 종교

    (...) 사람들은 어떤 대상 앞에서 두려워하지 않으면서도 그 대상을 두려운 것으로 바라볼 수 있다. 곧 우리가 순전히, 가령 어떤 대상에 저항을 해보려는 경우를 생각하고, 그 경우에 모든 저항이 어림없는 허사가 될 것으로 어떤 대상을 판정한다면 말이다....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1942 file
    Read More
  2. 15
    Apr 2019
    20:28

    [철학] 칸트의 『실천이성 비판』 : 자유·실천이성의 문제

    (...) 이성이 순수 이성으로서 실제로 실천적이라면, 이성은 자기의 실재성과 자기 개념들의 실재성을 행위를 통하여 증명할 것이고, 그런 가능성에 반대되는 일체의 궤변은 헛될 것이기 때문이다. 이 능력(순수 실천 이성 능력)과 더불어 초월적 자유도 바야...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22147 file
    Read More
  3. 12
    Apr 2019
    04:39

    [철학] 칸트의 『순수이성 비판』 : 상상력 · 지성 · 자연

    (...) 경험 일반의 가능성 및 경험 대상들에 대한 인식의 가능성이 근거하는 주관적인 세 인식 원천이 있는데, 그것은 감각기능(감각기관, 감관), 상상력, 그리고 통각이다. 이것들 중 어느 것이라도 경험적으로, 말하자면 주어진 현상들에 대한 적용에서 고...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20894 file
    Read More
  4. 11
    Apr 2019
    15:06

    [철학] 칸트의 『순수이성 비판』 : 선험적 인식 · 자연의 합목적성

    (...) 모든 지각들이 일관되고 합법칙적으로 연결된 것으로 표상되는 오직 하나의 경험만이 있다. 그것은 거기에 현상들의 모든 형식과 존재 · 비존재의 모든 관계가 생기는 오직 하나의 공간 · 시간만이 있는 이치와 같다*. 우리가 서로 다른 경험들을 이야...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8762 file
    Read More
  5. 11
    Apr 2019
    01:48

    [철학] 칸트의 『순수이성 비판』 : 칸트의 기획

    (...) 모든 경험들은 그것을 통해 무엇인가가 주어지는 감관의 직관 외에 또한 직관에 주어지는, 다시 말해 현상하는 대상에 대한 개념을 함유한다. 그러므로 대상들 일반에 대한 개념들은 선험적인 조건으로서 모든 경험인식의 기초에 놓여 있을 것이다. 따...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7637 file
    Read More
  6. 07
    Apr 2019
    01:34

    [철학] 칸트의 『순수이성 비판』 : 초월적 논리학 · 진리의 문제

    (...) 일반 논리학은 인식의 모든 내용, 다시 말해서 인식의 대상과의 모든 관계 맺음을 도외시하고, 인식들 상호간의 관계에서의 논리적 형식, 다시 말해 사고 일반의 형식만을 고찰한다. 그런데 초월적 감성학이 밝혀주듯이 순수한 직관 뿐만 아니라 경험적...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4163 file
    Read More
  7. 04
    Apr 2019
    07:21

    [철학] 칸트의 『순수이성 비판』 : 초월적 감성학

    (...) 어떤 방식으로 그리고 어떤 수단에 의해 언제나 인식이 대상들과 관계를 맺든지 간에, 그로써 인식이 직접적으로 관계를 맺는 것은, 그리고 모든 사고가 수단으로 목표로 하는 것은 직관이다. 그런데 직관은 오로지 우리에게 대상이 주어지는 한에서만 ...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7914 file
    Read More
  8. 30
    Mar 2019
    23:41

    [철학] 칸트의 『순수이성 비판』 : 인식 · 순수 지성

    (...) 모든 인식은 재료(내용, Materie)와 이 재료를 정리 정돈하는 형식(틀, Form)을 요소로 해서 이루어지거니와, 인식이 사고의 산물인 한에서 인식의 형식은 사고의 형식이며, 이 사고의 형식은 이미 지성에 "예비되어 놓여 있다"(A66=B91). 그러므로 인...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4780 file
    Read More
  9. 25
    Mar 2019
    19:34

    [철학] 칸트의 『판단력 비판』 : 감성세계-판단력-초감성세계

    (...) 지성은 감관의 객관인 자연에 대해서 선험적으로 법칙수립적이며, 가능한 경험에서 자연의 이론적 인식을 위한 것이다. 이성은 주관에서의 초감성적인 것인 자유 및 자유의 고유한 원인성에 대해서 선험적으로 법칙수립적이며, 무조건적으로 실천적인 ...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24336 file
    Read More
  10. 19
    Mar 2019
    14:58

    [철학] 칸트의 『판단력 비판』 : 판단력

    (...) 선험적 개념들이 적용되는데까지가, 원리에 따른 우리 인식 능력의 사용이 닿는 범위이며, 그와 함께 철학이 미치는 범위이다. 그러나 가능한 그 대상들에 대한 인식을 성취하기 위해 저 개념들이 관계 맺는 모든 대상의 총괄은 우리의 능력이 이 의도...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45277 file
    Read More
  11. 13
    Mar 2019
    18:04

    [철학] 루소의 『인간 불평등 기원론』 : 결론

    (...) 다수가 비천함과 가난 속에서 살 때 소수의 권력자와 부자가 권세와 부의 절정을 누리는 것은, 후자의 인간들이 자신이 누리는 것을 전자의 인간들이 가지고 있지 않을 때에만 그 가치를 높게 평가하기 때문이며, 만일 민중이 비참하지 않게 되면 상황...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29684 file
    Read More
  12. 12
    Mar 2019
    04:15

    [철학] 칸트의 『판단력 비판』 : 순수 이성 · 실천 이성 · 판단력

    (...) 우리는 선험적 원리들에 의한 인식의 능력을 순수 이성이라 부르고, 이 순수 이성의 가능성과 한계에 대한 연구를 순수 이성 비판이라 부를 수 있다. 우리가 저런 명칭을 가진 첫번째 저작(순수 이성 비판)에서 그렇게 했듯이, 이 능력을 실천 이성으로...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2091 file
    Read More
  13. 17
    Feb 2019
    00:38

    [철학] 『인간이란 무엇인가-오성·정념·도덕 본성론』 : 이 책의 결론, '공감(sympathy)'

    (...) 인간 정신의 주요 원천 또는 인간의 마음을 들끓게 하는 주요 원인은 쾌락과 고통이다. 이런 감각적인 감정이 우리의 사유나 감정에서 사라지면 우리는 대개 정서도 느낄 수 없고 행동할 수도 없으며, 욕구나 의욕 역시 보나마나 불가능해질 것이다. 쾌...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7998 file
    Read More
  14. 14
    Feb 2019
    06:43

    [철학] 칸트의 『판단력 비판』 : 목적론 · 신학 · 교화와 훈육 · 도덕

    (...) 칸트에 따르면 어느 누구도 유기적 존재자들이 목적인의 "실마리"에 따라 판정되어야 한다는 것을 의심하지 않는다.(B319~V389) (중략) '자연의 기술'이라는 개념은 곧 자연목적을 설명할 수 없음을 근거로 해서 "교조적"($74)으로 취급될 수는 없다. ...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22929 file
    Read More
  15. 14
    Feb 2019
    05:07

    [철학] 칸트의 『판단력 비판』 : 자연목적론 · 목적론적 판단력

    (...) 과연 자연 안에 객관적 합목적성이 나타나는가? (중략) 자연은 목적의 표상에 따라 행위하는 지적 존재자가 아니므로, 자연 안에서 발생되는 합목적성은 특수한 것임에 틀림없다. 구성적인 관점에서 보면 자연의 모든 대상들은 어쨌든 작용 연결(nexus ...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8704 file
    Read More
  16. 13
    Feb 2019
    18:12

    [철학] 칸트의 『판단력 비판』 : 예술 · 예술가 · 변증성 · 판단력

    (...) 미감적 판단은 보편적 동의를 요구하지만, 독창적 예술가만이 미적인 것을 산출할 수 있다. 예술 작품들은 자유에 의해 산출된다($43) 실천적 '할 수 있음'이 이론적 앎과 구별되듯이, 숙련의 기예는 학문과 구별된다. 그리고 예술은 언제나 자유로운 ...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7106 file
    Read More
  17. 13
    Feb 2019
    05:50

    [철학] 칸트의 『판단력 비판』 : 미의 감정(우아미)과 숭고의 감정(숭고미)

    (...) 미의 감정과는 달리 숭고의 감정은 질의 면에서 상상력과 이성의 부조화에 의거한다.($27) "미적인 것의 판정에 있어서 상상력과 지성이 그들의 일치에 의해 그렇게 하듯이, 이 경우에는 상상력과 이성이 그들의 상충에 의해 마음의 능력들의 주관적 합...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9219 file
    Read More
  18. 07
    Feb 2019
    00:21

    [철학] 『칸트의 비판 철학』: 자연과 인간의 합목적적 관계·역사

    (...) 마지막 질문은 이런 것이다. 어떻게 궁극 목적은 또한 자연의 최종 목적인가? 다시 말해, 오로지 초감성적 존재로서, 또 가상체로서만 궁극 목적인 인간이 어떻게 감성적 자연의 최종 목적일 수 있는가? 우리는 어떤 식으로든 초감성계가 감성계와 통일...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39612 file
    Read More
  19. 06
    Feb 2019
    21:59

    [철학] 『칸트의 비판 철학』 : 자연목적론·합목적성·도덕목적론·신학

    (...) 세 개의 비판은 진정한 전환의 체계를 보여준다. 첫째, 능력들은 표상 일반(인식함, 욕구함, 느낌)의 관계에 따라 정의된다. 둘째, 능력들은 표상의 원천(상상력, 지성, 이성)으로서 정의된다. 첫번째 의미의 능력들 각각마다 반드시 두 번째 의미의 능...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7485 file
    Read More
  20. 05
    Feb 2019
    20:16

    [철학] 『칸트의 비판 철학』 : 실천이성비판 · 도덕법칙 · 자유의지 · 입법

    (...) 욕구 능력이 감정적이거나 지성적인 대상의 표상을 통해 규정되지 않고, 또 의지에다 이런 종류의 표상을 연결 짓는 즐거움이나 고통의 느낌을 통해 규정되지 않고, 순수의 표상을 통해 규정될 경우 욕구 능력은 상위 형식을 이룰 수 있다. 이 순수 형...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29147 file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25 Next
/ 25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