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철학] 안전, 영토, 인구 : 인간에 대한 통치, 사목권력의 출현

by 이우 posted Nov 22, 2017 Views 38048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책_안전영토인구.JPG


  (...) 목자의 은유는 희귀합니다. 하지만 명맥한 예외, 플라톤이라는 중대하고 주된 예외가 있습니다. 훌륭한 행정관, 이상적인 행정관이 목자로 간주되고 있는 텍스트가 플라톤에게는 많이 있습니다. 훌륭한 목자라는 것은 훌륭할 뿐만 아니라 단적으로 참된 목자, 이상적인 목자라는 것입니다. <크리티아스>도, <국가>에서도, <법률>에서도, <정치가>에서도 그렇습니다. (중략) <국가>에서도 발견할 수 있는 텍스트들이죠. 특히 제1권에 나오는 트라시마코스와의 대화가 그렇습니다. 여기서 트라시마코스는 자신에게도 자명한 것이라는 듯, 혹은 상투어는 아닐지언정 적어도 잘 알려진 주제라는 듯 이렇게 말합니다.

  그렇소. 당연히 훌륭한 행정관은 진정한 목자라고 할 수 있소. 그런데 목자가 하는 일을 살펴봅시다. 그러고는 소크라테스에게 이렇게 묻습니다. 선생은 목자가 본질적으로, 심지어는 절대적으로 자신의 무리에게 좋은 것을 고려하는 자라고 생각하시오? 목자가 솔선수범해 고생하는 것은 그것이 오직 자신을 위한 일이기 때문이오. 그가 자신의 가축들을 위해 고생하는 것은 오직, 가축을 잡아 목을 따서 팔 수 있기 때문이란 말이오. 목자가 그렇게 그렇게 행동하는 것은 이기적인 목적 때문이고 가축들을 위해 헌신적으로 행동하는 것은 겉치례일 뿐입니다. 이런 이유에서 트라시마코스는 목자와의 비교란 행정관에게 필요한 덕을 특징짓는 데 결코 적절하지 않다고 말합니다. 이런 소크라테스는 다음과 같이 답합니다. 당신이 정의한 것은 훌륭한 목자가 아니라고, 그것은 진정한 목자가 아니라 목자에 대한 풍자라고, 이기적인 목자란 모순적인 것이라고, 진정한 목자는 오직 자신의 무리에 헌신할 뿐이지 자신의 안위에는 생각하지 않는 자라고 말입니다. (중략)

  <정치가>의 논의 전개를 간략히 다시 다룰텐데 여러분은 목자의 은유에 어떤 식으로 이의가 제기되는지 대략 알 수 있게 될 것입니다. 정치가란 무엇일까요? 플라톤에게 정치가란 무엇일까요? 물론 정치가란 정치가로서의 행위를 효과적으로 실행할 수 있도록 하는 특정한 인식과 기술을 통해서만 정의될 수 있습니다. 정치가를 특정짓는 인식과 기술은 명령하고 지휘하는 기술입니다. 그런데 명령하는 자는 누구일까요? 물론 왕이 명령합니다. 하지만 신의 명령을 전달하는 예언자, 사자, 민희의 심의결과를 전달하는 전령, 배에서 노를 젓는 자의 통솔자 역시 지휘하고 명령합니다. (중략) 이 명령은 무엇에게로 향할까요? 명령은 무생물과 관련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건축가가 하는 일, 즉 자신의 의지와 결정을 목재나 석재 같은 무생물에게 부과하는 일이 그것입니다. 이뿐만 아니라 생물, 본질적으로 생명존재에게 명령을 부과할 수 있습니다. 건축가와는 달리 정치가는 바로 이쪽에 속합니다. 정치가는 생명존재에게 명령할 것입니다. (중략)

  그런데 동물이건 인간이건 생명존재의 무리에게 명령한다는 것은 어떤 의미가 있을까요? 그것은 그 무리의 목자가 된다는 것을 뜻합니다. 그러므로 이렇게 정의할 수 있습니다. 요컨대 정치가는 인간의 목자, 즉 도시국가에서 인구를 구성하는 생명존재 무리의 목동이라고 말입니다. (중략) 따라서 행정관이 무리를 지키는 자라는 주제와 관련해 우리는 상이한 유형의 동물들, 야생동물과 온순한 동물을 구분해야 합니다. 인간은 두번째 부류에 속합니다. 가축적이고 온화한 동물에는 수중 동물과 육상 동물이 있습니다. 인간은 육상 동물 옆에 놓여야 합니다. 육상동물은 날짐승과 그렇지 않은 짐승, 이종교배가 가능한 짐승과 그렇지 않은 짐승으로 분할되어야 합니다. (중략) 지시술이 도대체 무엇인가라는 물음에 고나해서는 말입니다. 불변항으로서의 목자라는 주제는 무용하고, 동물의 범주에 속해 있는 가능한 가변항들만을 참조토록 만들 뿐입니다.(중략)

  목자로 존재한다는 것은 무엇이고 어떻게 이뤄질까요? 이에 대해서는 이렇게 답할 수 있습니다. 하나의 군중에 복수의 목자가 있다거나 하는 일은 결코 없습니다. 단 한 명입니다. 두 번째로 활동의 형태에 관해 알 수 있는 것은 목자가 많은 일을 해야만 하는 자라는 것입니다. 목자는 무리의 식량을 확보하고, 가장 젊은 양을 돌보며, 병에 걸리거나 상처 입은 양을 치료하고, 명령을 내리거나 경우에 따라서는 음악을 연주하며 길을 이끌고, 가장 건강하고 다산하는 암양이 튼튼한 새끼양을 낳을 수 있도록 교배시켜야 합니다. (중략) 목자의 단독성 · 단일성의 원칙에 대한 반론이 바로 이 대목에서 곧장 제기됩니다. 플라톤이 왕의 경쟁자, 양치기와 관련한 왕의 경쟁자라고 부른 존재가 탄생하게 되는 것입니다.

  사실 왕이 양치기라고 정의된다면, 인간들에게 식량을 제공하는 농민이나 빵을 만들어 식량을 공급하는 빵집 주인 역시 양의 무리를 초원으로 인도해 풀을 먹이고 물을 마시게 하는 목자 만큼이나 인간의 목자라고 말해서는 안되는 이유가 있을까요? 농민이나 빵짐 주인은 왕의 경쟁자, 인간의 목자입니다. 이뿐만이 아닙니다. 병자를 돌보는 의사도 목자이고, 양치기의 역할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아동의 적절한 교육, 건강, 신체의 활력과 능력을 돌보는 체육교사나 교육자도 인간의 무리와 관련해서는 목자입니다. 누구나가 자신을 목자라고 주장할 수 있는 것이고, 정치가의 경쟁자는 그만큼 많아지게 됩니다. 그래서 애초부터 용인된 불변항이 있었던 것입니다. 행정관이 곧 목자라는 것입니다. 그런데 목자의 권력이 근거하는 일련의 존재를 다변화시키면 동물 유형론이 만들어지고 구분이 멈추지 않게 됩니다. (중략) 이 모든 종의 동물 중 특수한 무리가 있는데 그것이 인간의 무리입니다. 이 무리의 선두에 목자가 있습니다. 이 목자는 모든 종의 동물을 지배하는 목자의 화신입니다. 이 목자는 누구일까요? '신 자신'이라고 플라톤은 말합니다. (중략) 왕은 목자가 아닙니다. (중략)

  그렇다면 이렇게 말할 수 있을 것입니다. 인간들에게 행사되는 특수한 유형의 전원지인 사목의 진정한 역사, 인간들에 대한 통치방식의 본보기이자 모형의 사목의 진정한 역사, 서구세계가 거쳐온 사목의 진정한 역사는 그리스도교와 함께 시작된다고 말입니다. (중략) 교회는 인류 차원에서 구원을 디룬다는 구실로 현실의 삶에서 인간들을 일상적으로 통치한다고 주장하는 종교입니다. 사회의 역사상 전례 없는 것이 바로 이것입니다. 요점만, 그 윤곽만 말씀드리면, 이처럼 어떤 한 종교가 교회로 제도화됨으로써 다른 어디에서도 발견되지 않는 권력장치가 형성된 것입니다. 기원후 2~3세기경부터 18세게에 이르기까지 1천5백년 동안 발견되고 무르익은 권력장치가 말입니다. (중략)

  13세기부터 17~18세기까지 전체를 관통한 모든 투쟁, 대부분의 투쟁은 사목권력의 주변에서 일어난 사목권력에 대한 투쟁이었습니다. 존 위클리프부터 존 웨슬리까지 13세기부터 18세기까지 종교전쟁 기간 동안 절정에 달했던 이 모든 투쟁은 근본적으로 인간을 통치할 권리, 인간이라는 존재의 일상 생활 · 세부사항 · 물질성 안에서 인간을 통치할 권리가 사실상 누구에게 있는지 알기 위한 투쟁이었습니다. 누가 이 권력을 가질지, 이 권력을 누구로부터 얻을지, 이 권력을 어떻게 행사할지, 각자가 얼마만큼 자율의 의지를 가질지, 이 권력을 행사할 자들은 어떤 자격을 지녀야 할지, 그들의 권한은 어떻게 제한될지. (중략) 종교개혁이 교리와 관련된 대전투라기보다는 사목과 관련된 대전투였고, 종교개혁의 쟁점이 사실상 사목권력의 행동방식이엇다고 할지라도 종교개혁으로 생겨난 두 세계나 일련의 세계, 요컨대 개신교 혹은 개신교 교회의 세계와 반종교개혁이라는 세계는 사목 없는 세계가 아니었기 때문입니다. (중략)

  잊어서는 안되는 것은 사목을 통해 인간을 통치하는 이 기술을 '기술 중의 기술', '지식 중의 지식'으로 정의한 최초의 인물은 나지안조스의 성 그레고리우스라는 점입니다. 그 뒤로 이 정의는 여러분이 아시는 '기술의 기술', '영혼의 통솔'이라는 전통적 형태로 18세기까지 전해지게 됩니다. 즉 '영혼의 통솔', '영혼의 통치'야 말로 기술의 기술입니다.* (중략)

  아지안조스의 성 그레고리우스 이전에는 무엇이 '기술의 기술', '기술 중의 기술', '지식 중의 지식'이었을까요? 철학이었습니다. 요컨대 17~18세게 이전에 그리스도교화된 서구에서 철학을 계승한 '기술의 기술'은 또 하나의 철학도 아니었고, 신학도 아니었고, 바로 사목이었던 것입니다. 사목이라는 이 기술을 통해 어떤 사람들은 타인을 통치하는 법을 배웠고, 또 어떤 사람들은 누구에게 통치를 받아야 하는지를 배웠습니다. (...)

 - <안전, 영토, 인구- 콜레주드프랑스 강의 1977~78년 >(미셀 푸코 · 난장 · 2011년 · 원제 : Securite, territoire, population) p.199~217



   .................
  * 이 정식은 교황 그레고리우스 1세가 쓴 <사목의 규칙>(Regula Pastoralis, 590년) 서두에 등장한다. "영혼의 통치야말로 기술 중의 기술"이다.














  1. 04
    Dec 2017
    16:21

    [철학] 『안티오이디푸스』 : 역사, 자본, 그리고 우발의 개입·탈영토화·탈코드화

    #역사 (...) 탈코드화된 욕망들, 탈코드화의 욕망들은 늘 있었고, 역사는 이것들로 충만하다. 하지만 탈코드화된 흐름들이 하나의 욕망을, 사회적인 동시에 기술적인 욕망기계를 꿈꾸거나 결핍하는 대신 그런 기계를 생산하는 욕망을 형성하는 것은, 한 장소...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32776 file
    Read More
  2. 22
    Nov 2017
    18:16

    [철학] 안전, 영토, 인구 : 사목권력의 특징, 복종 · 예속 · 배려 · 봉사

    (...) 고대세계가 끝나갈 무렵 근대 세계가 탄생할 무렵까지 그리스도교 사회보다 더 사목적인 문명이나 사회는 결코 존재했던 적이 없습니다. 이런 사목, 이런 사목권력은 인간을 법이나 주권자에게 예속시키기 위해 사용된 절차와 동일시되거나 혼동되어서...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23337 file
    Read More
  3. 22
    Nov 2017
    04:52

    [철학] 안전, 영토, 인구 : 인간에 대한 통치, 사목권력의 출현

    (...) 목자의 은유는 희귀합니다. 하지만 명맥한 예외, 플라톤이라는 중대하고 주된 예외가 있습니다. 훌륭한 행정관, 이상적인 행정관이 목자로 간주되고 있는 텍스트가 플라톤에게는 많이 있습니다. 훌륭한 목자라는 것은 훌륭할 뿐만 아니라 단적으로 참된...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38048 file
    Read More
  4. 21
    Nov 2017
    19:53

    [철학] 안전, 영토, 인구 : '인간에 대한 통치'의 탄생, 사목권력

    (...) 인간에 대한 통치는 두 형태로 나타납니다. 사목적 유형의 권력이라는 관념과 조직형태가 그 중 하나이고, 양심지도나 영혼지도라는 형태가 나머지 하나입니다. 첫번째 형태로 사목권력의 관념과 조직을 살펴보죠. 왕 · 신 · 수장이 인간과 관련해 목자...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15357 file
    Read More
  5. 21
    Nov 2017
    16:26

    [철학] 안전, 영토, 인구 : 통치란 사람들을 적절한 목적으로 이끌기 위해 사물을 배치하는 일이다

    (...) 16세기에 '경제'라는 말은 통치의 한 형식을 지시했습니다. 그러나 18세기가 되면 '경제'는 우리의 역사에서 대단히 중요한 일련의 복잡한 절차를 통해 통치가 개입하는 현실의 한 수준, 어떤 영역을 지칭하게 됩니다. 지금까지가 통치한다는 것은 무엇...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33639 file
    Read More
  6. 13
    Nov 2017
    01:53

    [문학] 2017년 노벨문학상 수상, 『나를 보내지 마』

    (...) "어째서 헤일셤이 필요했을까? (중략) 너는 작품이 사람을 드러낸다고 했지. 사람의 내면을 말이야. 네가 말한 게 바로 그거지? 그렇다면 그 문제를 제대로 짚은 셈이다. 우리가 너희 작품을 거어온 건 거기에 너희의 영혼이 드러나 있다고 생각했기 때...
    Category문학 By이우 Views15393 file
    Read More
  7. 11
    Oct 2017
    22:59

    [문학] 마광수 시집? 『가자, 장미여관으로』 초판 서문

    (...) '장미여관'은 내 상상 속에 존재하는 가상의 여관이다. 장미여관은 내게 있어 두 가지 상징적 의미를 가지고 있다. 하나는 나그네의 여정과 향수를 느끼게 해주는 여관이다. 우리는 잡다한 현실을 떠나 어디론가 홀가분하게 탈출하고 싶은 충동을 느끼...
    Category문학 By이우 Views9581 file
    Read More
  8. 18
    Sep 2017
    03:58

    [사회] 『기본소득운동의 논리와 실천』: 주인이 되는 노예만이 자유를 얻는다

    (...) 조건 없는 기본소득에 반대하는 사람들은 그것이 우리를 자유가 아니라 예속으로 끌고 갈 것이라고 주장한다. 또한 그것은 과도한 사회적 · 정치적 개입이며, 공동체에 지나친 부담을 지우는 것이라고 비판한다. 기껏해야 생활이 어려운 몇 명의 창조적...
    Category기타 By이우 Views17702 file
    Read More
  9. 18
    Sep 2017
    02:44

    [사회] 『기본소득운동의 논리와 실천』: 누가 이 모든 것을 지불하는가 · 권력의 분배

    (...) 누가 이 모든 것을 지불하는가? 이 질문은 잘못된 질문 가운데에서도 가장 잘못된 질문이다. 조건 없는 기본 소득은 지불되어야 하는 것이 아니라, 이해되어야 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재정과 관련해서 본다면 이것은 일종의 이득과 손실의 총합이 제도...
    Category기타 By이우 Views12214 file
    Read More
  10. 17
    Sep 2017
    04:45

    [사회] 『기본소득운동의 논리와 실천』: 기본소득은 우리를 생존의 위협으로부터 자유롭게 해서 자신이 주권자임을 스스로 인식하여 살아갈 수 있게 한다

    (...) 조건 없는 기본소득은 위로부터 오지 않는다. 국가권력에 의해 생겨날 수 있는 성질의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그것은 하나의 기본권이다. 기본권은 시민들이 국가권력에 맞서 싸워서 획득하는 것이다. 기본권에 대한 공권력의 인정은 그것이 획득된 뒤...
    Category기타 By이우 Views7818 file
    Read More
  11. 16
    Sep 2017
    05:31

    [사회] 『기본소득운동의 논리와 실천』: 의미 있는 반대 논리

    (...) "조건 없는 기본소득은 인간의 존엄성에 대한 공격이다. 그것은 사회적 가치에 대해 내가 가지고 있는 생각과는 근본적으로 대립된다. 사회는 구성원 모두가 어떤 방식으로든 사회를 유지하는 데 기여해야 비로소 존속할 수 있다. (...) 자신의 생계를 ...
    Category기타 By이우 Views25040 file
    Read More
  12. 14
    Sep 2017
    10:32

    [사회] 『기본소득운동의 논리와 실천』: 자유롭게 노동할 수 있어야 한다.

    (...) 조건 없는 기본소득은 사회주의와 자유주의를 이어준다. 조건이 없으므로 자유주의이고, 모두에게 주어지므로 사회주의이다. 신자유주의와는 다른 '사회주의적 자유주의'라고도 할 수 있고, 사회주의와는 다른 '자유주의적 사회주의'라고도 할 수 있다....
    Category기타 By이우 Views12565 file
    Read More
  13. 14
    Sep 2017
    08:16

    [사회] 『기본소득운동의 논리와 실천』: 모두가 당신을 위해 일한다면...

    (...) 우리는 일을 한다. 지금껏 일을 하지 않은 적이 없다. 하지만 우리가 노동을 정의하거나 조직하는 방식은 지금까지 끊임없이 변화해 왔고, 앞으로도 계속 변화할 것이다. (...) 과거의 자급자족 경제에서는 우리는 나 자신을 위해서 노동을 했다. 하지...
    Category기타 By이우 Views11931 file
    Read More
  14. 20
    Aug 2017
    15:45

    [철학] 사물의 본성에 관하여 : 세계는 차이로 존재한다.

    (...) 얼마나 많은 종류의 형상으로써 다양하게 되어 있는지 알라. 이것은 몇몇 것들만 비슷한 형상을 부여받아서가 아니라, 모두가 모두와 같지 않아서이다. 이런 상황은 놀라운 것도 아니다. 왜냐하면 그들의 양이 그토록 많아서 한도도 없고, 내가 이미 가...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30185 file
    Read More
  15. 19
    Aug 2017
    23:50

    [철학] 사물의 본성에 관하여 : 생성하는 몸체는 머물지 않는다.

    (...) 즐겁도다., 광대한 바다에서 바람이 물들을 흔들 때, 육지에서 다른 이의 큰 노역을 바라보는 것은, 누군가 괴로움을 당하는 것이 달콤한 쾌락이어서가 아니라, 그대 자신이 어떠한 불행을 벗어나 있는지 깨닫는 것이 즐겁기 때문이다. 보기에 즐겁도다...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22843 file
    Read More
  16. 19
    Aug 2017
    03:05

    [철학] 사물의 본성에 관하여 : 자연은 스스로 무한(無限)을 정립한다.

    (...) 자연은 사물들의 총체가 스스로 자신에게 한계를 놓을 수 없도록 한다. 그것은 물체의 빈 공간에 의해서, 그리고 빈 공간인 것은 다시금 물체에 의해 한정되도록 강제한다. 이렇게 번갈음으로 해서 전체를 무한하게 만들면서, 혹은 최소한 이들 중 어느...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23841 file
    Read More
  17. 19
    Aug 2017
    00:33

    [철학] 사물의 본성에 관하여 : 그 어떤 것도 무에서 생겨나지 않고, 그 어떤 것도 무로 돌아가지 않는다

    아무 것도 무(無)에서 생겨나지 않음 (...) 그러므로 정신의 이 두려움과 어둠을, 태양의 빛살과 비치는 창들이 아니라, 자연의 모습과 이치로 떨쳐버려야 한다. 그것의 첫 원리는 다음과 같은 것에서 우리를 위한 시작점을 얻어야 한다 즉 그 어떤 것도 신들...
    Category철학 By이우 Views39007 file
    Read More
  18. 24
    Jul 2017
    00:04

    [사회] 호모 데우스 : 유발 하라리가 던진 질문에 답해보라. 그렇다고 생각하는가?

    (...) 자유주의자들이 자유시장과 민주적 선거를 지지하는 이유는, 모든 개인이 저마다 특별한 가치를 가지고 있고, 그들의 자유의지에 의한 선택이 권력의 궁극적 원천이라고 믿기 때문이다. 하지만 21세기에 전개될 세 가지 실질적 상황이 이 믿음을 무용지...
    Category기타 By이우 Views16105 file
    Read More
  19. 20
    Jul 2017
    23:04

    [사회] 죽어가는 자의 고독 : 죽음을 배제하는 현대사회의 특수성

    (...) 현대 사회의 특수성에는 첫째, 선진사회에 속한 개인들의 수명이 포함된다. 평균 기대 수명이 75세인 우리 사회에서 20대나 30대에 죽는다는 것은 생각하기 어려운 일이다. 기대 수명이 40세였던 사회라면 사정이 다를 것이다. (...) 모든 생명체가 그...
    Category기타 By이우 Views17365 file
    Read More
  20. 20
    Jul 2017
    18:33

    [사회] 죽어가는 자의 고독 : 죽음에 대한 억압의 증후, 죽음의 배제

    (...) 삶을 마치는 것, 사망증명서와 묘지의 문제는 아닐 것이다. 많은 사람들이 천천히 죽어간다. 즉 많은 이들이 병약해지고 노쇠한다. 물론 임종하는 마지막 순간이 중요하기는 하다. 그러나 사람들과의 이별은 그보다 훨씬 더 일찍 시작된다. 종종 노쇠는...
    Category기타 By이우 Views14623 file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6 7 8 9 10 11 12 13 14 15 ... 25 Next
/ 25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