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시론(時論)] 소크라테스의 후계자들

by 이우 posted Nov 22, 2015 Views 4194 Replies 0
은평시민신문_소크라테스의후계자들_870.jpg


  소크라테스의 후계자들
  인문학공동체 에피쿠로스 리강


  소크라테스가 죽을 때 “악법도 법이다.”라고 말했다는 것은 거짓말이다. 소크라테스의 죽음을 묘사한 플라톤의 책 <크리톤>, <파에돈> 그 어디를 살펴봐도 그런 말을 찾을 수 없다. 아마 ‘악법’조차 국가의 법이라고 맹목적으로 따라 주기를 바라는 마음에서 그 누군가가 왜곡했을 가능성이 높다. 이렇게 잘못된 말인데도 한국의 교육 현장에서는 너무도 당연한 소크라테스의 명언으로 학생들에게 가르친다. 왜 이런 일이 생기는 걸까?

  소크라테스는 아테네를 한 번도 떠난 적이 없다. 소크라테스는 자신이 아테네 시민이라는 것에 대해 엄청난 자부심을 느낀다. 그런 소크라테스가 아테네에 기거하면서, 아테네 폴리스의 보호를 받으면서, 아테네의 법을 따르지 않는다는 것은 용납될 수 없다. 아테네 청년들에게 옳은 것은 옳은 것이고 그른 것은 그른 것일 뿐이라고 가르친 소크라테스가 그런 모순적인 행동을 한다는 것은 도저히 상상할 수 없다. 그런데 이 생각에 잘못은 없을까?

  국가의 법이라고 해서 맹목적으로 따라야 할까? 내 생명을 멸절시키는 데도 오로지 국가의 법이라는 이유만으로 그 법의 명령에 따라야 할까? 국민의 생명과 재산과 권리를 보호하도록 만들어진 국가의 법이 어째서 그 나라의 국민인 ‘나’의 생명을 앗아갈 수 있다는 말인가? 국가의 법이 국민을 죽이는 악법이라도 오로지 국법이라는 이유만으로 지켜야 할까?

  소크라테스는 이런 갈등 상황에서 기꺼이 독배를 마시는 길을 택한다. 친구이자 제자인 크리톤이 간수를 매수해서 도망칠 수 있는 길을 다 열어 놓았는데도 그는 도망치지 않는다. 아테네 시민으로서 아테네의 법에 따라 독배를 마시고 죽음을 맞이하는 것을 아주 기쁘게 받아들인다. 악법이라도 그것이 아테네의 법이므로 그 법의 명령에 복종해야 한다고 그는 말한다. 그는 죽는 순간까지 너무도 순진한 아테네 사람이었던 것이다.

  그래서 소크라테스는 결코 “악법도 법이다.”고 말하지 않았지만, 그는 아테네의 시민으로서 아테네의 악법에 저항하지 않고 순순히 독배를 마신다. 그래서 소크라테스는 “악법도 법이다.”고 말하지 않았지만, 그는 그 말을 한 것이나 마찬가지인 셈이다. 그는 국가주의자이다. 그는 전체주의자이다. 그는 국법 근본주의자이다. 그는 아무리 악법이라도 국가의 법이라면 맹목적으로 따르는 사람이었던 것이다.

  그런 소크라테스가 한반도 남쪽에서는 위대한 성인(聖人)으로 추앙된다. 그런 소크라테스가 성인(聖人)으로 추앙되는 판국이니, 정권을 잡은 자들이 국가의 법을 악법으로 만들든지 말든지, 무조건 국가의 법은 따라야 한다. 소크라테스 같은 성인도 순순히 따르는 국법인데 하찮은 대한민국의 시민이 “악법은 지킬 수 없다.”고 외치는 것은 말이 안 된다. 그런 자들은 경찰의 켑사이신 물대포로 아작을 내어야 한다. 소크라테스처럼 스스로 독배를 마실 때까지 지속적으로 물대포를 쏴 주어야 한다.


............................................
* 이 글은 지역신문공동체 <은평시민신문>에 게재된 원고입니다.









  1. 22
    Nov 2015
    13:41

    [시론(時論)] 소크라테스의 후계자들

    소크라테스의 후계자들 인문학공동체 에피쿠로스 리강 소크라테스가 죽을 때 “악법도 법이다.”라고 말했다는 것은 거짓말이다. 소크라테스의 죽음을 묘사한 플라톤의 책 <크리톤>, <파에돈> 그 어디를 살펴봐도 그런 말을 찾을 수 없다. 아마 ‘악법’조차 국가...
    By이우 Reply0 Views4194 file
    Read More
  2. 25
    Oct 2015
    17:24

    [시론(時論)] 바람 구두 신은 랭보

    인문학공동체 에피쿠로스 이우 아르튀르 랭보(Jean Nicolas Arthur Rimbaud, 1854년~1891년), 학창 시절에 너를 만나고 30년만에 다시 너를 만난다. 베를렌(Paul Verlaine, 1844년~1896년)이 그랬던 것처럼, 우리는 너를 ‘바람 구두를 신은 사나이’라 부르며 ...
    By이우 Reply2 Views3999 file
    Read More
  3. 19
    Sep 2015
    21:18

    [시론(時論)] 루소에게 역사 교과서를 묻다

    인문학공동체 에피쿠로스 리강 장 자크 루소(Jean-Jacques Rousseau)가 테레즈 르바쇠르(The?re?se Levasseur)와의 사이에 태어난 5명의 자식들을 모두 고아원에 보냈다는 것은 참으로 충격적이다. 그런 그가 나중에는 그 유명한 교육 소설 <에밀>을 썼기 때문...
    By이우 Reply0 Views4886 file
    Read More
  4. 19
    Sep 2015
    21:16

    [시론(時論)] 공동체의 도래

    인문학공동체 에피쿠로스 이우 텃밭이 귀환하고 있습니다. 관상 식물이 자라던 곳에 상추, 가지, 토마토, 삼채, 쑥갓 등 텃밭 작물이 심겨지고 밥상에 올라오고 있습니다. 직접 기른 것을 수확해 먹으려는 '텃밭의 귀한'. 이때를 놓치지 않고 식품업체에서는 ...
    By이우 Reply0 Views3415 file
    Read More
  5. 20
    Jun 2015
    21:13

    [시론(時論)] 폴리스, 메르스

    인문학공동체 에피쿠로스 리강 인간은 사회적 동물이라는 말은 잘못된 말이다. 인간은 사회적 동물이라고 아리스토텔레스가 정의했다는 교과서적인 설명도 잘못된 설명이다. 아리스토텔레스는 그런 말한 적 없다. 대신 그는 인간은 폴리스적 동물(Zoon politic...
    By이우 Reply0 Views3604 file
    Read More
  6. 20
    Jun 2015
    21:08

    [시론(時論] 눈물

    인문학공동체 에피쿠로스 이우 폐허의 철학자로 불린 에밀 시오랑(E. M. Cioran, 1911년~1995년). 시오랑은 파리 대학 식당에서 끼니를 해결한 학생이었다. 그는 루마니아의 고등학교에서 잠시 철학 교사직을 맡았던 것 외 평생 한 번도 직업이 없었다. ‘공원...
    By이우 Reply0 Views3716 file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Next
/ 1
위로